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 농약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Listing Procedure for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in Korea (한국의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 제도)

  • Lee, Sang-Beom;Seung, J.O.;Kim, S.S.;Kim, B.S.;Lee, B.M.;Oh, Y.J.;Kang, C.K.;Choi, K.J.;Hong, M.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5-276
    • /
    • 2009
  • 민간단체들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시작된 국내 유기농업은 친환경농업육성법(1997. 12.13)이 제정되면서 국가기관의 친환경농업 활성화 노력과 더불어 2008년 유기농재배 농가(8,460호)와 면적(12,033호)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또한 유기농업의 확산과 더불어 화학비료 및 유기합성 농약대체 친환경농자재들의 유통이 증가되고 있으나 관리규정이 없어 검증되지 않은 다양한 농자재들이 유통되어 친환경실천 농가들의 혼란이 초래되어 국정감사 시 문제점으로 지적과 함께 각계에서 관리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19964호, 2007.3.27.공포, 2007.3.28.시행)으로 농촌진흥청에 친환경농자재심의회가 설치되어 효과와 효능을 검증하지 아니하고 친환경농산물 중 유기농산물 생을 해 사용가능한 자재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는 목록공시제가 마련되었다.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는 1년에 4회 매분기말에 농촌진흥청 농자재관리과에서 접수를 받아 친환경농자재 분야별 전문위원회 검토 후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접수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농촌진흥청장이 공시(농진청 홈페이지, 관보게재)하고 친환경농업 관련기관 및 검토 신청자에게 통보함으로서 마무리된다.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유효기간은 2년이다. 친환경농자재심의위원회는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병 해충 관리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및 심의위원회 의원 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3월부터 2009년 11월 30일 현재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 제품은 (1) 양개량용 자재 25 개, (2) 작물생육용 자재 282개, (3)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자재 308개, (4) 작물병해 관리용 자재 110개, (5) 작물충해 관리용 자재 : 224개, (6) 작물병해충 관리용 자재 5개 및 (7) 기타 자재 1개 제품으로 총 955개 제품에 이르고 있다. 한편, 공시연장 미신청, 현재 검토기준안에 필요로 하는 추가요청 자료 미제출 및 공시이외의 물질 사용으로 국내유통 중 단속되어 부적합한 판정을 받아 20여 제품이 목록공시가 취소되었다. 앞으로 목록 공시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는 제품의 주성분 함량 표기, 시용효과 검정방법 선, 제조방법 현장점검, 안전성 검정 등 여러가지 제도보완 및 사후관리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 PDF

A Semi-Automatic Rapid System for In-Field Soil Phosphorus Measurement (현장 토양의 인 분석을 위한 반자동 신속 측정 시스템)

  • Lee, Sang-Yoon;Park, Hyo-Je;Han, Cheol-Woo;Lee, Seung-Yun;Kweon, G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0-120
    • /
    • 2017
  • 최근 국내 소비자들의 안전한 음식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배작물과 경작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등에 맞추어 적정 시비 및 재배관리를 적용하는 정밀농업이 시도되고 있다. 정밀농업은 농약 및 비료 등의 양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과다사용을 막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현재 토양의 수분, EC, pH등과 같은 항목은 신속하고 간단하게 분석이 가능하지만 토양의 필수 원소인 N, P, K 성분을 분석하는 제품은 상용화 되지 않았거나 가격이 비싸 일반 농가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특히, 토양의 인을 현장에서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경우 또한 없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많은 실험실에서는 이화학적 분석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분석법은 오랜 시간과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며 주변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기에는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토양의 인을 분석하기 위해 반자동 분석시스템을 제작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현장 토양을 이용한 신속측정법의 가능성($R^2>0.7$)을 확인하여 이 분석법을 바탕으로 반자동 분석시스템을 제작하였고 표준결과 값의 약 70% 이상의 수준을 목표로 하였다. 진주 지역의 현장 토양 20개 샘플과 반자동 침출 장치, 여과 장치, 발색 장치 그리고 통합 반자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표준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R^2$ 값이 각각 0.985, 0.817, 0.893, 0.837로 약 70% 이상의 수준을 달성하였다. 추후, 반자동 토양 인 신속측정시스템을 완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개발하고 주행 장치를 부착시켜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원하는 위치의 인을 측정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호박음료의 저장 중 품질변화 모니터링

