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사식품

Search Result 9,43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in the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감마선 이용 저염 새우젓 제조시 품질변화)

  • 이경행;안현주;이철호;김종군;신명곤;변명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430-436
    • /
    • 2000
  • 식품첨가제의 사용없이 저장성과 품질이 우수한 저염의 새우젓을 rokf하기 이한 바업으로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각각 10%, 15%, 20%로 조절한 새우젓에 감마선을 조사한 후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일반성분, 염함량, 수분활성도, pH, 총균수 및 관능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 및 발효기간 중 일반성분과 식염함량 및 수분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새우젓의 총균수와 pH는 식염농도와 감마선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변화가 적었다. 관능검사 결과, 15%의 식염 첨가와 10 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의 식염첨가와 5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를 병용처리한 새우젓을 발효시킨 경우 비조사구에 비해 적절한 미생물의 생육 억제로 저장기간 연장 효과를 보였고, 발효 10주까지도 관능적 품질이 적합하게 유지되었다.

  • PDF

방사선 조사 건고사리의 습열조리 중 연화속도

  • 성태화;김미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9.1-149
    • /
    • 2003
  • 방사선에 의한 식품 저장은 이미 그 건전성과 경제적 타당성이 인정되어 세계 여러나라에서 실용화되고 있다. 고사리(Pteridium aquilinum)는 참고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로서 봄철에 어린잎과 줄기를 삶아 물에 담구었다가 건조시켜 저장하였다가 이용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건고사리는 수확, 건조 및 저장 중에 비위생적인 관리 등에 의해 미생물의 증식 및 해충의 발생 등으로 품질이 크게 저하되어 저장상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방사선 조사된 건고사리는 불림시 연화현상이 나타났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Co-60감마선을 건고사리에 조사하여 습열조리 조건에 따른 연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즉, 건고사리에 조사선량을 0, 3, 5, 7kGy로 달리 하여 조사하였고 조리온도, 조리 시간에 따른 연화정도 및 연화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선량이 높을 수록 경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조리온도, 시간 및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활성화에너지는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건고사리의 가열 조리시 에너지가 감소 됨 이 확인되었다.

  • PDF

Estimation of Food Commodity Intake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bases: With Priority Given to Intake of Perilla Leaf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식품 섭취량 산출 방법 개발: 들깻잎 섭취량을 중심으로)

  • Kim, Seung Won;Jung, Junho;Lee, Joong-Keun;Woo, Hee Dong;Im, Moo-Hyeog;Park, Young Sig;Ko, Sanghoon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14 no.4
    • /
    • pp.307-315
    • /
    • 2010
  • The safety and security of food supply should be one of the primary responsibilities of any government. Estimation of nation's food commodity intakes is important to control the potential risks in food systems since food hazards are often associated with quality and safety of food commodities. The food intake databases provided b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re good resources to estimate the demographic data of intakes of various food commodities. A limitation of the KNHANES databases, however, is that the food intakes surveyed are not based on commodities but ingredients and their mixtures. In this study, reasonable calculation strategies were applied to convert the food intakes of the ingredients mixtures from the KNHANES into food commodity intakes. For example, Perilla leaf consumed with meat, raw fish, and etc. in Korean diets was used to estimate its Korean intakes and develop algorithms for demographic analysis. Koreans have consumed raw, blanched, steamed, and canned perilla leaf products.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he perilla leaf were analyzed demographically, for examples, the intakes by gender, age, and etc.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total perilla leaf were 2.03${\pm}$0.27 g in 1998, 2.11${\pm}$0.26 g in 2001, 2.29${\pm}$0.27 g in 2005, 2.75${\pm}$0.35 g in 2007, and 2.27${\pm}$0.20 g in 2008. Generally, people equal to or over 20 years of age have shown higher perilla leaf intakes than people below 20. This study would be contributed to the estimation of intakes of possible chemical contaminants such as residual pesticides and subsequent analysis for their potential risk.

Evolution of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s in the Food Industry (식품관련 기업 수요 인력에 대한 연구)

  • Yang, Sung-Bum;Lee, Seog-Won;Lee, Yong-Kwon;Kim, Hee-Dong;Han, S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5 no.1
    • /
    • pp.163-168
    • /
    • 2012
  • 본 연구는 식품 관련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요구되는 인력의 역량 항목과 전공과목의 업무 관련 중요도를 조사하고, 여러 종류의 식품 관련 자격증에 대한 가치를 추정하여 식품 관련 인력의 수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식품 기업과 공공 기관의 업무 경험이 적어도 3년 이상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 및 공공기간에서 신입사원 채용 판단 기준 분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인성 및 성격, 식품전문지식 및 컴퓨터 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별 및 공공기관으로 나누어 볼 때, 공공기관에서는 식품전문지식, 출신학교 및 학력이 기업군에 비해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자격증은 위탁급식업체에서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와 전문과목 관련 중요도 분석 결과, 법규 및 위생 관련 과목이 중요하게 판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신선편이식품에 대한 수요와 요구

