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품만족도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29초

인터넷쇼핑몰에 대(對)한 만족도(滿足度)와 의류제품구매의도(衣類製品購買意圖)의 차이(差異) - 의상전공(衣裳專攻)과 비전공(非專攻) 대학생(大學生)의 비교(比較) - (Satisfaction about Internet Shopping Mall and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 Difference of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and Non Fashion Design -)

  • 박혜령;김시월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3호
    • /
    • pp.19-3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utilizing real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shopping mall and purchasing intention between group I that specializes in fashion design and group II that doesn't specialize in i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six aspects. First, as a resul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utilizing realities, the most different variables were the visiting frequency and the goods purchasing frequency. The result indicated that group II took more interests than group I. Second, as a resul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ctor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utilizing realities in the shopping mall, both group I and group II showe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in factor 1 (variety of event) whereas both groups showed relatively low degree of satisfaction in factor 3 (variety of goods). Third, as a resul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utilizing realities, group 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a monthly allowance of pocket money and goods purchasing frequency and group I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grade, the utilizing reason, goods purchasing frequency. Fourth, as a result of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utilizing realities, group I showed the higher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in group that the terms of payment was on-line payment than group that they was credit card. On the other hand, group I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which showed that group that was above third grade had the higher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than group that was under third grade. Fifth, as a result of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group 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 1 and factor 3 amo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other words, group that ha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in factor 1 showed the higher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than other groups and group that had medium degree of satisfaction in factor 3 showed the higher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than other groups. In group II, on the other hands, group that had high total degree of satisfaction showed the higher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than other groups. Sixth, as a result of relative influencing power of independent variable with respect to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in group I,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factor 1 and the lower degree of satisfaction in factor 3 showed, the higher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showed. As a result of relative influencing power of independent variable in group II, however, the higher grade and the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in factor 1 showed, the higher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goods showed.

  • PDF

친환경농산물 소비행태 조사 -대형할인마트 고객을 중심으로- (A Survey of Consumer's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Focused on Consumers in Discount Stores-)

  • 이유시;홍미현;류경;김애정;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23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 소비 성향을 조사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을 활성화하고 친환경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체의 90.4%가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방송, 언론 등을 통해서 친환경농산물의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고 76.4%가 친환경농산물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구매경험군은 주1회 구매, 구매이유는 농약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해서, 친환경농산물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월 식품비의 20% 미만, 주로 구입하는 친환경농산물의 종류는 엽채류, 과일류 순이며, 구입처는 대형할인매장과 농협직판장이었다. 일반농산물과 비교하여 영양적 품질, 관능적 품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우수하다고 나타났으나 가격에 대한 만족은 낮았으며, 유통상의 문제점은 생산, 제조자의 낮은 신뢰성이었다. 친환경농산물 비구매경험군의 소비행태를 조사해 본 결과 일반농산물과 비교하여 영양적 품질, 관능적 품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우수하다고 나타났으나 일반농산물에 비해 20-30% 정도 비싸기 때문에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선뢰성 확보방안으로 생산자에 대한 지도단속 강화가 가장 필요하였으며, 가격, 품질 등 문제 해결 시 93.2%가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 결과, 첫째는 소비자의 신뢰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고, 둘째로는 소비 확대를 위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 마지막으로는 생산 제품의 종류 및 품목수가 다양화되기를 제언하고자 한다.

수면무호흡 환자의 양압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발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가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 비교연구 (Design Concept Value Competitive Research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Receiver)

