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사구 면적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9초

콩 품종, 파종시기 및 작부체계가 콩 불마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rs, Sowing Date and Cropping System on the Development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in the Field)

  • 홍성준;김용기;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지형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3-787
    • /
    • 2014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생하는 콩 불마름병은 콩을 재배하는 많은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 발생 억제를 위한 저항성품종, 파종시기, 작부체계에 대한 효과를 포장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0여 품종을 자연 감염된 포장에서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푸른콩 등 14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30여 품종이 병반면적률 3% 이하의 중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마름병 감수성 품종인 태광콩을 5월 25일, 6월 5일, 6월 15일, 6월 25일 등 10일 간격으로 파종시기를 조절하여 병반면적률을 조사한 결과 23.3%-25.7%, 14.7%-18.0%, 10.7%-12.8%, 1.0%-2.7%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불마름병 발생이 가장 낮은 처리구는 6월 25일 파종구였으며, 발생이 가장 심한 처리구는 5월 25일 처리구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불마름병 발생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5개의 콩-동계작물 작부체계의 토양을 채집하여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존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작부체계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었으며 콩-보리 작부체계와 콩-마늘 작부체계의 병원균 밀도가 다른 작부체계보다 생존밀도가 낮았다. 더욱이 두 개의 작부체계는 콩 불마름병 발생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잎의 가시적(可視的) 피해(被害)에 따른 오존에 대(對)한 미류나무(Populus deltoides) 클론간(間) 감수성(感受性) 비교(比較) (Comparing of Clonal Sensitivity of Populus deltoides to Atmospheric Ozone with Use of Visible Foliar Injury)

  • 이재천;김인식;여진기;구영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10-18
    • /
    • 2001
  • 오존 환경에 클론간 감수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미류나무(Populus deltoides Marsh.) 10클론을 walk-in type인 4개의 chamber에 대조구, 50ppb, 100ppb, 150ppb 등 4가지 처리로 하루 8시간씩 21일간 계속하여 노출한 후 조기 낙엽율과 잎의 가시적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조기 낙엽율은 처리전과 비교할 때 저농도에서 고농도 순으로 처리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50ppb 처리구에서는 50% 이상의 높은 낙엽율을 보였다. 잎의 가시적 피해는 대조구와 50ppb 처리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00ppb 처리구에서는 피해잎 출현율(LA)은 17.3%, 피해면적(AA)은 6.5%로 본당 전체 피해율(LAA)은 1.6%로 나타났고, l50ppb 처리구에서는 피해잎 출현율 34.1%, 피해면적 17.5%로 전체 피해율 7.4%를 보였다. 잎의 가시적인 피해현상이 나타난 100ppb와 150ppb 처리구에서는 클론간에 피해의 차이를 보여 수종내 클론간의 감수성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납매탐구간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he Area of Donghaksa-Nammaetap. Kyeryongsan National Park)

  • 최송현;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2-267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남매탑구간의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64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구조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의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집분리를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 소나무 군집(I), 굴참나무-소나무군집(II), 서어나무-굴참나무군집(III), 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IV), 서어나무-까지박달군집(V), 신갈나무-서어나무군집(VI), 느티나무-졸참나무군집(VII) 그리고 느티나무군집(VIII)의 8개로 분리되었다. 연륜분석결과 이지역의 임령은 약 60년 안팍이었으며, 단위면적(100$\m^2$)당 평균출현종수는 15.0$\pm$3.2종. 평균출현개체수는 95.7$\pm$37.3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계룡산국립공원이 동학사-남매탑구간 지역은 소나무림에서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림을 거쳐 서어나무, 까지박달림으로 천이가 진행될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서울시 주요 습지유형별 생태적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Wetland Types in Seoul)

