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신적 요인

Search Result 1,55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terminants of the Socio-economic and Emo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한국노령인구의 사회.경제적 상황의 결정요인)

  • 노공균;조소영;신동숙;이태훈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4 no.2
    • /
    • pp.45-70
    • /
    • 1991
  • 1. 문제점(Setting of Problems) 산업의 급진적인 진보는 고도의 기술사회(high-tech societies)를 창출해 내었고, 이로 인해 생산양식뿐만 아니라, 가치체계 및 생활양식이 급진적으로 변화하였다. 동시에, 산업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은 인구통계학적 변천(demographic transition)을 가져와, 인구의 노령화가 이루어졌다. 산업화에 의해 발생된 이러한 현상들, 즉 가치체계의 변화와 인구의 노령화가 바로 문제의 핵심인 것이다. 산업화는 효율(efficiency)에 높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정신적인 인간관계측면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노령화란 다차원적(multi-dimensional) 문제를 일으켰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책으로서 서구적인 가치개념은 노인들의 생활의 질(quality of life)를 향상시키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물질적인 면 이외에 정신적인 면의 접근법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2. 연구의 목적(Objective of the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어서의 인구의 노령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에 의해 노령화라는 다차원적 문제에 대한 지식을 얻으므로써, 사회, 공동체 및 가족 수준에서의 노령화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비서구적 접근법 및 정책적 전략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3. 방법론(Methodology) 1) 자료 수집(Data Collection) 자료는 다음 세가지 원천으로 부터 얻어졌다. 첫째, 출판된 자료 및 회의서류 둘째,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의 협조로 행해진 설문지 조사 셋째, 자체 연구팀에 의해 행해진 면담 2) 자료분석(Data Analysis) 인과분석(cause-effect types of analysis)은 probit, logit, path analyses에 의해 행해졌다. 이 연구논문에는 trend analysis의 결과는 제시되지 않았는데, 이는 다양한 정부기관에 의해 출간된 분석들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4. 연구분석의 결과 첫째, 경제적 요인은 노인들의 생활상태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인 통합이 강할수록 보다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sex), 교육정도, 주거지역 등이 노인의 고용상태 및 소득수준과 큰 관계가 있다. 넷째, 교육정도, 사회적 결합(social integration) 등이 건강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다섯째, 사회적 통합, 건강상태, 독립심 등이 노인의 정서적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

  • PDF

THE EFFECTS OF FAMILIAL RISK FACTORS ON THE BEHAVIOR PROBLEMS OF ADHD CHILDREN (가족 내의 위험 요인이 ADHD 아동의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 Kim, Jin-Hee;You,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0 no.2
    • /
    • pp.195-200
    • /
    • 1999
  • Objective: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ial risk factors on the behavior problems of ADHD group and normal group. Method:The familial risk factors and behavioral problems of the children were administered to 160 mothers, comprised of 29 ADHD children and 131 normal children. Results: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HD group and norm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egree of marital satisfaction, state-trait anxiety, and depression. Familial risk factors and the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Conclusion:Marital unsatisfaction and parental affective problems were closely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of ADHD patients.

  • PDF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Psychologic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한국인 대학생에서 수면의 질과 정서적 요인에 관한 상관관계)

  • Kang, Jin-Kyu;Lim, Hyun-Dae;Lee, You-M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3 no.3
    • /
    • pp.257-267
    • /
    • 2008
  • The mentophysical disease causes diseases in digestive, respiratory, circulating systems, including chronic pain, through combined reactions from differ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mental stress and temperamental factors. The most common symptom related to orofacial area is pain and the contributive factors include biological, behavioral, environmental, social, emotional, recognitive factors. These factors affect the course of the symptom according to individual's character and human nature. In pain, sleep acts as a contributive factor, and pain could bring about sleep disturbance and vice versa. Deterioration of sleep quality would act as a factor that aggravates mental stress. Therefore, relatively accurate and simple mental examinations and sleep quality test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patients with symptoms related to orofacial area. This study evaluated the mental state in relation to the sleep quality which could affect orofacial pain. The number of poor sleeper was 18 in male subjects, and 1 in female subjects and PSQI global index was higher in male($6.11{\pm}2.38$) than female($4.67{\pm}2.18$). SCL-90-R index showed no sex difference. Poor sleeper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in SOM, O-C, I-S, ANX, PHOB, PSY, GSI, PST. When SCL-90-R T scor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sleep quality, higher the subjective sleep quality score, O-C and I-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s sleep disturbances score increased, PAR, PSY, P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mparison of SCL-90-R T score according to daytime dysfun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DEP, ANX, HOS, PHOB, PAR, GSI was observed. Therefore, the quality of sleep and psychological status have a high correlation. This is likely to influence chronic pain in the orofacial field. As a result, clinicians treating orofacial pain should evaluate the sleep quality and psych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 Further studies of larger sample sizes including various age, occupation, and pain groups are necessary in order to apply the results to clinical practice.