  • 이성필;정주영;이상기;홍정표
    • 서비스연구
    • /
    • 제7권4호
    • /
    • pp.39-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자(개발자)와 서비스 수혜자(고객)집단 간에 느끼는 디자인 컨셉 가치에 대한 비교연구로서 양압기(CPAP)를 중심으로 진행된 IoT기반 U-헬스케어 및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을 제시하여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더블다이아몬드(Double Diamond)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울산에 소재한 U병원 이비인후과와 공동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면 무호흡 수면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부터 구매 후 사용까지 다양한 의미 있는 경험을 발췌하고 고객 유형별 차이점을 분류 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시한 13개의 서비스 시나리오 모델을 대상으로 고객은 카노(Kano)만족도와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PCSI)평가를 진행하였고 개발에 참여한 서비스제공자 집단을 대상으로 스코어모델(+-)평가와 컨셉포지션(Concept Position)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총 12가지 문항에서 7가지 문항은 수혜자와 공급자 사이에서의 가치적 견해의 일치가 나타났으며 이는 사용자 환경기반 서비스모델 속성 이었으며, 반대로 가치적 견해가 상의한 결과인 5가지 문항은 IoT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속성에 포함 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야콘 가루를 첨가한 쌀쿠키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Powder)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0-112
    • /
    • 2014
  • 야콘을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야콘 가루 첨가 쿠키는 밀도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H는 야콘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야콘 가루 12% 첨가군이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대조군보다 야콘 가루 첨가군의 퍼짐성이 더 높았으며 손실률과 팽창률은 대조군이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야콘 가루를 첨가할수록 퍼짐성은 증가하고 손실률과 팽창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야콘 가루를 첨가할수록 쿠키의 색도는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낮아지고 적색도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야콘 가루 3%와 6% 첨가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야콘 가루 9%와 12%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낮은 경도 값을 보였다. 이는 야콘 가루를 첨가할수록 수분함량이 높았으므로 수분함량 차이로 인해 경도가 낮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야콘 가루 첨가 쿠키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야콘 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여 12%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외관의 기호도는 대조군과 야콘 가루 3%, 6% 첨가군을 선호하였으며 야콘 6% 첨가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여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맛의 기호도는 야콘 가루 6% 첨가군, 3% 첨가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6% 첨가군이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가루에 야콘 분말을 첨가하면 쿠키의 물성이나 기호도 등에서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성과 관능적 평가에서 6% 정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하여 야콘 쿠키의 건강 기능성 측면을 고려한 상품으로서의 소비자의 만족도와 제품개발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가정간편식 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의 요구도 및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A Study on Domestic Consumers' Need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Selective Attributes for Develop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 박성배;이현준;김혜영;황혜선;박대섭;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2-35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as well as it examined the consumers' needs and willingness to buy HMR products to explore the need for developing more HMR produc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domestic consumers living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s, in the age range from the 20s to the 50s, and who had experience in purchasing HMR products. From the 490 surveys retrieved, 472 (96.3%) valid surveys were analyzed. Results: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onsuming HMR produc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247 respondents answered '1-3 times a month' (52.3%); 167 respondents stated '1-2 times a week' (35.3%). With respect to the reason of purchase, 'simplicity of the recipe' was the most common, accounting for 188 respondents (39.8%), followed by 'time efficiency' accounting for 172 respondents (36.4%). Analysis of the demand for bibimbap (mixed rice) HMR products showed that 'chicken bibimbap' had the highest preference with 5.32 points, followed by 'bulgogi bibimbap' (5.08 points), and 'kimchi bibimbap' (4.96 points). In the case of HMR products that need to undergo further development, 'low-sodium products' received the highest points of 5.41 points, followed by 'small packaged products' (5.05 points), and 'functional products' (4.98 points). The factor analysis of the 13 selective attributes showed that they can be divided into 3 factors. The IPA analysis of the selective attributes of HMRs showed 'hygiene', 'taste', 'easy to go packaging', 'convenience in intake', and 'accessibility' in the 1st quadrant. In the 2nd quadrant, 'price' and 'freshness' were shown as the factors. In the 3rd quadrant, 'easy to serve', 'familiar food menu', and 'consistent menu' were shown as the leading factors, and in the 4th quadrant, 'saving labor' was the only factor.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concludes that with respect to developing HMR products, there is a high demand for low sodium, low calorie, small packaged products; thus, showing the need to develop various HMR products for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developing HMR products that can maintain freshness at an affordable price.

아울렛의 제품 가치가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duct Value of Outlet Stor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 최순화;정연승;김문섭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93-101
    • /
    • 2016
  • Purpose - As more consumers pursue high quality products at reasonable prices, Korean retail companies are increasing investment in expanding their outlet stores.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outlet business, there has been very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s' outlet shopping behavio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perceived product value (performance quality, value for money, and social value) of outlet stores and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shopping satisfaction on outlet store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uthors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in which performance quality, value for money, and social value of products are proposed to affect overall outlet shopping satisfaction, thus increasing customer loyalty.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88 shoppers at suburban outlets. SPSS 21.0 and AMOS 21.0 were utiliz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unidimensionality of each construct was supported from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test with Cronbach's α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warranted the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The fit statistics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demonstrated an acceptable fit(X2(161)=171.651, p=.000; X2/df=1.546; GFI=.821, NFI=.879, TLI=.942, CFI=.953, RMR=.035, RMSEA=.079). Results -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ived value of product performance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verall outlet shopping satisfaction. Consumers, who evaluate performance quality of the product more positively, tend to express stronger satisfaction and happiness about outlet shopping experience. Second, consumers' perceived social value of outlet products influenced their overall satisfaction significantly. Consumers who believe that products of outlet stores enhance self-concepts are more likely to satisfy with outlet shopping experience. However, consumers' perception of outlet products on value for money was not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Finally, overall shopp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loyalty. Conclusions - While outlet retailers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promoting competitively priced merchand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ustomers' overall satisfaction with outlet shopping is influenced more by the non-price-related product values. In the context of an outlet shopping environment, performance quality and social value of the products were found to be more critical predictors of customer overall satisfaction. Therefore, it would not be efficient for outlet retailers to highlight economic value of their merchandise. Instead, they ne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quality of the products regularly and try to deliver quality guaranteed goods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lso, outlet retailers should differentiate their businesses by carrying more unique and prestigious brands and emphasize higher social value and symbolic meanings of their products. As competition among outlet retailers are getting fierce, retail companies need to focus on strengthening customer loyalty with a long-term perspective. Wit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ceived product values and shopping satisfaction, outlet retailers will be able to develop customer loyalty strategies effectively and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Kano-IGA 통합접근법을 이용한 전자통관 서비스 품질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in Electronic Customs Clearance Making Use of Kano-IGA Integrated Approach)