  • 이명희;윤성란;오세금;이정일;이기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37.2-138
    • /
    • 2003
  • 농산물의 효율적인 가공.저장은 농산물의 안정된 공급과 물가안정에 크게 기여하며, 부가가치 향상과 식품관련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에도 필수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다. 호박은 전국 각지의 유휴지에서 별다른 시비나 농약의 사용없이 재배가능한 농산물로 vitamin C 및 vitamin A의 전구체인 carotene과 무기질, 식이섬유, 전분, 자당, 포도당 등이 풍부하다. 호박은 이뇨작용과 산후부종에 효과가 인정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당뇨병, 야맹증, 각막건조증 등에도 효과가 있다.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사회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식품소비의 양상도 크게 변화하여 편의식과 건강 지향적인 가공식품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건강식품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으나 미비한 실정이다. 호박은 특히 수분함량이 많고 조직의 연화현상 등으로 저장성이 낮아서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호박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호박의 이용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호박의 부가가치 향상 및 경쟁력을 가진 지역특산물화를 위하여 기능성을 갖춘 건강음료개발을 시도하였으며, 이러한 음료의 유통중 품질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호박음료의 유통중 품질변화는 저장온도(20, 30, 40, 50, 6$0^{\circ}C$) 및 저장기간(0, 2, 4, 6, 8 week)에 따른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실험을 행하여, 저장에 따른 당, 산, pH, 갈색도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반응표면분석을 하였다. 당도, 산도, pH 및 갈색도의 경우 저장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적 특성 중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저장온도 및 저장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 산도, pH의 경우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색도의 경우 저장온도 51.1$0^{\circ}C$ 및 저장기간 7.33 week일 때 최대의 갈색도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 있어서는 저장온도 32.52$^{\circ}C$ 및 저장기간 0.30 week일 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원식물로부터 미생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의 대량생산

  • Yang, Deok-Chun;Kim, Se-Hwa;Min, Jin-U;In, Jun-Gyo;Lee, Beom-Su;Kim, Jong-Ha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8.11a
    • /
    • pp.37-51
    • /
    • 2008
  • 인삼은 재배적지에 대한 선택성이 매우 강한 식물이며, 기후 토양 등의 자연환경이 적당하지 않으면 인삼의 생육이 곤란하고, 생육이 가능하더라도 생산된 인삼의 형태, 품질 및 약효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인삼의 식물학적 특성이 우리나라에서는 최적의 환경조건으로 인정되어 고려인삼은 세계적으로 최고의 품질로 높이 평가되는 이유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인삼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서구열강 및 일본에 의해 대다수 연구, 발표되었으며 또한 인삼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넓은 영토와 수많은 과학적 지식으로 고려인삼의 우수한 품질을 앞서가려 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특히 중국의 넓은 인삼재배면적에서 값싸게 생산된 인삼이 한국시장을 위협하고 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 수많은 연구비를 투자하여 자국삼인 화기삼의 홍보를 대대적으로 함으로서 전세계의 인삼시장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고, 호주, 뉴질랜드에서도 청정인삼을 내세워 한국 및 전세계 인삼시장을 잠식해가고 있다. 이런 변화에 의하여 한때 인삼의 종주국으로 전세계의 인삼시장을 석권했던 한국의 고려인삼이 과거의 위상을 점차 잃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삼재배면적이 경쟁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열세인 한국의 고려인삼이 선택할수 있는 방법은 비록 생산은 적더라도 고부가가치인삼을 생산하여 명품화로 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명품화를 위해서는 우선 고려인삼의 효능을 밝혀 고기능성을 입증해야하고, 재배생산단계에서부터 농약, 중금속등에 노출되지 않고 병에 자유로운 청정재배를 통해 명품화를 이룩해야 하며, 특히 제품의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 표준화를 통해서 전세계의 소비자가 믿고 사용할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삼에만 함유된 인삼사포닌(ginsenoside)은 배당체로서 여러 미생물에 의하여 당사슬이 끊어짐으로서 새로운 사포닌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포닌이 각종 함암, 면적, 치매, 관절등에 탁월한 효능을 보임으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에 있으며, 특히 인삼에만 함유된 것으로 알고 있었던 ginsenoside가 돌외(한약재명 칠엽담)에도 함유되어 있고 일부 성분은 미생물을 통해서 변환시킴으로 서 값비싼 인삼사포닌을 생장이 빠르면 비교적 값싼 돌외 사포닌으로부터 생산할수 있게 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각종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삼의 사포닌을 변환시키고 돌외 사포닌인 gypenoside를 ginsenoside로 변환시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Traceability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RFID (RFID를 이용한 농산물 생산이력정보 제공 시스템)

