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젠더 특성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광 이중 측파대 변조 방식과 16 QAM 신호를 이용한 부반송파/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성능 분석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Performance Limitations of SCM/WDM Systems Using Optical DSB Modulation and 16 QAM Signals)

  • 김경수;이재훈;정지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7-7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광 이중 측파대역 변조 방식과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신호를 이용한 부반송파/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성능을 부반송파 채널 간격, 누화 전력 량(crosstalk power), BER(Bit-Error Rate) 특성을 통해 연구하고 있다. 광 전송 링크에서 분산 특성과 자기 위상 변조, 상호 위상 변조와 같은 비선형 현상을 고려하였을 때 BER특성을 살펴보았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부반송파/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짓는 주도적인 인자는 마흐-젠더 변조기의 비선형 특성과 부반송파 채널 간격으로 관찰되었다. 광섬유의 분산에 의한 영향만 고려했을 때는 전송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주파수에 있는 부반송파 채널의 BER 성능이 나빠졌으나, 분산과 비선형 효과를 함께 고려되었을 경우 광섬유에 입사하는 전력이 클 때 높은 주파수에 있는 부반송파 채널에서 약간의 BER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스 시대의 남성복과 여성복에 표현된 젠더(gender) 특성 분석 (Analysis on Gender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Male and Female Costume During the Ancient Greek Age)

  • 이명희;최윤미
    • 복식
    • /
    • 제63권4호
    • /
    • pp.84-100
    • /
    • 2013
  • Ancient Greece was a patriarchal society that distinguished gender roles between men and women. Although their costumes were composed of simple rectangular fabric without any technical complications in itself, the Greeks did try to express gender differences in their clothing. The final look of the Greek costume was dependent on the way the cloth draped onto its wearer as well as the wearer's identity. Greeks costume could just be seen as a rectangular fabric when it was not draped on a person's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gender differences were expressed in the ancient Greek drapery costume, which was made by using a completely different technical process, compared with the modern tailored costume. There are four elements of the costume that give the costume its formative shape, which are the wearer's body, the rectangular fabric (material as the first formative costume), the way the fabric is draped, and the final appearance as the second formative costu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rer's body and the costume) and this study analyzes these elements individually.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gender characteristics and how each element appear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ism, an analytical method that considers a phenomenon as a total sum of the element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and representative sculpture, painting and pottery, were used between the Archaic Period (B.C. 800~500) and the Classical Period (B.C. 500~323). The results show that the gender differences appear in each formative element of costume: First, the body was distinguished by the ancient Greek custom. The man's nudity was accepted while the woman's body was concealed. Second, in regards to the first formative costume, which was the rectangular fabric, men's were made with thick high quality wool because their involvement in outdoor activities meant that they needed clothes to stay warm, while the women wore clothes made of thin wool or hemp cloth, because their most of their activities were at home. Third, the way to drape the fabric shows the gender differences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clothing and its design ; men's short khiton was practical for big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clothing exposed the man's body. The woman's doric khiton diversified its decoration by the size of the apotigma and by using the belt. Finally the second formative costume reflected the Greeks' social distinction between a man's body and a woman's body. The man's costume naturally exposed the man's body. On the other hand, the woman's long costume has a variety of shapes on the ground, that concealed her lower body, while the ornamental function was more accentuated than the man's costume. The gender differences expressed in Greek costume fundamentally reflected the point of view of the male and female body and their social roles in society.

문화정책 관점에서의 조선시대 여악에 대한 담론 연구 (Analysis on Policy Discourse of Female Traditional Musician in Joseon Era)