  • 이경재;권전오;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4-55
    • /
    • 2003
  • 서울시의 대표적인 습지유형인 저수지형습지(송파구 방이동 습지)와 묵은논형습지(은평구 북한산성 입구 습지)에 대한 현장조사(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를 실시하여 각각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현존식생에 있어 저수지형습지는 개방수면이 넓고 추수(抽水)식물인 갈대의 분포가 넓은데 반해 묵은논형습지는 수심이 전반적으로 낮고 일정하기 때문에 개방수면이 협소하고 습생(濕生)식물인 고마리의 분포면적이 넓었다. 식물상에 있어서는 저수지형습지에서 42과 80속 86종 8변종 1품종 95종류가 조사되는데 이중 나도겨풀, 마름, 수련과 같은 부엽식물과 좀개구리밥과 같은 부유식물이 조사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부엽식물과 부유식물이 조사되지 않았다. 그리고 묵은논형 습지에서는 35과 53속 57종 7변종 1품종 65종류가 조사되었다. 야생조류는 저수지형습지인 송파구 방이동 습지에서 28종 433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서울시 보호종 6종 모두를 포함하여 산새와 물새가 고르게 관찰되었다. 묵은논형습지인 은평구 북한산성습지에서는 32종 365개체가 조사되었는데 이중 천연기념물 1종, 환경부 보호종 1종, 서울시 보호종 4종이 관찰되었다. 저수지형습지에서 대상지 전반에 걸쳐 관찰되었으나 묵은논형습지에서는 경계부 산림지역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전체적으로 저수지형습지가 현존식생, 식물상, 야생조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수지형습지의 지형구조가 다양함에 따라 식생유형과 동물상이 다양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울릉도 성인봉지역의 해발고별 식생구조 (Altitudinal Vegetation Structure of Sunginbong in Ullungdo(Island))

  • 최송현;이경재;김종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0-296
    • /
    • 1998
  • 울릉도 성인봉지역(해발 984m)에 대해 해발고별 식생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해발고 l00m단위마다 l0m$\times$10m(l00$\m^2$) 조사구 4개씩을 설치 총 40개 조사구를 조사하였다. 군집의 분리를 위하여 TWINSPAN과 DCA를 이용하였으며, TWINSPAN분석 결과 해발 300m이하의 저지대, 해발 400~700m사이의 중지대, 그리고 해발 800m이상의 고지대로 구분되었고, DCA분석 결과 저지대와 중지대사이에 식생의 비연속성이 뚜렷하였고, 유사도지수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해발고별 종다양성분석에서는 해발고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다만 최대종다양도는 저지대로 갈수록 높았다. 밀도분석에서는 중지대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흉고단면적은 저지대가 높았다.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통영지구의 현존식생 및 식생구조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ongyoung District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오구균;추갑철;지용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7-330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통영지구와 욕지도에서 현존식생과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7월에 37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의 식생은 지리적 격리와 인위적 교란에 의해 지역간 식생구조가 상이하였다. 대상지의 식생은 곰솔림, 곰솔 - 소나무와 낙엽활엽수가 경쟁하는 혼효림, 낙엽활엽수림, 곰솔 - 소나무와 상록활엽수가 경쟁하는 혼효림, 상록활엽수림으로 총 5개 그룹으로 대별되었다. 조사대상지 대부분의 현존 식생은 곰솔림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록활엽수림은 추봉도, 용초도, 비진도, 욕지도, 유재도에 작은 면적으로 분포하였다. 통영지구와 욕지도의 식생구조는 소나무, 곰솔, 낙엽활엽수에서 구실잣밤나무 등을 거쳐 참식나무, 후박나무, 생달나무로 식생천이가 예상된다.

  • PDF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습지 주변 지역의 현존식생과 식물군락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ohamsan (Mt.) Wetland Area of the Surrounding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이상철;강현미;최송현;홍석환;이수동;조우;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3-44
    • /
    • 2014
  • 본 연구는 토함산습지 주변의 산림식생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토함산습지 주변을 지형적 관점에서 유역권을 설정하고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를 바탕으로 대표되는 8개 군락, 즉,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버드나무군락에 대해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토함산 습지는 해발고 490m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유역권의 면적은 약 $236,272m^2$이었다. 토함산 습지 유역권내 산림의 현존식생유형은 총 1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면적 중 신갈나무림이 $78,209.2m^2$로 전체 면적의 33.10%를 차지하고 있었다. 8개 군락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구($10m{\times}10m$) 3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 하였고, 각 군락별로 식생구조를 밝혔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 임령은 30~5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토양산도(pH)는 4.89, 유기물함량은 4.46%로 조사되었다.

