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도분포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9초

인쇄회로기판용 Au 패드의 산란 특성 측정 및 분석에 의한 산란 인자 추출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ight Scattering of Au Pads on PCB Surface to Extract Scattering Parameters)

  • 고낙훈;박대서;김영석;오범환;박세근;이일항;이승걸;최태일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4-14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Au 패드의 표면 조도와 산란 현상의 상관 관계를 연구하였다. 여러 가지 Au 패드에 대해 입사각을 달리하여 산란 각도 별 산란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표면 조도와 정반사 성분의 관련성을 이용하여 정반사 성분과 난반사 성분을 분리하였다. 최종적으로 분리된 난반사 성분을 physics based model에 곡선 맞춤을 수행하여 주요 산란 인자들을 추출하였으며 측정된 산란 인자와 비교를 통해 모델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자연하천 현장자료를 이용한 저항계수의 결정 (Determination of Resistance Coefficients Using Field Measurements in Natural Rivers)

  • 이종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B호
    • /
    • pp.139-147
    • /
    • 2012
  • 본 연구는 자연하천의 모래 179개, 자갈 992개, 조약돌 651개, 호박돌 53개 수로로 구성된 현장실측 1,875개 하천자료를 사용하여 흐름 저항에 대한 Darcy-Weisbach 마찰계수와 Manning의 조도계수 및 무차원 유속의 관계식을 각각 유도하였다. 멱함수 형의 이들 관계식은 유량, 수로경사 및 상대 잠수비에 대한 함수식으로 회귀분석과 반 경험적 방법에 의해 제안하였다. Box-Whisker 분석에 의한 Manning 조도계수의 실측치 분포는 각각 모래자료에서 0.004~0.151, 자갈자료에서 0.008~0.250, 조약돌 자료에서 0.015~0.327 및 호박돌 자료에서 0.023~0.444로 나타났다. 이들 반 경험적 관계식과 저항계수는 수공분야의 정보제공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딸기 전조재배 온실의 인공광 설치실태 및 조도분포 조사분석 (Current Status of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Distribution in the Greenhouse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 김태한;장익주;이경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1호
    • /
    • pp.19-24
    • /
    • 1999
  • Motivated by the need for developing the more efficient lighting system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in the greenhouse, this paper aims at acquiring and suggesting more concrete and scientific foundation of illuminating position, numbers of light source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distribution in the greenhouse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ing below: 1. The types of lighting system used in the greenhouse producing strawberries were classified as 1 line and 2 lines lighting system. 2. As for the arranging types of artificial light, 2 lines lighting system, were classified as Z-type, N-type and W-type. (Refer Fig. 3) 3. The results of illumination distribution for Z-type, N-type and W-type of 2 lines illuminating system in the greenhouse with a small size tunnel measured at the height of 1.5m from the ground with 220V, 100W lamp in 6m light gap showed that maximum illuminance are 961x, 1211x, 1251x, minimum illuminance are 4.41x, 4.71x, average illuminance are 33.71x, 43.11x, 44.51x and standard deviations are 28.31x, 35.41x, 38.31x at each types. 4. Proportion of the area below optimal illuminance to floor area at the two lines illuminating system of Z-, N-, and W-type in greenhouse were appeared as 39.4%, 26.0% and 26.3%, respectively. Also proportion of the area over optimal illuminance to floor area at the two lines illuminating system of Z-, N-, W-type in greenhouse were appeared as 16.8%, 14% and 14.7%, respectively. Thus N-type was superior to the others from the view points of optimal illumination distribution and energy saving.

  • PDF

태양의 위치에 따른 광파이프 시스템의 실내 주광환경평가 (Assessment of Daylight Environment on Light Pipe System Under Different Solar Position)

  • 신화영;김정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78-86
    • /
    • 200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daylight environment of a light pipe system according to sun movement. A light pipe system has been mounted on the roof of the windowless full scale model: the solar spot has diameter of 0.65m and is 1.3m long, giving an aspect ratio of 1:2. The full scale model was installed on the rooftop of the SHINAN apartment in Yongin city that has no obstructions against sunlight. The test room is equipped with sensors for the measurements of the internal illuminance and has an area of 6m(W)$\times$6m(D)$\times$4m(H). The system has been monitored with a data-logger to evaluate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illuminance on a floor-plane from 16th, April to 29th, May, 2008 over one month and selected clear sky condition. For the daylight performance of floor area, the totally 49 measuring points has been used to determine the internal illuminance and an HP datalogger(HP34970A) records the measurements for one consecutive month. The horizontal external illuminance has been measured with two outdoor sensor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monitoring light pipe system with internal/external illuminance ratio an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 of floor-plane illuminance are discussed The results show that lightpipe is proficient device for introducing daylight into the building. However It provided different daylight indoor environment with wide or narrow Interquatile range of illuminance, internal/external illuminance ratio and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 according to solar positions under suuny sky condition. For more achieving the improvement of lightpipes also include energy savings, user visual comfort with various indicators; seasonal solar height, room and lightpipes geometries.

