가상 환경 하에서 다감각 변수들의 영향도 평가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s

  • 홍정훈 ((주)케이시아이스시스템 부설 기술연구소) ;
  • 정동현 (한림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 심송용 (한림대학교 수학통게학부) ;
  • 송창근 (한림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발행 : 2000.09.01

초록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가상환경을 경험하게 하여 얻은 실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요소들의 영향도를 평가한다. 주된 평가 요소는 가상 현실 환경 속에서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심감과, 감각 요소들이 피실험자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여 본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다중 감감 요소들이 단일한 감각요소가 있을 때에 비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의 사물에 대한 기억력과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피실험자가 느꼈던 가상환경 속의 현실감과 사물에 대한 기억력에 대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청각, 후각, 촉각)들을 첨가시키는 것이 현실감과 기억력을 배가시키는 요소로써 더 효과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원광연, '전산학으로서의 가상현실', 정보과학회지 제15권 제 11호, pp.5-13, 1997
  2. Heilig, Morton, U.S. Patent #3,050,870
  3. Fontaine, G., 'The experience of a sense of presence in intercultural and international encounters,'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1, No.4, pp.482-490, 1992
  4. Barfield, W. and Hendrix, C., 'The effect of update rate on the sense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Virtual Reality Research, Development, Applications, Vol.1, No.1, pp.3-15, 1995 https://doi.org/10.1007/BF02009709
  5. Hendrix, C. and Barfield, W., 'Presence within virtual environments as a function of visual display parameters,' Presence :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5, No.3, pp.274-289, 1996
  6. Heilig, Morton. 'EI Cine del Futuro : The cinema of the future,' Presence: 1 (3), pp.279-294, 1992
  7. Hendrix, C. and Barfield, W., 'The sense of presence with auditory virtual environments,' Presence :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5, No.3, pp.290-301, 1996
  8. Cater, J.P .. 'The nose have it?,'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1, No.4, pp. 493-494, 1992
  9. 윤창노, 후각환경 제시기술, 감성측정평가 시뮬레이터 기술 개발 '98년도 제2차 Workshop, 한국과학기술연구소
  10. Barfield, W. and Danas, E., 'Comments on the use of olfactory displays for virtual environments,' Presence: Teleop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5, No.1, pp.109-121, 1996
  11. Kruger, M., 'Reality stinks and so should virtual reality,' Keynote address at VRMM96 in Gifu, Japan, 1996
  12. Kay M. Stanney, Ronald R. Mourant, Roberts S. Kennedy, 'Human Factors Issues in Virtual Environm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resence: Teleoper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7, No.4, pp.327-351, 1998 https://doi.org/10.1162/105474698565767
  13. Ikei, Y., Wakamatsu, K, and Fukuda, S., 'Texture presentation by vibratory tactile display.' Proceedings of the IEEE 1997 Virtual Reality Annual International Symposium, pp.199-205, 1997 https://doi.org/10.1109/VRAIS.1997.583071
  14. Shimojo, M., Shinohara, M. and Fukui, Y, 'Shape identification performance and pin-matrix density in a 3 dimensional tactile display,' Proceedings of the IEEE 1997 Virtual Reality Annual International Symposium, pp.180-187, 1997 https://doi.org/10.1109/VRAIS.1997.583068
  15. Ogi, T. and Hirose, M., 'Multi-sensory data sensualization based on human perception.' Proceedings of the IEEE 1996 Virtual Reality Annual International Symposium, pp.66-70, 1996
  16. Huang Q. Dinh, Neff Walker and Larry F. Hodges, Chang Song, Kobayashi,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Multi-sensory Input on Memory and the Sense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Proceedings of the IEEE Virtual Reality, pp.222-228, 1999 https://doi.org/10.1109/VR.1999.756955
  17. Bob G. Witmer and MichaelJ. Singer, 'Measuring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A Presence Questionnair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7, No.3, pp.225-240, 1998
  18. 김현정, 고희동, 김진우, 'VR 시스템의 FOV와 Frame Rate가 Navigation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HCI'2000, pp.712-718,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