벼 생육시기별 흰잎마름병 발병이 쌀 수량감소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cterial Leaf Blight Occurrence on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in Different Rice Growth Stage)

  • 노태환;이두구;박종철;심형권;최만영;강미형;김재덕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20-23
    • /
    • 2007
  •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간 벼 흰잎마름병 초발병 조사결과 2002년보다 초발병일이 20$\sim$30일 이상 빨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벼 흰잎마름병 발병시기 및 병반면적율에 따라 수량이 감소하였는데 병반면적률이 10% 이하에서는 피해가 적었으나, 병반적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수량감소가 점점 많아졌고, 25% 이상일 때부터 수량감소 및 현미천립중 등에서 현저히 낮아지고 병반면적율이 50% 이상이고 유수형성기 발병시 수량 29%, 현미천립중 2.3g, 현미완전립률 18%까지 감소되었다. 밥맛의 기준이 되는 식미치인 점도에서도 병반면적율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식미치를 보였다.

Image Analyzer를 이용한 수삼등급의 자동판정 II. 수삼의 적변판정 (Automatic Decision-Making on the Grade of 6 Year-Old Fresh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by an Image Analyzer II. Decision of Rusty Root of Ginseng)

  • 강제용;이명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6-9
    • /
    • 2002
  • 본 연구는 현재 수삼수납 시 품질검사요원의 관능검사로 판정되고 있는 6년근수삼의 적변판정에 대하여 영상분석기를 이용한 수삼의 적변 자동판정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영상분석기에 의한 수삼 총면적에 대한 grey valuequf 면적비율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회귀 및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상삼과 적변삼을 구별할 수 있는 임계값은 총 면적에 대한 grey value 148에서의 면적비율(G148)로 분석되었으며, 임계값인 G(148)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판별식을 구하였다. 적변삼의 판별식 : 6.67951$\times$G(148)+3.74122, 정상삼의 판별식 : 2.85942$\times$G(148)+9.95612, 본 판별식의 적중율은 89.8%로 이는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로 적변삼의 판정 적중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인 바, 컴퓨터 등 기계에 의한 적변 자동판정의 가능성은 매우 클 것으로 사료된다.

개간지(開墾地) 피복작물(被覆作物)로서의 "칡"증산(增産)을 위(爲)한 기초연구(基礎硏究) (Study on the High Yield of Kudzu (Pueraria thunbergiana Benthan) as Covering Crops of Reclaimed Soil)

  • 조재성;김영래;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43-149
    • /
    • 1975
  • 칡의 육종(育種)을 위(爲)한 기초청보(基礎情報)를 얻고져 충남(忠南)을 위주(爲主)로 4개지역(個地域)에서 42개(個)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을 달리하는 개체를 선발(選拔)하여 그 특성(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고 형질상호간(形質相互間)의 관계(關係)를 구(求)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칡의 잎은 형태별(形態別)로 편원형(扁圓形), 마름모형(形), 천열각형(淺裂刻形) 및 심열각형(深裂刻形)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엽면적(葉面積)은 30cm에서 220cm까지 분포(分布)되었고 분포(分布)의 형태(形態)로 보아 5계단(階段)로 분류(分類)된다. (2) 엽병장(葉柄長)은 5~45cm 사이에 분포(分布)되어 있었는데 잎의 열각(裂刻)과는 관계(關係)가 없었고 절간장(節間長)과는 오히려 -0.1759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엽면적(葉面積)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나타내었다. (3) 절간장(節間長)은 13cm에서 37cm사이의 분포(分布)를 보이고 있었던 바 절간장(節間長)은 잎의 열각(裂刻)이나 엽면적(葉面積)과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이지 않았으며 경태(莖太)와는 보통정도(普通程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4) 경태(莖太)는 3.0~3.5mm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出顯頻度)를 보였는데 경태(莖太)는 잎의 열각(裂刻)과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엽면적(葉面積)과는 5% 수준(水準)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