  • 권영지;홍기원
    • 지역과문화
    • /
    • 제6권3호
    • /
    • pp.29-53
    • /
    • 2019
  • 한국사회에서 여성예술인은 성불평등한 구조와 문화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부과된 여성예술가에 대한 왜곡된 대중적 인식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평상시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이러한 인식은 문화예술계의 미투(metoo) 운동에서 성폭력의 피해자를 대하는 이차 가해의 행위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특별히 전통예술분야에서의 여성예술인에 대한 인식은 식민지 시대와 해방 이후 근대화 시기를 기점으로 수립된 음악정책의 특성으로 인하여 그 지위가 더 저급화되는 결과를 낳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여악, 여기, 기생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던 조선시대의 여성 예술인들은 그 시대의 권력이 생산하는 지식의 장에서 그 정체성 및 역할과 기능이 만들어졌는데 다차원적인 담론의 층위 중 섹슈얼리티에 관련되는 부분만이 지속적으로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젠더적 분석 없는 전통예술지원정책이 조래할 수 있는 위험(성폭력이 용이한 구조의 지속 등)을 인식하는 가운데 여성예술인이 관련된 정책 담론의 계보를 확인하여 보다 적실성 있는 정책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지식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그 첫 단계로서 여성국악인을 둘러싼 조선시대의 담론을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 여악을 둘러싼 담론은 정치철학적 차원, 음악이론적 차원, 그리고 사회문화적 차원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들 중 어떤 차원이 지속성을 유지하게 되는가는 다음 단계의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완화진동억압을 이용한 10 GHz 고조모드잠금된 고리형 어븀첨가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 안정화 및 특성 측정 (Stabi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10 GHz harmonically mode-locked Er-doped fiber ring laser by suppression of relaxation oscillation)

  • 장지웅;이유승;전영민;임동건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8-64
    • /
    • 2002
  • 마하젠더형 광세기 변조기를 이용하여 l0 GHz 고조모드잠금된 분산보상 어븀첨가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 안정화 되먹임 제어를 하고 출력의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레이저의 출력 불안정성이 발생하였을 때 나타나는 완화진동 주파수 성분을 억압하도록 공진기 길이를 조정하여 16시간 이상 출력 안정화를 시켰다. 이때, 안정화가 진행되는 동안 rms 위상잡음과 rms진폭잡음은 각각 260 fsec-524 fsec와 4-11.5%의 사이에 분포하였고, BER은 $10^{-13}$ 으로 측정되었다.

이진 위상 홀로그램과 광학적 간섭계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using binary phase hologram and optical interferometer)

  • 김병열;서동환;조규보;신창목;김수중;김철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7-38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이진 위상 홀로그램과 간섭계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SA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숨겨질 마크영상의 이진 위상 홀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를 원 영상에 선형중첩 시킴으로써 워터마킹된 영상을 얻었다. 워터마킹된 영상에서 마크영상을 추출하기 위한 복호화 과정은 경로차가 같도록 구성된 마흐-젠더 간섭계를 이용하여 워터마킹된 영상의 위상변조 성분과 위상변조된 원 영상과의 간섭세기론 역푸리에 변환 함으로써 얻었다. 제안된 방법은 임의의 절단된 영상에 대해서 강인함을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위상 변조 특성이 있는 LCD를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구현하였다.

박사학위 소지자의 성별 임금격차 분해에 관한 연구 (Decomposing the Gender Pay Gap among Doctorate Holders)

  • 박기홍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3호
    • /
    • pp.61-93
    • /
    • 2018
  • 본 연구는 박사학위 소지자들을 대상으로 성별 임금격차와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 박사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표본조사인 박사인력활동조사를 이용하여 박사학위 소지자들의 성별 임금격차 수준을 우선 식별하고, 임금격차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 Oaxaca류의 임금격차 분해 모형을 이용하여 성별 임금격차를 두 집단의 인적특성 차이에 기인하는 임금차이와 임금방정식의 추정계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임금차별로 분해하였다. 분석 결과 임금격차 중 임금분해 모형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임금방정식의 구조적 차이로 인한 임금차별의 비중이 약 38~43%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박사학위 소지자들의 성별 임금격차에도 노동시장에서의 차별에 관한 문제의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3D 프린팅 : 새로운 산업혁명인가? (3D Printing : A New Industrial Revolution?)