$CO_2$ 클러스터 표면 처리를 이용한 그래핀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최후미;김장아;조유진;황태현;이종우;김태성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655-655
    • /
    • 2013
  • 그래핀은 높은 전자 이동도, 열전도도, 기계적 강도, 유연성 등의 고유한 특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전자 소자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성장 및 물성에 관한 규명, 응용 소자에 따른 특성 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소자 특성은 그래핀 물성에 의한 영향이 기본적이지만 에칭, 전사 등의 공정 중 발생하는 오염, 표면 특성, 잔여물 등에 의한 물성 변화 또한 분석 및 제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열화학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한 그래핀 합성은 구리 기판을 사용하며, 합성된 그래핀의 에칭, 박리 및 전사 공정이 있다. 이러한 공정 중 발생하는 오염 입자가 그래핀 표면에 흡착되거나, 제거되지 않은 PMMA 잔여물이 그래핀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_2$ 클러스터의 표면 충돌을 이용하여 이러한 오염 물질 및 잔여물을 제거하고 그래핀 표면을 평탄화하는 것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스 클러스터란 작동기체의 분자가 수십에서 수백 개 뭉쳐 있는 형태를 뜻하며 이렇게 형성된 클러스터는 수 nm 크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짧은 시간의 응축에 의해 수십 nm 크기 까지 성장 하게 된다. 클러스터를 이용한 표면 처리는 충돌에 의한 제거에 기반 한다. 따라서 생성 및 가속되는 클러스터로부터 대상으로 전달되는 운동량의 정도가 세정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생성되는 클러스터의 크기에 종속적이다. 생성 클러스터의 크기 분포는 분사거리, 유량, 분사 각도, 노즐 냉각 온도 등의 변수에 관한 함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수들을 제어하여 클러스터를 이용한 그래핀 표면 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가는 클러스터 표면 처리 전과 후의 특성 비교에 기반 하였으며,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표면 형상 측정, 라만분광 분석, AFM을 이용한 표면 조도 측정, 그래핀 면저항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를 통하여 표면 처리를 하지 않은 그래핀에 비하여 면저항과 표면 조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클러스터 세정은 300 mm 웨이퍼 크기 이상의 대면적을 짧은 시간에 건식으로 세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향후 최적화를 통해 그래핀 양산 시 특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하천의 하상재료 분류를 위한 초분광 영상의 분광특성 분석 (Analysis Spectral Distribution of Hyperspectral Image for Bed Materials Classification in River)