  • Im, Dae-Myung;Ham, Jong-Wan;Kim, Chang-Su;Min, Byung-Hun;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1042-1045
    • /
    • 2009
  • The Food is very important in our life, And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ood materials. For buying it, it's hard for the consumer to trust the agricultural products. That this reason, why they can't easily get the product information about agricultural productions. If you can get it, It is only mark of information about The country of production, They can not get reliable informations such as Producers, productions, residual pesticides, and soil conditions, etc. Accordingly, When consumers buy these agricultural productions, They want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In this paper, using an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who reads RFID TAG attached to products. Then, Acquired Certification Number sent to a web server. To get the Production informations and Safety Inspection Information. The way that consumers can trust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se Traceability systems were implemented.

  • PDF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CAB109 isolate with bioactivities to Spodoptera litura and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에 활성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CAB109 균주의 특성)

  • Kim, Tae-Hwan;Kim, Da-A;Kim, Ki-Su;Seo, Mi-Ja;Youn, Young-Nam;Yu, Yong-Ma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8 no.4
    • /
    • pp.509-517
    • /
    • 2009
  •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CAB109 isolated in Korea is known active against Spodoptera sp.. Especially, B. thuringiensis aizawai CAB109 isolates showed 100% mortality against Spodoptera litura and Spodoptera exigua. To screen highly active B. thuringiensis, the pathogenicity of B. thuringiensis CAB109 was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ized B. thuringiensis products. $LC_{50}$ values of CAB109, product TB-WP and product SC strains of B. thuringiensis were $1.3{\times}10^5$, $2.3{\times}10^6$ and $5.2{\times}10^5\;cfu/ml$ against the 2nd larva of S. litura and $1.8{\times}10^4$, $1.3{\times}10^6$ and $1.5{\times}10^6\;cfu/ml$ against the 2nd larva S. exigua, respectively. To determine new gene's existence and absence, the plasmid DNA was extracted, and compared to that of B.t. aizawai HD-133. Both B. thuringiensis were not like plasmid DNA pattern. PCR technique was used to predict both plasmid DNA's cry gene. PCR products analysis showed that B.t. CAB109 harbor Cry1Aa, Cry1Ab, Cry1C and Cry1D and B.t. HD-133 has Cry1Aa and Cry1Ab, respectively.

Biorefinery Based on Weeds and Agricultural Residues (잡초 및 농림부산물을 이용한 Biorefinery 기술개발)

