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재생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31초

골연하 결손부에서 조직유도재생술의 장기적 방사선학적 변화 관찰 (Long-term radiographic evaluation of GTR treatment in intrabony defect)

  • 최미혜;박진우;서조영;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81-192
    • /
    • 2007
  • Periodontal surgery as part of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is mainly performed 1) to gain access to diseased areas for adequate cleaning; 2) to achieve pocket reduction or elimination; and 3) to restore the periodontal tissues lost through the disease; i.e., a new attachment formation of periodontal regeneration. To accomplish the latter, often referred to as the ultimate goal of periodontal therapy, a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advocated throughout the years. Clin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considerable gain of clinical attachment and bone can be achieved follow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 therapy of intrabony def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adiographic bone changes 2-year after GTR using a bone graft material and nonresorbable membrane. Pati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studied. Patients had clinical and radiographic evidence of intrabony defect(s), 33 sites of 30 patients aged 32 to 56 (mean age 45.6) were treated by GTR with a bone graft material and nonresorbable membrane. Baseline and 2-year follow-up radiograph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this study. Radiographic assessment includes a bone fill, bone crest change, defect resolution, and % of defect resolution. Pre- and post-treatment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maxilla and mandible, defect depth, defect angle, bone graft materials) using the paired t-test were examined. We observed $2.86{\pm}1,87mm$ of bone fill, $065{\pm}0.79mm$ of crestal resorption, $3.49{\pm}2.11mm$ of defect resolution, and $44.42{\pm}19.51%$ of percentage of defect resolution. Mandible, deeper initial defect depth, narrower initial defect angle showed greater bone fill, defect resolution, and % of defect resolution.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xenograft and allograft. Outcome of GTR as a therapy of intrabony defect was better than other therapy, but herein, good oral hygiene maintenance as a anti-infective treatment and periodic recall check of patients are essential.

표피성장인자가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의 증식과 부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F ON PROLIFERATION AND ATTACHMENT OF HUMAN PERIODONTAL FIBROBLASTS)

  • 이종은;김종관;김성오;김연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5-402
    • /
    • 2005
  • 손상 받은 치주 조직의 치유과정은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의 세포 활성도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치유과정 중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간의 재부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표피성장인자가 치주인대 세포의 증식과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향후 완전 탈구된 치아의 보관용액이나 재식전 처리제로서의 표피성장인자의 효용성을 고찰해 보기 위함이다. 발치된 사람의 제 1소구치에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를 채취 및 배양한 후, 세포독성을 및 세포의 최고 활성도를 평가 하기 위해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표피성장인자가 첨가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세포증식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western blot을 통해서 세포 부착에 관여하는 섬유결합소의 발현을 실험군과 대조군을 통해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표피성장인자는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으며, 최고의 활성도를 보이는 농도는 10ng/ml였다. 또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배지내 증식정도는 10ng/ml의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세포간 부착에 관여하는 섬유결합소의 발현율이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표피성장인자는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며 따라서 완전 탈구된 치아의 보관용액이나 재식전 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초파리 장조직에서 Caudal 전사조절인자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조절 (Regul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by the Homeodomain Transcription Factor Caudal in Drosophila Intestine)

  • 이신해;황미선;최윤정;김영신;유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00-1607
    • /
    • 2012
  •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세포외골격의 주요 조절효소로, 배아발생, 혈관생성, 상처치료 및 조직 재생과정에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MMP의 조절 이상은 비정상적 세포외골격 분해로 인해 암 전이와 같은 질병을 일으킨다. 따라서, MMP의 발현과 활성은 엄격하게 조절되고 있다. 최근, 초파리 Mmp1이 소화기관에서 강하게 발현되며, 장줄기세포의 비정상적인 활성을 억제하여 장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함을 밝혔다. 하지만, 장조직에서 Mmp1의 발현 조절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조직에서 Mmp1의 발현이 장 발생과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Caudal homeobox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연구하였다. GAL4/UAS 조절계를 이용하여 장조직 특이적으로 Caudal의 발현을 감소시켰을 때, Mmp1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Caudal을 과발현 시켰을 때, Mmp1의 발현이 증가함을 in vitro와 in vivo 실험 모두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Mmp1 promoter에 Caudal 전사인자 결합 부위가 존재하며, 이 부위가 Mmp1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는, 정상적 혹은 암화 과정에서 Mmp1이 Caudal의 표적 유전자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JS-17 Collagenase.)