  • 송선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54-61
    • /
    • 2019
  • 본 연구는 국가 관세행정 종합정보 시스템인 UNI-PASS의 서비스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Kano모형과 Timko의 BW계수, Tontini et al.의 개선갭분석(IGA)을 적용하여 전자통관서비스(UNI-PASS) 품질속성들을 비교 검토하고, 전자통관서비스 이용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품질 속성에 집중해서 서비스 품질을 제고해야 하는지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전자통관서비스 품질 속성의 분류에서는 Kano, Timko, IGA모형 모두가 공통된 4가지 품질속성인 매력적품질, 일원적품질, 당연적품질, 무관심품질로 분류되었다. Kano-IGA 통합접근법을 이용한 결과에서 일원론품질의 경우 개선이 시급한 1사분면 영역에 포함되었고, 당연적품질은 중점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한 영역인 2사분면에 포함되었다. 무관심품질은 Care free 영역인 3사분면에 그리고 매력적품질은 경쟁우위 영역에 해당하는 4사분면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전자통관서비스 품질속성을 일원론적 관점이 아닌 이원론적 시각에서 Kano모형에 의거 서비스품질 속성을 분류하였고, 더불어 Kano, Timko, 개선갭분석(IGA)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품질속성의 분류결과가 일치하는지와 영역별 개선우선순위와 영역내 개선 우선순위를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증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업종이 일부 특정 업종(일반기계 및 장비류, 전기전자제품류)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조심스런 해석이 요구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산업별, 업종별 비교분석이나 기업의 규모나 사용기간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설문문항의 측정척도는 리커트 5점 척도 보다는 7점 척도를 사용하여 판별력을 높이는 것도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카노모델을 이용한 스마트 트렁크 기능의 고객 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for Smart Trunk using the Kano Model)

  • 김동연;신훈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5-123
    • /
    • 2021
  • 최근 자동차 산업은 차량의 전동화, 디지털화 및 자율 주행으로 대표되는 신기술 도입으로 급변하고 있다. 국내외 주요 자동차 회사는 성능 위주의 제품개발에서 UX(user interface)로 고객에게 특별한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고객 만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에 대한 체계적이고 정성적인 연구방법으로 Kano 모델을 제안한다. 사례연구로 스마트 트렁크 시스템의 사용사례(use case)와 고객의 요구사양을 분석하여 17개의 기능(동작기능 3개, 안전기능 7개, 편의 기능 7개)을 정리하고 창의발상코드(creative ideation codes)를 이용하여 8개의 새로운 기능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기능별 고객이 느끼는 품질특성과 선호강도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트렁크 기능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품질특성을 분석한 결과, 25개의 기능 중 18개는 매력적 품질특성, 3개는 일원적 품질특성 그리고 4개는 일원-당연 복합 품질특성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일원적 품질특성과 일원-당연복합 품질특성을 갖는 기능이 매력적 품질특성의 기능보다 상대적으로 고객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트렁크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업은 고객의 불만을 최소화하고 고객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인공지능 스피커의 세대별 온라인 리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경험 요인 탐색 (Exploring user experience factors through generational online review analysis of AI speakers)

  • 박정은;양동욱;김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93-205
    • /
    • 2021
  • 인공지능 스피커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실제 스피커 사용자들의 만족도는 42%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세대별 토픽 변화와 감성 변화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마존 에코 닷 3세대와 4세대 모델에 대한 리뷰를 수집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세대별로 리뷰를 이루는 주제 및 주제의 변화를 찾아내고, 딥러닝 기반 감성 분석을 통해 토픽에 대한 사용자 감성이 세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토픽모델링 결과, 세대별로 5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3세대의 경우 스피커의 일반적 속성을 나타내는 토픽은 제품에 긍정적 반응 요인으로 작용했고, 사용자 편의 기능은 부정적 반응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대로 4세대에서는 일반적 속성은 부정적으로, 사용자 편의 기능은 긍정적으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방법론 측면에서 어휘적 특징뿐 아니라 문장 전체의 문맥적 특징이 고려된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그린 SCM 구축과 시장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Strategic GSCM of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its impact on the Market Performance)

  • 김길성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3호
    • /
    • pp.513-532
    • /
    • 2011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존 공급망관리에 그린을 강화한 그린 SCM(GSCM)의 주요 활동들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기업 공급망의 다양한 친환경 활동들을 요인분석에 투입한 결과 녹색구매, 녹색생산, 녹색물류, 역물류 등 4개 주요 활동요인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그리고 이들 요인들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8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한 후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GSCM 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녹색구매와 녹색생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반면, 녹색물류와 역물류는 유의수준이 낮아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용 절감과 증가 효과가 같이 나타남으로써 통계과정에서 변수의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편 GSCM 활동과 기업경쟁력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녹색물류를 제외한 녹색구매, 녹색생산, 역물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선행연구와 같이 GSCM 활동이 전반적으로 제품품질, 생산능력, 기업이미지, 고객만족도 등과 같은 기업경쟁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외시장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들이 친환경성을 요구하는 고객니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지속성장하기 위해서는 녹색물류 등을 포함한 친환경 혁신활동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한 GSCM을 전략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