  • Hwang, In-Taek;Hwang, Jin-Soo;Lim, Hee-Kyung;Park, No-Joong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30 no.4
    • /
    • pp.340-360
    • /
    • 2010
  •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ecolog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CO_2$ emissions climate change, growing world population, and future energy supplies are forcing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resources for energy (heat and electricity), transport fuels and chemicals: the replacement of fossil resources with $CO_2$ neutral biomass. Several options exist to cover energy supplies of the future, including solar, wind, and water power; however, chemical carbon source can get from biomass only.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environmental friend production and processing technology, the use of biomass can be seen as a sustaina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hemical feedstocks. The biorefinery concept is analogous to today's petroleum refinery, which produce multiple fuels and chemical products from petroleum. A biorefinery is a facility that integrates biomass conversion processes and equipment to produce fuels, power, and value-added chemicals from biomass. Biorefinery is the co-production of a spectrum of bio-based products (food, feed, materials, and chemicals) and energy (fuels, power, and heat) from biomass [definition IEA Bioenergy Task 42]. By producing multiple products, a biorefinery takes advantage of the various components in biomass and their intermediates therefore maximizing the value derived from the biomass feedstocks. A biorefinery could, for example, produce one or several low-volume, but high-value, chemical or nutraceutical products and a low-value, but high-volume liquid transportation fuel such as biodiesel or bioethanol. Future biorefinery may play a major role in producing chemicals and materials as a bridge between agriculture and chemistry that are traditionally produced from petroleum. Industrial biotechnology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mplement or replace the current petroleum-based industry and to play an important role.

Processing Factor of Matrine in Chilli Pepper (홍고추 중 matrine의 가공계수)

  • Noh, Hyun Ho;Lee, Jae Yun;Kim, Jin Chan;Jeong, Oh Seok;Kim, Hye Sung;Lee, Yong Hun;Choi, Ji Hee;Om, Ae Son;Hong, Su Myeong;Paik, Min Kyoung;Kim, Doo Ho;Kyung, Kee Sung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7 no.4
    • /
    • pp.244-248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calculate processing factor of the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 matrine in fresh chilli pepper by drying. Spray solution of matrine was prepared by dilution of the commercial product (2% active ingredient) with water at 1 : 1000 (v/v) ratio and sprayed onto chilli pepper plants at seven day intervals. Samples were collected at 0, 1, 3, 5 and 7 days after last application and then dried using a hot air dry oven at $60^{\circ}C$ for 36 hours until the water content was reduced to 14%. Recoveries and storage period stabilities of matrine in the samples ranged from 106.6 to 119.1% and 106.6 to 113.1%, respectively.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matrine in fresh chilli pepper and dried chilli peppers treated only once were found to be from less than 0.01 to 0.11 and from 0.03 to 0.25 mg/kg, respectively. In case of plants sprayed twice with matrine, the residual concentrations ranged from 0.02 to 0.12 and from 0.04 to 0.4 mg/kg, respectively. Processing factor of matrine in the fresh chilli pepper by drying was found to be from 1.5 to 3.3, indicating that the residual concentration of matrine in dried chilli pepper increased about two or three times by drying.

Effect of Korean Fermented Food Extracts and Bacteria Isolated from the Extracts for the Control of Rice Seed-borne Fungal Diseases (국산 발효식품 추출물과 발효식품유래 미생물을 활용한 벼 종자전염성 진균병 방제)

