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분포

Search Result 4,52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of Lagoons in the East Coast of Korea (동해안 석호의 식물플랑크톤 분포와 현존량)

  • 문병렬;이옥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0 no.4
    • /
    • pp.325-338
    • /
    • 2002
  •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at 12 stations of Songjiho, Ssangho, Maeho and Hyangho as of four lagoons in the east coast from May to November, 2001. It turned out to be total of 164 taxa, and classified as four phylums, four classes, 14 orders, 20 families, 59 genera, 139 species, 22 varieties, two forms and 1 unidentified species by Engler's classification system. Among 104 taxa, 16 taxa including Oscillatoria chlorina were identified as indicators of water pollution and only Cocconeis placentula was the indicator of the clean water. Standing crops of all stations investigated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 values. Based on the present study upon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it is regarded as the state of the eutrophication in Songjiho, Ssangho, Maeho and Hyangho as of four lagoons in the east coast.

On the Geogrpahical Distributiion of Anomuran and Brachyuran Crabs in Korean Waters (한국해역에 있어서 집게류와 게류의 지리적 분포에 관하여)

  • 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2 no.2
    • /
    • pp.67-78
    • /
    • 1986
  • 한국해역에서 알려진 집게류는 12과 57종, 게류는 20과 183종이다. 집게류는 집게과 (Paguridae) (19종)와 넓적왼손집게 과 (Diogenidae) (12종) 의 종들이 많고 게류에서는 물맞이게 과 (Maidae) (33종) 의 종이 가장 asg고 다음이 바위게 과(Grapsidae) (29종), 부채게 과 (Xanthidae) (22종), 꽃게 과 (Portunidae) (16종) , 달랑게 과(Ocypodidae) (16종)의 순이다. 저자는 한국 해역을 동해, 대한해협, 제주도해역, 황해의 4구역으로 나누고, 집게류와 게류를 북방형, 온대형, 남방형의 3분지형으로 나누었다. 집게류의 경우 북방형 9종, 온대형 40종, 남방형 8종이고, 게류의 경우 북방형 7종, 온대형 87종, 남방형 89종이다. 집게류의 경우 동행 29종, 대한해협에 30종, 제주도해역에 30종, 황해에 21종이 게류의 경우 위의 순서대로 62종, 121 종, 104 종, 74종이 분포하며, 각 해역에서의 분포형도 고찰했다. 각 해역에만 분포하는 종의 수는 집게의 경우 동해에 8종, 대한해협에 3종, 제주도해역에 16종, 황해에 0종, 게류의 경우 위의 순서로 8종, 20종 40종, 12종이다. 집게류는 북방형종이, 게류는 남방형종이 비교적 많으며 동해에는 북방형종들이 제주도에는 남방형종들이 비교적 많다. 4구역 중 2 구역 (6조합) 사이의 유사계수(r=a/a+b+c)를 계산한 바 양 분류군 모두 대한 해협과 황해 사이의 유사성이 가장 크고 (집게류 ; 0.55, 게류 : 0.59), 제주도해역과 황해 사이의 유사성이 가장 적다. (집게류 ; 0.20, 게류 : 0.19). 분포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각 해역의 환경조건도 알아보았는바, 분포의 양상과 해황과 잘 부합된다.

  • PDF

On the Micro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Gobioninate) from Korea (한국산(韓國産) 담수어(淡水魚),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미세분포(微細分布)에 관(關)하여)

  • Choi, Ki-Chul;Choi, Shin-Sok;Hong, Young-Py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 no.1
    • /
    • pp.63-76
    • /
    • 1990
  • Studies on the microdistribution, distributional aspect and affinity of Korean endemic species, SHIRl, Coreoleueiseus splendidus in th southern half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carried out from May, 1966 to November, 1989. This species was found in 14 independent rivers and streamlets of the south Korea ; Yimjin R., Han R., Kum R., Ungchun S., Mangyung S., Dongjin R., Somjin R., Kwangyang East S., Sachun S., Gonyang S., Nakdong R., Samchukosip S., Samhwa S. of Namhae Island and Guchun S. of Geojae Islands, and were not found from Youngsan R., Ansung S. and Sabgyo S. This species was not common and independent comprising less than 25% of the total fish population in all habiting sites. Distributional zone was in the middle or upper streaches of main streams and tributaries. The average slope of distributional zone was 2.6, minimum slope was 0.29 and maximum slope was 5.56. Thirty-three species were found to occur along with this fish and 10 species of them occurred with more than 50% frequency. They were; 20 sp. of Cyprinidae, 5 sp. of Cobitidae, 1 sp. of Salmonidae, 1 sp. of Bagfridae, 1 sp. of Siluridae, 2 sp. of Amblycipitidae, of Serranidae, and 1 sp. of Eleotridae. Some species of fish appeared to have the same ecological position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distributional zones. These species were as follows; Acheilognathus signifer and A. limbata, Micriophsogobio koreensis and M. yaluensis in Cyprinidae, Cobitis koreensis, C. longicorpus, C. rotundicaudata in Cobitidae, Liobagrus andersoni and L. mediadiposalis in Amblycipitidae.

