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수

Search Result 2,53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Passenger Recognition on a Passenger Seat (차량 조수석 탑승자 인식에 대한 연구)

  • Kim, Tae-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757-758
    • /
    • 2009
  • 본 논문은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한 차량 조수석 탑승자 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차량 내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획득하여 조수석의 탑승자를 모니터링 하여, 조수석에 탑승자의 존재 유무와 탑승자의 자세 등을 인식한다. 본 논문의 방법은 조수석 영역의 불변 특징을 추출하고 움직임을 검출하여 탑승자의 상태를 인식한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이 차량의 움직임과 밝기 변화와 같은 환경 변화에 강인한 인식 방법임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lf-Driving Robot for the Chasing and Eradicating of Harmful Wild Animals (유해조수추적 및 퇴치를 위한 인공지능 자율주행 로봇 개발)

  • Choi, Jeong-Hwan;Kim, Min-Sung;Kim, Hyung-Hoon;Shim, Hyeo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842-844
    • /
    • 2022
  • 각종 유해조수로에 의한 피해가 농가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Drone을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연구가 있엇지만 시간의 제약과 법적인 규제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Drone을 Caterpillar 구동형 모바일 로봇으로 대체하였고, 자율주행 기능을 추가하였다. 텐서플로우 객체 검출 딥러닝을 적용하여 유해조수를 학습 및 파악한다. 이 후 유해조수 인식 시 사용자에게 실시간 알림 서비스 및 실시간 스트리밍을 제공하고, 유해조수 퇴치 로봇에 장착된 스피커와 Neo Pixel LED을 이용하여 유해조수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하여 퇴치한다. ROS, SLAM과 Object Following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로봇을 제어하고 객체를 추적한다.

Harmful Tide Intrusion Detection Model Using YOLO (YOLO 를 이용한 유해조수 침입 감지 모델)

  • Park, Seong-Ho;Lee, Jin-Seong;Song, Bo-Mi;Park, Jang-Woo;Shin, Chang-Sun;Cho, Yo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1-53
    • /
    • 2021
  • 유해조수에 의한 농작물 피해규모는 2015 년 106 억원, 2017 년 126 억원에 이어 2019 년 137 억원으로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유해조수 중 조류에 의한 피해는 농작물 외에도 항공기, 전기/통신망, 양식장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발생한다. ICT 기술은 유해조수에 의한 농작물 및 시설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인식 및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유해조수 감지 및 피해방지를 위한 YOLO 기반의 감지 모델을 설계 후 유해조수 중 조류에 적용하여 테스트했다. 제안하는 모델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유해조수 피해 방지를 위한 다양한 응용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Development of Animal Tracking Method Based on Edge Computing for Harmful Animal Repellent System. (엣지컴퓨팅 기반 유해조수 퇴치 드론의 동물 추적기법 개발)