  • 김건희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4 no.2
    • /
    • pp.2-7
    • /
    • 2005
  • 신선편이 농산식품에 대한 소비자 조사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과실 및 채소류의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마트가 $60.5\%$로 가장 많으며 연령이 감소할수록 대형할인마트에서의 구입 빈도가 높았다. 2. 과실과 채소류의 구입 빈도는 전업주부 보다는 직장인의 구입 빈도가 높았다. 3. 신선편이 농산식품을 구입하게 된 동기는 조리시간 단축, 적정량 구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입하지 않은 이유로는 비싼 가격과 신선해 보이지 않기 때문으로 대답하였으나 향후 구입 의향에 대해서는 $68.1\%$가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5.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구입경험은 $62\%$로 식품소비층인 30-40대, 고학력일수록 더 많이 구입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입경험이 있는 사람은 편리성, 신선함, 맛, 다양성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구입경험이 없는 사람은 익숙하지 않거나 비싸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구매 형태는 필요한양만큼 절단된 형태를 선호 하였다. 7.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적정가격 수준은 신선 과실 및 채소 가격의 $110-14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8.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구매 고려 품질요인으로는 신선함, 위생, 외관 등의 순 이였고 이들을 개선한다면 지속적으로 구매하겠다고 대답한 사람이 $87.7\%$로 조사되었다.

  • PDF

Rice processed products in China (해외 학술활동 - 중국내 쌀 가공 제품 시장 동향조사)

  • Ku, Kyung-Hyu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5 no.2
    • /
    • pp.208-215
    • /
    • 2012
  • 본 내용은 쌀 소비 촉진가공기술 산업화 연구단 과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중국 상해에서 개최하는 중국 최대 식품 박람회(SIAL CHINA)에 참석하여 쌀 가공 제품의 현지 소비자 반응 및 중국내 쌀 가공 제품 시장 조사를 통하여 국내 쌀 소비 촉진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청국장과 된장의 생리활성효과에 미치는 감마선의 영향

  • 손준호
    • Food Industry
    • /
    • s.168
    • /
    • pp.28-31
    • /
    • 2002
  • 한국산 콩 발효식품인 청국장과 된장의 생리활성효과에 대한 감마선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청국장과 된장은 시중에서 구입하였으며 5,10,20 kGy의 선량으로 조사하였다. 생리활성효과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xanthine oxidase inhibition, tyrosinase inhibition과 전자공여능을 살펴본 결과 10 kGy 보다 낮은 조사선량에서는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냉동식품에 대한 소비자 실태조사 보고

  • Korea Meat Industries Association
    • the MEAT Journal
    • /
    • s.30 winter
    • /
    • pp.91-95
    • /
    • 2004
  • 본보고서는 (사)한국육가공협회가 (주)리서치 앤 리서치 사에 의뢰하여 냉동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 구입, 소비자인식, 이용형태 등을 조사 분석하여 소비자 Needs 및 신제품 아이디어를 도출함으로써 냉동식품에 대한 효율적인 마켓팅 전략을 수립을 목적으로 한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임.

  • PDF

Key Foods selection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자료를 활용한 한국인의 주요 식품 (Key Foods) 선정에 관한 연구)

  • Lee, Jung-Sug;Shim, Jee-Seon;Kim, Ki Nam;Lee, Hyun Sook;Chang, Moon-Jeong;Kim, Hye-Yo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4 no.1
    • /
    • pp.10-22
    • /
    • 2021
  • Purpose: Key Foods refers to foods that have a high contribution in the nutrient intake of individuals, and exert important effects on their health.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Korean Key Foods,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Methods: The data source for the extraction of Key Foods was the 24-hour dietary survey data obtained from the 7th KNHNES (2016-2018), and 21,271 subjects were evaluated. A total of 17 nutrients were selected as the key nutrients for identifying the Key Foods, including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lipid, dietary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C, cholesterol, and sugars. The nutrient consumption approach was applied to generate a list of potential Key Foods. Foods included in 85% of the cumulative intake contribution from one or more key nutrients, were subsequently selected as Key Foods. Results: Of the 1,728 foods consumed by survey respondents, we extracted 728 Key Foods. These Key Foods explained 94% key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contribution rate to key nutrient intake, the top 10 Key Foods identified were multigrain rice (5.32%), plain white rice (4.23%), milk (3.3%), cabbage kimchi (2.82%), grilled pork belly (1.56%), apples (1.52%), fried eggs (1.49%), cereal (1.36%), instant coffee mix (1.21%), and sweet potatoes (1.12%). These 10 foods accounted for 23.93% total key nutrient intake of the survey respondents. Conclusion: Seven hundred and twenty-eight foods were extracted and identified as the 2020 Korean Key Foods. These Key Foods can be considered the priority foods to be analyzed for establishing a national nutrient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