  • PDF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Formicidae) in Korea(7) -Ant Fauna in Mt. Kyeryongsan- (한국산 개미의 분포에 관한 연구(7)-계룡산의 개미상)

  • 최병문;박경숙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0 no.1
    • /
    • pp.80-85
    • /
    • 1991
  • For the study of ant fauna in Mt. Kyeryongsan, we selected three areas and collected 317 colonies nine times from 1986 to 1990. The communities of ants were composed of 3 subfamilies, 23 genera and 45 species. Among them, Solenopsis sp. was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 number of ant species distributed in each area was almost the same, and the species distributed uniformly in the nine subareas were Paratrechina flavipes and Aphaenogaster japonica. The number of species collected in the only one subarea were ten, and six among them were collected in the area of Sinwonsa temple, the westward slope. It is remarkable that Camponotus tokioensis, which is known to be distributed only in the island and coast so far, is found to be distributed in the area of Sinwonsa temple as well.

  • PDF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Formicidae) in Korea (9) -Ant Fauna in Mt. Togyusan (한국산 개미의 분포에 관한 연구(9) -덕유산의 개미상-)

  • 최병문;방종렬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1 no.2
    • /
    • pp.101-112
    • /
    • 1992
  • For the studies of ant founa in Mt. Togyusan, we collected 476 colonies in 1986, 1989, and 1 1991. The communities of ants were composed of 4 subfamilies, 22 genera and 44 species. The a ants of Mt. Togyusan consisted of 21 species and 12 genera in Myrmicinae, 20 species of 6 g genera in Formicinae, 4 species of 3 genera in Ponerinae, and 1 species of 1 genera in D Dolichoderina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ants in Mt. Togyusan was distributed 41 species in 93% of total species at the altitude of 500 m. The upper limit line of vertical distribution was distributed of 5 species included Pacycondyla astutus and Messor aciculatus at the a altitude of 700 m, and 10 species included Ponera japonica, Leptothorax congrus, ,Lasius b brunneus, and Parairechina flaevipes at the altitude of 1000 m.

  • PDF

Evolution of Velocity Distribution due to Secondary Currents in Sharp Open Channel Bend (급변곡선수로에서 이차류에 의한 유속분포 변화)

  • Kim Tae Won;Park Jae Hyeon;Lee Kil Seong;Lim Chang 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62-366
    • /
    • 2005
  •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 흐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중심각이 $180^{\circ}$인 급변곡선수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3차원 유속장 측정은 side-looking ADV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흐름이 하류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최대 종방향 유속이 하상 근처에서 발생하였으며, 이차류에 의한 이송모멘텀의 분포 값이 바뀌는 단면에서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가 대수분포를 만족하지 않음을 파악하였다 직선하천과는 달리 만곡부 내에서 흐름이 하류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가 변형되는 현상과 관련된 메카니즘은 지형학적 원인에 의한 원심력 작용은 이차류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이송 모멘텀이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를 변형시킨다.