  • 임경숙;손승희;강호영;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57-663
    • /
    • 2005
  • Collagnase는 천연 collagen의 triple-stranded helix를 분해할 수 있는 protease로서 조직의 수복과 재생 과정에서 collagen의 재형성과 세포의 이동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숙주 감염시에는 collagen 기질을 빠르게 분해함으로써 감염을 돕는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가정에서 식용하는 김치로부터 collagen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하였으며 이를 Bacillus subtilis JS-17이라 명명하였다.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의 최적 생산 조건은 $1.5\%$ fructose, $1\%$ yeast extract, $0.5\%\;K_2HPO_4,\;0.4\%\;KH_2PO_4,\;0.01\%\;MgSO_4{\cdot}4H_2O,\;0.1\%\;citrate,\;0.1\%\;CaCl_2(pH\;7.0)$의 배지에서 $30^{\circ}C$, 200 rpm으로 72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이다. 최적 조건에서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를 Amberlite IRA-900 column chromatography, Sephacryl S-300 HR column chromatography, DEAE-Sephadex A-30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분리 정제하고, 얻어진 정제 효소의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의 비활성은 growth medium에서 192.1 units/mg였고, $1.1\%$의 수율로 얻어졌으며 분자량은 28 kDa이었다. 정제된 collagenase는 $55^{\circ}C$까지는 $100\%$의 활성을 유지하였고 $65^{\circ}C$에서도 $60\%$ 정도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pH $6.0\~9.8$에서 $6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는 metalloprotease inhibitor인 EDTA와 O-phenanthroline에 의해 효소 활성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Ammoninum persulfate, L-cysteine, N-ethylmaleimide, SDS, $NaN_3$, NaF, $KMnO_4$, PMSF에 대해서도 활성이 감소하였다. 정제된 collagenase를 여러 가지 기질에 대해 효소 활성을 비교한 결과 collagen (type I)에 대해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있었다.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trichloroacetic acid와 epidermal growth factor의 순차적 방출을 적용한 인간치은섬유아세포의 세포생존 관련 유전자 연구분석 (Analysis of cell survival gene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after sequential release of trichloroacetic acid and epidermal growth factor using the nano-controlled release system)

  • 조준연;이성복;이석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3호
    • /
    • pp.145-157
    • /
    • 202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구강연조직재생에서 인간치은섬유아세포에 hydrophobically modified glycol chitosan (HGC) 기반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적용 시 PI3K-AKT 신호전달의 세포생존 연관 유전자를 통해 trichloroacetic acid (TCA)와 epidermal growth factor (EGF)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TCA와 EGF를 방출하는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실험군은 3가지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CON), TCA-담지형 나노방출제어시스템 투여군(EXP1), TCA-와 EGF- 담지형 나노방출제어시스템 투여군(EXP2). 인간치은섬유아세포 배양 후 PI3K-AKT 신호전달에 연관된 총 29개 유전자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분석했다. 일요인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세포생존 관련 유전자들은 EXP1과 EXP2에서 상향조절되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ITGB1이 AKT1의 발현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소로 결정되었다. 결론: HGC기반 나노방출제어시스템을 통한 TCA와 EGF의 적용은 세포생존에 관한 신호전달을 상향 조절시킬 수 있다.

R.F. Sputtering 방법에 의한 상변화형 광디스크의 $(ZnS)_{1-x}(SiO_2)_x$ 보호막 형성에 미치는 전극거리의 영향 (The Effects of Electrode Distance on the Formation of $(ZnS)_{1-x}(SiO_2)_x$ Protective Films in Phase Change Optical Disk by R.F. Sputtering Method)

  • 이준호;김도훈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2호
    • /
    • pp.1245-1251
    • /
    • 1999
  • 상변화형 광디스크는 직접 반복기록에 의한 고속기록, 고밀도화가 가능하고 높은 전송속도, 재생신호의 C/N (carrier to noise) 비가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반복되는 열에너지에 의한 디스크의 변형과 소거도의 저하, 기록 반복성의 저하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반복성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적절한 디스크의 구조와 기록막의 상하부에 유전체 보호막인 ZnS-$SiO_2$ 박막층을 삽입하였다. 박막 제조시 많은 실험변수의 제어를 위해 다꾸찌 방법을 통하여 타겟 R.F. Power 200W, 기판 R.F. Power 20W, 아르곤 압력 4mTorr, 전극거리 6cm의 최적조건을 얻을수 있었다. TEM과 XRD분석 결과, 전극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높은 증착속도로 인하여 미세한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정거리 이상 가까워지면 막의 morphology에 나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막의 morphology의 영향으로 투과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M과 SEM분석에서는 전극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높은 증착속도로 인하여 morphology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증착한 박막은 우수한 morphology를 가진 초미세구조의 치밀하고 결함이 없는 박막이었다. 이 박막은 상변화형 광디스크에서 열적 변형을 억제하고, 열전도를 감소시켜 우수한 유전체 보호피막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거리가 ZnS결정립의 크기와 증착속도, morphology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rh-BMP-4가 재식치아 치주조직의 재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ERIODONTAL REGENERATION OF REPLANTED TEETH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RH-BMP-4)

