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치와 정치적인 것

검색결과 2,102건 처리시간 0.031초

유튜브 정치동영상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효과: 선택적 노출과 정치성향, 정치관심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ube Political Videos on Attitude Polarization: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ective Exposure, Political Orientation, and Political Interest)

  • 이민규;이유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13
    • /
    • 2022
  •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성향, 정치적 관심도의 태도극화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문제 1,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의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성향에 대한 태도극화, 선택적 노출과 정치적 관심도에 대한 태도극화를 살펴본 결과, 선택적 노출에서 동일하게 태도극화 '나'에 대한 주 효과가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유튜브 이용자들의 정치동영상에 대한 선택적 노출이 높아질수록 유튜브 이용자 자신의 태도극화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들의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관심도에 대한 태도극화를 살펴본 결과,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관심도의 태도극화 '나' 에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진보적 성향이나 보수적 성향 모두 정치적 관심이 높을 때, 유튜브 이용자 자신의 태도극화도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인터넷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정치효능감과 정치신뢰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Youth through the Internet: Focusing on the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 하종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369-405
    • /
    • 2006
  • 본 연구는 정치적 소수자의 하나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인터넷 시대에 나타날 수 있는 정치참여의 양태의 변화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오프라인의 정치참여 뿐만 아니라 새로운 온라인 정치참여 방식의 발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정치효능감과 정치신뢰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총 22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몇 가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전반적으로 정치효능감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모두에 걸쳐 정치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면 정치신뢰감은 어떤 형태의 정치참여방식에도 독립적인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정치효능감과 정치신뢰감의 상호작용효과는 온라인상의 정치참여에서 나타났다. 높은 정치효능감의 집단에서 낮은 정치신뢰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온라인 정치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간 정도의 정치효능감의 집단에서는 높은 정치신뢰감을 가진 사람들이 가장 높은 정치참여도를 보였다. 그러나 낮은 정치효능감 집단에서는 정치신뢰감의 크기에 상관없이 거의 정치참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의 연구에서는 이 두 변인 외에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인 정치참여의 구조모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유튜브 정치성향에 따른 선택적 노출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태도극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ective Exposure of Political Orientation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Polarization)

  • 이민규;김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61-272
    • /
    • 2022
  •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 420명을 대상으로 정치성향의 선택적 노출과 태도극화 및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선택적 노출과 온라인 정치참여 관계에서 태도극화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선택적 노출은 태도극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적 노출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도극화는 온라인 정치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극화는 선택적 노출과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유튜브 정치동영상에 대한 선택적 노출은 태도극화와 온라인 정치참여를 높이고 선택적 노출에 의해 태도극화가 강화될수록 온라인 정치참여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동료 조직정치지각과 동료지향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 관계에서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olitical Skill in the Relations Perceived Co-Workers Politics-OCBC and -Turnover Intention)

  • 이은국;지성호;김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478-493
    • /
    • 2015
  • 본 연구는 동료 조직정치지각이 동료지향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양자 관계에서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 사기업 종사자 375명으로부터 획득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동료 조직정치지각은 동료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직의도를 촉진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동료 조직정치지각과 동료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는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으나, 동료 조직정치지각과 이직의도의 관계는 정치적 기술에 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조직정치지각 연구에서 조직정치와 조직시민행동 변인과의 일관적이지 못한 연구결과가 조직정치지각 대상에 따른 차이로 인한 것임을 의미하며, 조직정치지각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동료 조직정치지각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정치적 기술이 양자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정치적 기술 관련 연구에 있어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유튜브 방송 콘텐츠를 통해 인식된 정치인 이미지가 유권자의 정치적 신념일치와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21년 4·7 서울시장 재·보궐선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oliticians' Images Triggered by YouTube Contents on Voters' Agreement of Political Beliefs and Voting Intention : Focused on the case of Seoul Mayor's re-election, in 2021 April 7)