  • Kim, Yong-Ki;Hong, Sung-Jun;Shim, Chang-Ki;Kim, Min-Jeong;Lee, Min-Ho;Park, Jong-Ho;Han, Eun-Jung;Choi, Eun-Jung;Bae, Soo-Il;Jee, Hyeong-Ji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8 no.4
    • /
    • pp.383-395
    • /
    • 2014
  • When we investigated seed infestation by fungal pathogens from 51 varieties in 9 crops, the contamination rate of rice and sesame seeds was high. Therefore, to control seed-borne diseases, we obtained extracts from commercial products of Kimchi, Gochujang, Doenjang, Ganjang, Makgeolli and Tohajut and their suppressive effects against seed-borne diseases were studied. In addition, bacterial strains were screened to control rice seed-borne diseases in vitro and in vivo. Among forty food extracts, eleven food-extracts suppressed incidence of seedling rots in vitro and five food extracts increased 8-33% of healthy seedling in the greenhouse. Among 218 isolates from 40 fermented foods, 43 isolates showed hig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seven fungal pathogens. When we tested 43 isolates for the reduction of rice seed borne disease, 32 isolates were able to reduce the rice seed borne disease. Among 32 isolates, 17 isolates reduced significantly seedling rot and increased healthy seedlings, the other isolates except for Kc4-2 and Mkl 2-2 increased shoot emergence and the percentage of healthy plants. Thirty isolates with high antifungal activity and suppressive effect against rice seedling rots were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Twenty one of thirty isolates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p. Three isolates from Makgeolli were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B. amyloliquifaciens were isolated from six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except for Ganjang. B. amyloliquifaciens were majority in the effective bacterial population of Gochujang and Jutgal. Relatively diverse Bacillus species including B. subtilis, B. pumilus, and B. amyloliquificiens were isolated from Kimchi. The selected effective microorganisms from Korean fermented foods founded to be effective for controlling seed-borne diseases of rice in vitro and in the greenhouse. We think that Korean fermented foods and their useful microorganisms can be used as biocontrol agents for suppressing rice seed-borne diseases based on above described results.

Acute Ecotoxicity Evaluation of 3 Emulsifiable Concentrates Containing Garlic Extract, Zanthoxylum Extract, and Lemon Grass Oil Originated from Plant (식물추출물 마늘 추출액, 잔톡실럼 정유, 레몬그라스 정유 함유 유제 3종의 생태독성평가)

  • You, Are-Sun;Hong, Soon-Sung;Jeong, Mihye;Park, Kyung-Hun;Chang, Hee-Seop;Lee, Je Bong;Park, Jae-Yup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6 no.4
    • /
    • pp.376-382
    • /
    • 2012
  • Environment-friendly agro-materials are are likely to be preferred to chemical insecticides recently. For this reason, many studies are conducted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insecticides containing natural materials.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so as to assess ecotoxicity for Emulsifiable concentrate (EC) containing 30% of garlic extract or two plant essential oils (Zanthoxylum, Lemongrass) expected to prevent from pests and be used for agro-materials. Target species used to assess acute toxicity were invertebrate (Daphina magna), fish (Oryzias latipes), honeybee (Apis mellifera L.) and earthworm (Eisenia fetida). The $EC_{50}$ values for of garlic extract 30% EC, Zanthoxylum oil 30% EC and lemongrass oil 30% EC to Daphina magna were 3.3, 10, and $10mg\;L^{-1}$, respectively. The category of garlic extract 30% EC was moderately toxic, while those of Zanthoxylum oil 30% EC and lemongrass oil 30% EC were slightly toxic according to standard of USEPA. $EC_{50}$ for both of Zanthoxylum oil 30% EC and lemongrass oil 30% EC were more than $10mg\;L^{-1}$ then they were considered as slightly toxicity. In case of acute toxicity test to fish, $LC_{50}$ of garlic extract 30% EC was $3.3mg\;L^{-1}$. Zanthoxylum oil 30% EC and lemongrass oil 30% EC indicated $LC_{50}$ > $10mg\;L^{-1}$. Classification of acute toxicity to all test substances was in Korea criteria. Acute contact and oral toxicity test to Honeybee were conducted. As a result, $LD_{50}$ of all test substances were more than 100 a.i. ${\mu}g\;bee^{-1}$ in the acute contact test while $LD_{50}$ of garlic extract 30% EC was 4.4 a.i. ${\mu}g\;bee^{-1}$ and $LD_{50}$ of Zanthoxylum oil 30% EC and lemongrass oil 30% EC were more than 100 a.i. ${\mu}g\;bee^{-1}$. In case of acute toxicity test to earthworm, $LC_{50}$ of garlic extract 30% EC, Zanthoxylum oil 30% EC and lemongrass oil 30% EC were 267, 592, and $430mg\;kg^{-1}$, respectively. In conclusion, if the safety for earthworm is confirmed, these substances are expected to be use for environment-friendly insecticide materials with low risk against ecosystem and contribute to developing environment-friendly agro-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