  • 이세준;최경규;박상진;최호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2호
    • /
    • pp.170-179
    • /
    • 2000
  • The rh-BMP-4 is a subgroup of TGF-${\beta}$ superfamily. The application of rh-BMP in alveolar bony defect was reported to new alveolar bone and new cementum formation. For minimized complications following tooth replantation, a operator must replant a tooth fast at the pertinent position.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rh-BMP-4 on periodontal regeneration and root resorption following tooth replantation in rats. The 50 Sprague-Dawley rats weighting about 130gm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 immediate replantation after extraction : Group 2 ; replantation stored teeth extraction of first molar, the removal of periodontal ligament with collagenase, and etching with citric acid : Group 3 ; replantation stored teeth with treated rh-BMP-4 in mesial root.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3, 7, 14 days after replantation by heart infusion. The maxillae were removed, fixed, demineralized, dehydrated, infiltrated and embedded with JB-4 mixture. For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5 micron sections were cut and stained with toluidine b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fter experimental 3 days, all groups were observed dead space between periodontum and root. 2. After experimental 7 days, group 1 and group 3 were observed filling periodontal fibers between alveolar bone and root but group 2 were not. 3. After experimental 7 days, group 3 were observed appearance of attached cementoblast like cell on root surface. Group 1 were observed regular arrangement of fibroblasts and collagen fibers at ${\times}400$ observation. 4. After experimental 14 days, all group were observed filling periodontal fibers between alveolar bone and root. Group 1 were observed normal arrangement of periodontal fibers. Group 3 were observed less abnormal arrangement of periodontal fibers. Group 2 were not observed functional normal arrangement of periodontal fibers. 5. After experimental 14 days, group 2 and 3 were observed several root resorption and irregular root surface but group 1 were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h-BMP-4 can stimulate cementogenesis and enhance to attach collagen fibers.

  • PDF

Orotic Acid-유발 지방간에 미치는 Capsaicin의 개선효과 (Improvement Effect of Capsaicin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 전방실;차재영;유기수;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15-820
    • /
    • 2004
  • Orotic acid(OA)-유발 지방간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농도, 임상생화학적 및 조직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cap-saicin(CS)성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본식이에 OA 1%, CS 0.02% 및 OA와 CS를 각각 1%와 0.02%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섭취 시켰다. 간장 중성지방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약 4.7배 현저히 증가하여 지방간이 유발되었으나, OA十CS 동시투여에 의해서는 간장 중성지방 농도가 OA군에 비해 38% 감소하여 지방간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OA 식이에 의해 간장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capsaicin 동시투여에 의해 감소하였다. Capsaicin 단독 투여는 간장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Capsaicin 투여에 의한 혈청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는 OA 첨가 또는 무첨가 식이군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간기능 지표 효소인 혈청 GOT 및 GPT 활성은 각 실험군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조직의 형태학적 관찰 결과, 대조군과 CS군은 정상적인 간소견을 보였으나 OA군의 간세포에는 소포성 지방 변성이 소엽 중심대로 주로 나타나 있고, 크고 많은 지방세포들이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그러나 OA+CS군의 간세포들은 손상된 세포가 재생될 뿐 아니라 소포성 지방세포들의 크기와 수가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capsaicin 0.02% 농도는 OA-유발 지방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천연 고분자가 함유된 락타이드 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필름에서 슈반세포의 부착과 증식 거동 비교평가 (Comparison between Poly(lactic-co-glycolic acid) Films Contained Natural Polymers on Adhesion and Proliferation of Schwann Cells)

  • 고현아;장지은;김형석;박찬흠;권순용;정진화;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164-17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신경세포인 슈반세포(SC)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생체재료를 연구하였다. 락타이드 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PLGA)에 탈미네랄 골분(demineralized bone particle, DBP), 소장점막하조직(small intestine submucosa, SIS), 그리고 실크를 각각 20% 첨가하여, 용매 증발법으로 각각의 필름을 제조하고, SC세포의 부착과 증식을 확인하기 위해 MTT, SEM 그리고 RT-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필름의 친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PLGA/DBP 20% 필름에서 높은 친수성을 보였으며, SC의 부착과 증식률이 다른 군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PLGA/DBP 필름은 중추신경재생 재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헤스페리딘/PLGA 필름에서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부착과 증식거동 (Adhesion and Proliferation Behavior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on Hesperidin/PLGA Films)

  • 이소진;강수지;김혜윤;이정환;김은영;권순용;정진화;주천기;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24-30
    • /
    • 2014
  • 망막색소상피(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는 시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RPE의 퇴화는 여러 망막변성질병을 유발한다. 현재 이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부족하여 세포 이식에 적합한 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와 항염증, 항산화 작용 등의 기능이 있는 헤스페리딘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ARPE-19를 파종한 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률을 확인하고, 세포의 부착 및 세포 형태를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RPE 세포의 특이적 유전자 발현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고, RPE65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AEC 면역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헤스페리딘/PLGA 필름은 PLGA보다 RPE 세포의 부착, 증식 및 표현형 유지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헤스페리딘/PLGA 필름의 망막재생을 위한 조직공학적 담체로써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