  • 이윤호;김서준;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3-133
    • /
    • 2019
  • 하천의 하상재료는 전반적인 하천 계획 및 정비 등의 기초자료이다. 특히 하천의 하상재료 조사는 하천의 조도계수 산정, 하천의 유사이송 특성 분석 및 하천 서식처 등의 하천환경 조사를 위하여 수행한다. 지금까지의 하천 하상재료 조사는 사람이 직접 하상토를 채취하거나 사진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스케치를 통해 진행하다보니 자료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사람이 직접조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필요하여 몇 개 지점을 대상으로 하상재료 조사를 수행해야 하는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천 환경 평가를 위한 하상재료 조사를 위해서는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물속의 하천 하상재료를 조사하는 것은 육안 또는 카메라를 이용한 조사로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하천 전체의 공간적인 하상재료 조사를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조도계수 산정을 위해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하상재료를 분류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천 환경 평가를 할 수 있는 하상재료 분포도를 만들기 위한 하상재료의 분광특성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분광 영상의 분광특성은 수백개의 밴드가 연속적으로 구성된 정보를 말하며, 영상 내 모든 화소의 파장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큐브형식으로 구성된다. 물체의 파장정보는 분광기나 초분광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수집할 수 있으며 파장정보는 파장과 이에 해당하는 영역의 반사도를 측정하여 하상재료의 분광반사특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다양한 하상재료들만의 고유 분광반사특성을 분석하여 하상재료별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상재료별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결과를 활용하여 무인기 기반의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하천 하상재료 분류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하상재료별 분광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고, 실제 하천에서 무인기 초분광 영상에 활용한 결과 수체가 존재하는 영역에서도 초분광 영상을 활용하여 하상재료의 분류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폴리설폰/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나노복합체의 제조 및 표면 특성 (Preparation and Surface Properties of Polysulfone/Organophilic 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 설경일;마승락;김용석;이재흥;원종찬
    • 접착 및 계면
    • /
    • 제4권4호
    • /
    • pp.15-21
    • /
    • 2003
  • 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의 함량을 0.25 wt%에서 9 wt%까지 변화시켜 가며 폴리설폰과 용액 블렌드하여 폴리설폰/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고, 필름으로 성형하였다. 제조된 폴리설폰/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나노복합체 필름은 XRD 및 TEM을 사용하여 박리여부를 확인하였다. 표면의 morphology 변화는 SEM 및 AF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폴리설폰 수지에 소량의 층상실리케이트 첨가시에는 표면 조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1.5 wt% 이상의 함량을 첨가하면 삽입만 일어난 층상실리케이트에 의해 표면 조도가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접촉각 측정을 통한 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함량에 따른 표면 장력의 변화도 1.5 wt%의 층상실리케이트 첨가량을 경계로 하여 변화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층상실리케이트의 함량에 따른 분산 효과에 의해 표면에서의 분포와 배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기 관측을 통한 설계풍속 추정 (Estimation of Design Wind Velocity Based on Short Term Measurements)

  • 권순덕;이성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A호
    • /
    • pp.209-216
    • /
    • 2009
  • 풍하중이 지배적인 구조물의 경우에 정확한 설계풍속의 산정은 구조적 안정성뿐만 아니라 경제성까지도 좌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양대교 현장에 설치된 관측탑에서 약 1년간 측정한 풍속을 사용하여 풍환경을 분석하였고, MCP(Measure-Correlate-Predict) 방법을 적용하여 관측치로부터 장기 풍속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광양만은 바다이지만 개활지에 가까운 풍속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조도지수는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풍향에 따라 난류강도와 조도지수가 상당히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MCP 방법으로 추정한 200년빈도 설계풍속은 초기설계치보다 20 m/s이상 낮았으며, 실측된 풍속과 거스트계수를 고려한 설계풍하중은 초기설계치의 36%밖에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국부적인 지형의 영향으로 추정한 교량 현장의 풍환경과 직접 측정한 풍환경은 차이가 나므로, 경제적이고 안전한 설계를 위해서는 단기간이라도 현장 풍환경 관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개수로 난류흐름에서 표면유속과 평균유속의 관계유도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Mean and Surface Velocity for Open-Channel Turbulent Flow)

  • 노영신;윤병만;류권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3-387
    • /
    • 2005
  • LSIV와 같이 영상해석기술을 이용한 유속측정방법은 하천의 표면유속을 측정하기 때문에 유량 산정을 위해서는 측정된 표면유속을 평균유속으로 환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SIV를 하천 유량 측정에 적용하기 위해서 개수로 흐름의 연직유속분포에 대한 기존 이론을 검토하고 하상 및 흐름조건에 대한 수리실험을 통해 표면유속으로부터 평균유속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실제 하천 측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수리실험결과 수표면 영역의 유속감소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유속감소는 조도에 비해 Froude 수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표면유속으로부터 평균유속을 추정하기 위해, 표면유속 보정량을 이용하여 후류법칙의 유속분포를 보정하는 방법과 평균유속과 표면유속의 비를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Simulation을 이용한 가로등용 LED 조명 모듈의 광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ptical Property in LED Module of Street Light Using by Simulation)

  • 신익태;아웅;이승민;조주웅;양종경;박대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Techno-Fair 및 합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49-150
    • /
    • 2008
  • 본 논문은 가로등 LED조명 설계를 위해 LED(Light Emiting Diode)소자 특성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광특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30^{\circ}{\sim}50^{\circ}$ 사이의 2차 렌즈 설계를 통해 조도 분포 특성 및 광분포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LED 모듈의 간격 배열을 통해 램프를 설계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2차렌즈 35도 각도와 LED 소자간의 간격을 3Cm로 설정할 경우 최적의 광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