  • 김종필;전예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50-366
    • /
    • 2022
  • 본 연구는 4·7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유튜브 방송 콘텐츠를 통하여 인식된 정치인 이미지, 정치적 신념일치, 투표의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거주 20대 이상 유권자를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치인 이미지 요인 중 도덕성, 리더십, 행정력은 정치적 신념일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치인과의 정치적 신념일치는 유권자의 투표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인 이미지 요인 중 정치적 능력, 소통력은 투표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치인의 도덕성, 리더십, 행정력 모두 정치적 신념일치를 매개로 하여 유권자의 투표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치인 이미지, 정치적 신념일치, 유권자의 투표의도의 관계를 유튜브 방송 콘텐츠에 적용함으로써 정치적 신념일치와 유권자의 투표의도에 미치는 정치인 이미지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점은 본 연구의 의의로 평가된다.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질이 정치인 이미지 및 신뢰와 유권자의 사회·정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Politicians' YouTube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mpact on Politician Image and Trust and Voter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 김종필;호규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45-159
    • /
    • 2022
  • 본 연구는 정치인의 유튜브 정보서비스 질과 정치인 이미지 및 신뢰와 유권자의 사회·정치 참여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유권자 3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표집했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정치인 유튜브 정보서비스의 질 요인들은 정치인의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 적시성, 신뢰성은 정치인의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유희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튜브를 통한 정치인 이미지와 신뢰 모두 유권자의 사회·정치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치인 이미지는 정보서비스의 질과 사회·정치 참여의도에 간접효과를 나타냈으며, 정치인 신뢰는 적시성·신뢰성에서만 사회·정치 참여의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치인의 이미지와 신뢰가 시민들의 사회 및 정치참여에 호소하는 주요 변인이라는 사실이 유튜브에서도 적용된다는 것을 밝혀낸 의의가 있다.

정치적 신뢰 변화의 원인과 결과: 이론적 쟁점 (Theoretical Perspectives on the Causes and Effects of Political Trust)

  • 최준영
    • 의정연구
    • /
    • 제15권1호
    • /
    • pp.65-92
    • /
    • 2009
  • 정치적 신뢰란 정부가 자신이 기대한 바대로 결과물을 산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국민들의 주관적 인식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정치적 신뢰의 내생적(endogenous) 측면과 외생적(exogenous)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정치적 신뢰가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 어떤 정치적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적 신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부정책, 정치인의 비윤리적 행태, 국민들의 참여민주주의적 성향,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왜곡된 이해, 정치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의 요인들이 어떻게 정치적 신뢰를 변하게 만드는지 살펴본다. 또한 정부의 통치능력, 선거결과, 정치충원, 정부정책의 방향성의 측면에서 정치적 신뢰가 정치과정에 어떠한 결과를 만들어내는지를 알아본다.

정치적 소통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치적 성향과 미디어 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f Satisfaction in Political Communication -Focus on the Political Inclination and Media Usage-)

  • 김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79-190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소통 현상에 주목하여 소통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논의하였다. 정치적 소통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개인의 정치적 성향과 미디어 이용을 살펴봄으로써 정치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정치적 소통 만족도를 평가했다. 전국 16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면접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진보적 정치성향은 온라인 미디어 이용이 많았으며, 개인의 의견을 적극 게재하는 '쓰기/대화'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소통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수, 중도적 정치성향은 오프라인 미디어를 주로 이용하였고, 타인의 의견을 살피는 '읽기/시청'의 소극적 정치 커뮤니케이션 행위가 중점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 정치적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정치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차별화된 미디어 활용 정치커뮤니케이션이 제고되어야 함을 논의할 수 있었다.

정치참여의식이 시민의 정치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wareness upon Citizens' Political Participation Action)

  • 이성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95-40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정치문화 정착과 형성을 위해 시민들의 정치의식과 정치참여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실증분석을 시도하였고,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인 시민들의 정치의식과 정치신뢰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선거 의식 수준과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치에 대한 만족도와 정치에 대한 평가가 높아졌다. 둘째, 가설 2인 시민들의 정치의식과 사회소속감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는 선거 의식 수준과 사회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소속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인 정치신뢰가 정치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 정치 만족도와 정치평가가 높을수록 적극적 정치 참여와 소극적 정치 참여의 참여행동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인 사회소속감이 정치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시민의 사회소속감이 높을수록 적극적 정치 참여와 소극적 정치 참여의 정치참여 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시민들의 선거인식과 정치가에 대한 인식 등 정치의식이 높을수록 정치에 대한 신뢰도와 정치참여행동 역시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 정치.행정 형성요인과 정치.행정 의식수준간의 관계 - 대전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Relation with an Factor Forming Politic Administration and Awareness Level - Focus on High School Students in Dea-Jeon -)

  • 최호택;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07-214
    • /
    • 2008
  • 본 연구는 곧 현실 정치에 참여하게 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치에 대한 지식, 정치성향, 정치에 대한 효능, 정치에 대한 신뢰, 정치신뢰 등의 하위 변인들로 이루어진 청소년의 정치의식과 이러한 정치의식 형성에 영향을 준 정치 사회화 매체에 대해서 분석해 봄으로써 미래 우리 정치의 주체인 청소년들의 정치의식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정치 교육이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서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해 방향을 제시해보는 과정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분석결과, 정치 행정 형성요인과 청소년의 정치 행정 의식수준간의 영향관계는 가정, 학교, 동료집단,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형성된 의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동료집단에 의해 형성된 의식은 정치 행정 의식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미치고, 반면 매스미디어를 통해 형성된 것은 청소년의 정치 행정 의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