  • Lee, Seul;Kim, Jun-tae;Lee, Sang-Min;Cho, Soon-jae;Jeong, Seo-hoon;Kim, Hyung Hoon;Shim, Hyu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224-227
    • /
    • 2020
  • 엣지컴퓨팅 기반 유해조수 퇴치 Drone의 유해조수 추적 기술은 Doppler Sensor를 이용해 사유지에 침입한 유해조수를 인식 후 사용자에게 위험 요소에 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는 Drone의 Camera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경작지를 실시간으로 보며 Drone을 조종한다. Camera는 Tensor Flow Object Detection Deep Learning을 적용하여 유해조수를 학습 및 파악, 추적한다. 이후 Drone은 Speaker와 Neo Pixel LED Ring을 이용해 유해조수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해 도망을 유도하며 퇴치한다. Tensor Flow object detection을 핵심으로 Drone에 접목했고 이를 위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Tidal depositional processes and late Quaternary (Holocene and pre Holocene) stratigraphy i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한국 서해안 조수 퇴적과정과 제4기 후기(현세와 선현세) 층서)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9 no.1
    • /
    • pp.33-42
    • /
    • 1995
  • 우리나라의 서해(West Sea)는 일명 황해(Yellow Sea)라고 일컬어지는 약 40여 m의 평균 수심을 갖는 대륙붕 해저지형 분지에 의하여 지배되는 전형적 육연해이다, 그런데 이 바다는 중심부(황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대륙의 산동반도에서 양가강 하구에 이르는 서부 해안을 가지며 북부에는 발해만의 해안이 있고 동부에는 서해(황해) 특유의 넓 은 조수환경(tidal environment)과 조수해안이 발달한다. 그러나 남쪽으로는 북서태평양과 연결된다. 한국 서해안이 평균 4m 이상의 조차(tidal range)를 나타내는 조간대 조수환경이 며 조간대 해저지형(intertidal morphology)이 전형적인 퇴적층(체)에 의하여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지배되는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낸다. 서해안 조수환경은 네델란드 독일 또는 미국의 경우와 같이 연구가 잘되어 세계 적으로 널리 알려진 소위 barrier island system and tidal depositional environments와는 크 게 다른 퇴적과정과 환경이다. 경기도 남양만의 조수 환경의 경우, 조간대 해저지형 요소인 조류로(tidal channel)와 조간대 정규해저(intertidal zone proper)에 관한 동력적 퇴적과정 연 구결과 조간대 특유의 lateral sedimentation 과 vertical sedimentation 2가지 퇴적과정중 후 자의 퇴적과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러한 퇴적과정의 진행이 매우 안정한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퇴적과정의 조간대 퇴적물의 쇄설 입자는 약 20% 미만의 모 래(sand) 입자 50~70%의 실트(silt) 와 점토(clay) 입자가 20~30%에 달하는 입자조직 (grain texture)의 퇴적상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동력적인 조수수괴의 수위(level of tidal water)는 평균 만조선과 평균 저조선으로 한정되며 이것은 퇴적과정과 퇴적작용의 조정(control) 요인으로 조간대 퇴적상의 발달과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들면 남양만 등의 대부분의 서해안 조간대 표층 퇴적상(녁\ulcorner미 sedimentary faci-es)은 만조선에서 간조 선에 가까울수록 조립화현상(coarsening trend)을 나타낸다. 이러한 퇴적상 변화는 저조선에 서 만조선으로의 조간대 지형과 주조수로의 지형.수력학적 특성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a) a general decrease in width b) a general decrease in depth c) a general decrease in maximum and average current velocities d) a general increase in contents of suspended mud e) a general decrease in grain size of the bottom sand and an increasing abundance of muddy deposits. 우리나라 서해안 조간대 퇴적층(체)의 수직 층서(vertical stratigraphy)는 지난 3여년동안의 수십개의 vibracoring(주상시추)에 의하여 매우 흥미롭고 중요하게 밝혀지고 있는바 이것은 현세(Holocene)와 선현세(preHolocene: 11000 years BP)의 오랜시간 경과에 따른 조수환경 변화의 수직퇴적 과정과 기후 해수면 변화의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해석된다.(박용안 외, 1992-1995)결과적으로 서해안 조수퇴적체(층)의 분지주변(basim margin)진화과정이 밝혀지 고 있다.

  • PDF

Comparison of Morphomeristic Traits for Stock Discrimination of Gadus macrocephalus from South Sea and Yellow Sea, Korea (우리나라 남해와 서해에서 채집된 대구의 계수 형질 비교)

  • Gwak, Woo-Seok;Joo, Hyeong-Woo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9 no.4
    • /
    • pp.258-260
    • /
    • 2017
  • The morphomeristic features of Gadus macrocephalus was compared using fish samples from Jinhae Bay in the South Sea and Boryeong in the Yellow Sea, Korea. In total, 332 individuals were sampled from 2 location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morphomeristic features and determine applicability of it as a means of stcok discrimination of G. macrocephalu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vertebrae, 1st to 3rd dorsal-fin soft rays, 1st and 2nd anal-fin soft rays, pectoral-fin soft ray, pelvic-fin soft ray, and gill raker were found between two populations from Jinhae Bay and Boryeong.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revealed that morphomeristic features of G. macrocephalus was not applicable for stock discrimination.