  • 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1호
    • /
    • pp.1-11
    • /
    • 2019
  •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기술로 AI, IoT, Blockchain 등의 기술과 더불어 3D 프린팅 기술을 들고 있다. 3D 프린팅은 전통적인 생산방식인 subtractive manufacturing(SM)과는 대조적으로 additive manufacturing(AM)으로 그 영향력이 매우 커 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산업의 특성을 경제 관점, 생산 관점, 마케팅 관점에서 전통적인 방식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 측면에서 쟁점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아젠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는 3D 프린팅을 둘러싼 핵심적인 이슈 파악 및 향후 적용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학문적으로는 기존의 연구 이슈에 대해 쟁점을 정리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틀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실증적인 분석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PLC-기반의 마흐-젠더 간섭계 센서 제작 및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C-based Mach-Zehnder Interferometer Sensor)

  • 김준형;양회영;이현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390-390
    • /
    • 2008
  •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nd fabricated optical waveguides based on the Mach-Zehnder Interferometer (MZI) for application to sensor. The evanecent-wave sensor based on the MZI principle has sufficiently high sensitivity to measure the change of the refractive index on surface of a waveguide. The waveguides were optimized at a wavelength of 1550 nm and fabricated according to the design rule of 0.45 delta%, which is the difference of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core and clad. The fabrication of MZI optical waveguides was performed by a conventional Planar Lightwave Circuit (PLC) fabrication process. The fabricated MZI optical waveguide devic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the insertion loss of MZI optical waveguide device was below 3.5 dB and the polarization dependent loss (PDL) was within 0.1dB. In addition, we analyzed optical properties of MZI sensor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change of the sensor arm.

  • PDF

크라우드 펀딩에 나타난 리워드 한복의 현황과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Reward Hanbok in Crowdfunding)

  • 심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3호
    • /
    • pp.155-167
    • /
    • 2022
  • Hanbok, a traditional Korean clothing, became a hip culture for young people in the late 2010s. As hanbok brands for young people appeared and distribution channels changed for them, hanbok appeared on the crowdfunding platform. This study summarized characteristics of hanbok provided as rewards by funding projects in Wadiz, the largest crowdfunding platform in Korea.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first successful crowdfunding in 2015, it has shown rapidly growt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ame of reward hanbok, 167 reward hanbok appeared. The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women's hanbok, unisex hanbok and trendy hanbok period. Third, looking at characteristics of reward hanbok from each period, feminine Chollic onepiece during the women's Hanbok period adopted the feminine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men's Hanbok. Characteristics of reward hanbok during the Unisex Hanbok period are in the direction of the closure. By adopting the direction of the closure of hanbok that both men and women can use, unisex hanbok is appeared. Finally, reward hanbok during the trendy hanbok period reflected trends such as genderless and hip. Hanbok reflected various trends from home culture to COVID-19 that occurred around the world at that time.

대화형 인공지능을 위한 메신저 대화의 비윤리적 표현 연구 (Unethical Expressions in Messenger Talks for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 고예린;남길임;송현주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2-25
    • /
    • 2022
  • 본 연구는 대화형 인공지능이 비윤리적 표현을 학습하거나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메신저 대화에 나타나는 단어 단위, 구 단위 이상의 비윤리적 표현을 수집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비윤리적 표현은 '욕설, 혐오 및 차별 표현, 공격적 표현, 성적 표현'이 해당된다. 메신저 대화에 나타난 비윤리적 표현은 욕설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욕설에서는 비표준형뿐만 아니라 '존-', '미치다' 등과 같이 맥락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욕설 '존나류, 씨발류, 새끼류'의 타입-토큰 비율(TTR)을 확인한 결과 '새끼류'의 TTR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메신저 대화에서는 공격적 표현이나 성적인 표현에 비해 혐오 및 차별 표현의 비중이 높았는데, '국적/인종'과 '젠더' 관련된 혐오 및 차별 표현이 특히 높게 나타났다. 혐오 및 차별 표현은 단어 단위보다는 구 단위 이상의 표현의 비중이 높았고 문장 단위로 떨어지기 보다는 대화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혐오 및 차별 표현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단어 단위보다는 구 단위 이상 표현의 탐지에 대한 필요성이 있음을 학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