  • PDF

Distribution of Benthic Molluscs in Soft Bottom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남해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연체동물의 분포)

  • Je, Jong-Geel;Chang, Man;Park, Heung-Sik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7 no.1
    • /
    • pp.30-48
    • /
    • 1991
  • 한국해역 종합 해양자원도 작성연구(남해)의 일환으로 저서생물 분포 연구를 위한 조사가 1990년 7월과 8월에 남해에 위치한 83개 조사정점에서 수행되었다. 각 정점에서 van Veen그랩으로 3회씩 채집된 저서 생물 표본 가운데 연체동물만을 선별 그들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자 종 동정과 함께 군집구조 분석을 하였다. 조사에서 채집된 연체동물은 모두 679개로 다섯개 강에 102종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매패류가 출현종수(84.3%)에서나 출현개체수(92.3%)에 있어서 절대우점하였다. 전체 연체동물군집에서 우점하는 일곱 종(이매패류 여섯 종, 무판류 한 종)이 전체 출현개체수의 61.0%를 차지하였다. 남해의 연체동물은 종은 다양한 반면에 서식밀도나 생물량은 매우 빈약하였다. 출현종의 서식 유무에 따른 유사도로써 집괴분석한 결과 다섯개의 조사정점군으로 나누어지고, 이 들은 특징적인 분포 특성을 갖는 두 정점군과 혼합된 특성을 나타내는 세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전자의 두 정점군은 Raetellops Pulchella와 Periploma otohimeae로 대표되는 황해의 저층냉수의 영향을 받는 세립퇴적물 군집과 뚜렷한 대표종은 없지만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이질성의 조립퇴넉물 군집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정점군의 군집은 황해저층냉수의 정점군에 비해 종 다양도는 높지만, 서식생물량은 현저히 적었다. 아울러 연체동물의 분포와 남해의 퇴적환경이나 수괴의 조성과 변화를 고려하여 남해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군집에 있어서 네 개의 분포구역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그 범위와 경계를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Formula for the Vertical Profile of the Longitudinal Velocity in Sharp Open Channel Bend (급변곡선수로에서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식 개발)

  • Kim Tae Won;Lee Kil Seong;Park Jae Hyeon;Lee Sa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23-1127
    • /
    • 2005
  •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 흐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중심각이 $180^{\circ}$인 단일 만곡부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분석한 후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 흐름특성을 재현하기 위해서 원주형 종방향 운동 방정식에 와점성 개념을 도입하였다. Rozovskii의 종방향 그리고 연직방향 유속식들을 도입하여 이론식을 개발하였다. 이론식의 수리학적 변수들은 원심력 항, Chezy 계수, 그리고 전단유속 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식은 곡률반경을 따라 변화하는 만곡부 내에서 종방향 유속의 연직분포가 변형되는 현상을 재현하고 있다. 이론식은 본 연구에서 실험을 통해 취득한 관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Shel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3 Species Belonging to Genus Mytilus (Mytilidae: Bivalvia) in Korea (한국산 홍합속 (Mytilus) (홍합과 : 이매폐강) 3종의 형태 특성과 분포)

  • 제종길;장창익;이수형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6 no.1
    • /
    • pp.22-32
    • /
    • 1990
  • 홍합감시(Mussel Watch) 연구의 일환으로 1988년과 1989년에 남한 연안의 24곳에서 홍합(Mytilus)속에 속하는 종들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표본들의 패각의 형태 특성과 분포를 조사 분석한 결과 3종-홍합, 진주담치(M. edulis galloprovincialis), Mytilus sp. 로 밝혀졌다. 이 3종은 패각의 형태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리분포와 서식지 수직분포에서도 나름대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리분포에서는 수온이 수직분포에서는 종간 경쟁이 분포의 제한 요인인 것 같다.

  • PDF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in Korean Peninsula (한반도에서 종 분포 모델을 이용한 두 침입외래식물,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 예측)

  • Lee, SeungHyun;Cho, Kang-Hyun;Lee, Woojo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3
    • /
    • pp.189-200
    • /
    • 2016
  •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would b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how invasive alien species spread over the country and what environmental variables contribute to their distribu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wo invasive alien species, the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and knotgrass (Paspalum distichum)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ximum entropy (Maxent) model was used for the prediction of their distribution by inferring their climatic environmental requirements from localities where they are currently known to occur. We obtained their presence data from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and the Korean plant species databases and bioclimatic data from the WorldClim dataset. As a results of the modell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predicted by global occurrence data was more accurate than that by native occurrence data. The variables determining the common ragweed distribution were precipitation of the driest month and annual mean temperature. Both annual and the coldest quarter mean temperatures were critic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knotgrass distribution. The Maxent model could be a useful tool for the prediction of alien species invasion and the management of their expa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