Unconformity and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Tidal Deposits,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 남양만 조수 퇴적분지의 제 4기 퇴적층서와 부정합)

  • 박용안;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v.30 no.4
    • /
    • pp.332-340
    • /
    • 1995
  • To study stratigraphy of tidal basin deposits, related unconformity and source of late Holocene tidal sediments in Namyang Bay, west coast of Korea, total 8 vibracore sediments have been analyzed. The uppermost stratigraphic sequence of the late Holocene Namyang intertidal deposit overlies three different stratigraphic sequences (1) oxidized reddish brown muddy deposit (Yongduri Member), (2) oxidized yellow deposit (Kanweoldo Formation) and (3) the pre-Cambrian gneiss complex unconformably. Accordingly, three unconformities between those different sequences are recognized. The Namyang tidal deposits (late Holocene) with several meter thickness are mostly coarsening upward sequence suggesting transgressive phase during a continuous rise of sea level. The tidal deposit vibracored down to 4.5 m in depth contains clastic glauconite sands (2% in average) from 2.5 m to the vibracore bottom. These glauconite sands are considered to be transported to the site of Namyang Bay tidal sedimentation from offshore continental shelf of the Yellow Sea along the course of late Holocene sea-level rise.

  • PDF

A Multicopter Detecting and Combating Wild Animals Using a Microwave Doppler sensor (마이크로 도플러 센서를 이용한 유해조수 퇴치드론)

  • Lee, Seul;Kim, Jun-tae;Cho, Soon-jae;Cho, Beom-yeon;Jeong, Seo-hoon;Kim, Hyung-Hoon;Shim, Hyeo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34-37
    • /
    • 2019
  • The drone uses a Microwave Doppler Radar Sensor which operates at 10.525GHz to recognize harmful animal which intruded into the arable land. Moreover provide user with notification services on risk factors. Subsequently, the user the drone's camera and a camera-only app to watch the farmland in real-time, steer the drone directly, and use the NeoPixel LED ring and the speaker to stimulate the harmful animal's sight and hearing to induce escape.

Active Control of a New Cargo Handling System Adapted for Time-Varying Tide (조수간만의 차를 고려한 새로운 하역 시스템의 능동 제어)

  • Hyoung-Seok Kim;Dar-Do Chung;Seung-Bok Choi;Jae-Wook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6 no.2
    • /
    • pp.61-71
    • /
    • 1999
  • This paper resents a novel cargo system adapted for a sea port subjected to severe time-varying tide. The proposed system can perform loading or unloading by using a sort of hydraulic elevator associated with real-tim position control. As a preliminary phase, a small-sized model of the cargo system is designed and constructed. The model consists of three principal components ; container palette transfer(CPT) car, platform with lifting columns and cargo ship. The platform activated by the electro-rheological(ER) valve-cylinder is actively controlled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cargo ship subjected to be varied due to the time-varying tide and wave motion. Following the derivation of the dynamic model for the platform and cargo ship motions, an appropriate control scheme incorporating time sequence and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is formulated and implemented. Both the simulated and the measured control result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argo system.

  • PDF

Characteristics of Mass Transport Depending on the Feature of Tidal Creek at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South Korea (경기만 염하수로에서의 비정규 격자 수치모델링을 통한 조간대 조수로의 고려에 따른 Mass Transport 특성)

  • Kim, Minha;Woo, Seung-Buh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5 no.2
    • /
    • pp.41-51
    • /
    • 2013
  • The tidal creek dependent mass transport characteristic i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was studied using field measured data and numerical model. Gyeong-Gi Bay consists of 3 main tidal channels and contains a well-developed vast tidal flat. This region is famous for its large tidal difference and strong current. We aim to study the effect of tidal creek in the tidal flat on the mass exchange between the estuary and the ocean. For numerical application, the application of unstructured grid feature is essential, since the tidal creek has complicated shape and form. For this purpose, the FVCOM is applied to the study area and simulation is performed for 2 different cases. In case A,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idal creek is ignored in the numerical grid and in case B, the tidal creek are constructed using unstructured grid. And these 2 cases are compared with the field measured cross-channel mass transport data. The cross-channel mass transport at the Yeomha waterway mouth and Incheon harbor was measured in June, 9~10 (Spring tide) and 17~18 (Neap tide), 2009. CTD casting and ADCP cross-channel transect was conducted 13 times in one tidal cycle. The observation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ass transport has characteristic of the ebb dominance Line 1 (Yeomha waterway mouth), on the other hand, a flood dominant characteristic is shown in Line 2 (Incheon harbor front). By comparing the numerical model (case A & B) with observation data, we found that the case B results show much better agreement with measurement data than case A. It is showed that the geographic feature of tidal creek should be considered in grid design of numerical mod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ss transport characteristics over large tidal flat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