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왕절개술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6초

제왕절개술 마취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Cesarian Section Anerohesia)

  • 박대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63-66
    • /
    • 1986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83 년 5월부터 1986년 8월까지 여러 마취하에서 시행된 423예의 제왕절개술 환자를 임상적으로 고찰하여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총분만예의 13.9%였다. 2) 제왕절개술 환자의 63.2%가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3) 산모의 상태와 태아의 Apgar지수와의 관계는 산모의 상태가 좋을수록 태아의 Apgar지수가 좋았다. 4) 마취 유도에서 신생아 분만시까지 시간이 짧을수록 신생아의 상태가 좋았다.

  • PDF

제왕절개술을 위한 척추 마취시 Ephedrine의 예방적 정맥적주에 관한 연구 (Prophylactic Intravenous Ephedrine Infusion during Spinal Anesthesia for Cesarean Section)

  • 구본업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72-78
    • /
    • 1991
  • 척추 마취로 제왕절개술을 받은 건강한 30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ephedrine sulfate의 정맥적 주군(15명)과 정맥내 주사군(15명)의 산모혈압과 심박, 오심, 구토, Apgar scores, 산모와 태아의 혈압가스압 등을 비교 관찰하였든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척추마취후 적주군의 수축기 산모혈압은 의의있는 변화가 없었으나(p>0.1), 정주군에는 5, 7분 후 술전치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하강하였으며(p<0.005), 적주군과의 비교에서도 의의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p<0.001). 2) 적주군에서 정주근보다 오심, 구토의 발생 빈도가 낮았다(p<0.001). 3) 산모의 심박, Apgar scores, 산모와 태아의 혈액 가스압에는 양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과 같이 제왕절개술을 위한 척추 마취시 ephedrine의 예방적 정맥내 적주가 안전하고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여성의 제왕절개술 영향요인에 관한 생태학적 접근 (Impact Factors of Korean Women's Cesarean Section according to Ecological Approach)

  • 김현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factors of cesarean section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in Korea. Methods: Population-based dat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from 2,849 delivery cases during 2003~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geographic statistics with STATA 10.0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WIN 12.0. Results: The range of cesarean section rate was 28.8~44.7% with geographic distribution. The proportion of mother's problem was increasing in choice of cesarean section. According to the ecological model, age of mother (OR=1.08), time of birth (OR=0.79), delivery in hospital (OR=1.83), delivery in clinic (OR=1.46), and education of mother (OR=2.61) had significant impact on cesarean sec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the impact factors of the high cesarean rate in Korea ecologically. Policy maker and health care provider can consider these results to reduce cesarean section rate.

제왕절개술 초산모의 자가 착유 행위 효과 (Effects of Self-breast Pumping in Primiparous Women after Cesarean Delivery)

  • 여정희;문길남;이선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8-10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breast pumping on breastfeeding rates and, the degree of breast milk fullness among primiparous women giving birth by cesarean sectio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synchronized 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 with repeated measures. The participants were 60 women, 31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used a manual pump 5 times a day after exclusive breastfeeding and 29 in the control group who breastfed exclusively with no other interventions. Results: While self-breast pumping did not improve breastfeeding rates or the degree of breast milk fullness at any of the time points studied, breastfeeding rates continued to remain high till 12 weeks postpartum in both groups. Conclusion: Although some modifications in research methods will be requir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breast pumping and exclusive breastfeeding, both these approaches can be used as interventions to improve breastfeeding rates and breast milk quantity.

향기흡입법이 제왕절개술 산모의 주관적 수면의 질, 상태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Mothers Following Cesarean Section Delivery)

  • 이선옥;황진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4-6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of mothers who underwent a Cesarean section delivery.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based upon data acquired through a pre-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n=33) was given general obstetric nursing care plus dry inhalation method using lavender essential oil, in which each mother put one drop on a tissue and breathe near it for 5 minutes before going to bed. Then they put 1~2 drops on their pillow for 6 nights. The control group (n=34) was only given general obstetric nursing car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or measures of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by self-report.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with SPSS/Win12.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quality of sleep (p<.001), state anxiety (p=.049) and depression (p=.029).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roma inhalation method can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quality of sleep and decrease anxiety and depression in postpartum mothers suffering from stress related to a Cesarean section delivery.

제왕절개술시 감염예방을 위한 Cephradine자궁내 세척법과 정맥내 주입법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Intrauterine Irrigation and Intravenous Injection with Cephradine at Cesarean Section)

  • 최재동;김종욱;이태형;박완석;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03-210
    • /
    • 1985
  • 1985년 3월 1일부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예중 적응이 되는 예에서 Velosef의 자궁강내 세척을 실시한 30예, 정맥주입을 한 35예와 대조군 35예로 총 100예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수술후 자궁내막염 및 감염의 발생반도를 비교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에 대한 fever index를 산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역학적 변수에서 Velosof 자궁강내 세척군과 Velosef 정맥주입군, 대조군 각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세 연구군은 서로 유사하였다. 2. 감염에 대한 위험인자에서도 각 실험군과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연구집단은 서로 감염에 대한 위험인자 분포가 유사하였다. 3.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에 있어서도 각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며, 기왕제왕절개술, 아두골반불균형, 둔위 등의 순서로 많았다. 4. 수술후 자궁내막염의 발생반도는 대조군보다 정맥주입군과 자궁강내 세척군이 낮았으며 특히 정맥주입군은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x^2$=6.248, d.f.=1, P<0.05). 5. 자궁내막염을 포함한 수술후 감염에서도 정맥주입군, 자궁강내 세척군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특히 정맥주입군에서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x^2$=5.352, d.f.=1, P<0.05). 6. Fever index는 자궁강내 세척군, 정맥주입군 모두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3.251, d.f.=68, P<0.05). 7. 수술적응증에 따른 수술후 자궁내막염 발생 빈도에서, 특히 기왕제왕절개술과 아두골반불균형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8. 감염에 대한 위험인자 별 자궁내막염 발생 빈도에서는 진통이 있는 경우, 6 시간 이상의 양수파막, 5번 이상의 내진, 응급제왕절개술의 경우에 대조군보다 각 실험군에서 자궁내막염 발생 빈도가 현저히 낮았다. 9. 연구대상의 fever index산포도에서 임상적으로 자궁내막염으로 진단된 경우 높은 fever index 수치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