개인의 특성이 창업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격 5요인을 중심으로

  • An, Seung-Gwon;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35-141
    • /
    • 2019
  • 신(新)산업 발굴 및 신(新)고용창출을 위한 대안으로 창업정책이 확대 및 확산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창업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새로이 창업을 하고 조직에서 각자의 역할을 진행하는 과정에 개개인이 타고나고 특성들에 대한 고민이 함께 되어야한다. 경제성장 및 정량적 고용창출의 목적을 넘어 창업가들이 직업적 가치를 위한 자아실현 관점에서 창업가 육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만족스러운 직업을 갖게 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국가의 역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창업가 육성에 관한 관점을 소유권과 시장보호 및 개척의 관점을 넘어 국민의 생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창업교육과 정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 시 만족도와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 중 성격 5요인(BIG5)을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서 개인의 어떠한 특성이 주요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창업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중 외식업, 의류업, 커피전문점, 미용업 등의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성격 5요인이 모두 중요하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방성과 친화성을 바탕으로 만족도를 높은 창업자를 육성하고 외향성과 성실성을 높인다면 실질적인 재무성과로 연결시킨다면 창업의 성공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창업교육과 정책 방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CT중소기업의 기업가 정신과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Roh, Doo-Hwan;Jeong, Young-Keun;Park, H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87-412
    • /
    • 2017
  •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국가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고용창출, 기술혁신, 산업의 다양성 등 여러 측면에서 국민경제 발전에 있어서 실질적인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은 기술혁신을 통해서 혁신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더 중요해졌으며, 내부자원의 한계로 인해 경영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여러 가지 도움들을 외부와의 협업과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습득해 나가고 있다. 더 나아가서 시장기회를 포착하고 조직 성장을 위한 수단들을 모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업가 정신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는 ICT중소기업의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 기업가 정신과 기업의 혁신역량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으며, 사회적 자본이 기업가 정신과 기업성과 간의 조절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1,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정신은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사회적 자본 변수가 기업가 정신과 기업성과 간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혁신 역량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사회적 자본 변수가 조절효과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기업가 정신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elating Factors on Mental Health Status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mong th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정신적 건강상태(우울,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및 그의 관련요인)

  • Song, Young-Su;Kim, Tae-Baek;Bae, Nam-Kyou;Cho, Young-Ch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247-260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mental health status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who wer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The study subjects were 1,488 people (male 740, female 748) aged over 70 years of age who had been recognized for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in the years 2011~2014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t forth a lifestyle questionnaire, itemized health screening tests, and long-term care as recognition data for research purposes. As a result,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subjec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A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 the risk ratios of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which indicated the mental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in the lower body weight group than in the overweight group, in the smoking group than in the non-smoking group, and in the drinking group than in the non-drinking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ntal health status (depression,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subject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particularly the group with poor health related behaviors, such as smoking, drinking, and regular exercise, indicating that the mental health condition is lower than in the good group.

Poverty Status Transition and Mental Health: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

  • Lee, Sang-Rok;Lee, Soon-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4
    • /
    • pp.277-311
    • /
    • 2010
  • The powerful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has been recognized for many decades in the Western Countries. Despite growing poverty studies,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in Korea.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In this study we draw on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o estim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respects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re are mental health disparities between poor and non-poor classes.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poor are worse than the non-poor. Second, we find th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mental health and poverty status transition. Whether poor family exits poverty or not depends on the household head's mental health. Third, poverty experien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To the mental ill-health family, the probabilities of poverty-exit are much lower and poverty duration is more long. Fourth, we find that family poverty status transitions are very significantly related with household head's mental health from the logistic model 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oor mental health and the experience of poverty in Korea. They also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the poor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the poverty problem in Korea.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BEHAVIOR PROBLEMS,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아동의 정서 및 행동 문제와 어머니의 우울증,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

  • Lee, Young-Joon;Song, Won-Young;Choi, Yui-Gyum;Shin, Yee-J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4 no.2
    • /
    • pp.218-228
    • /
    • 2003
  • Objectives: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behavior problems,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in children with psychiatric diagnoses and their mothers, and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to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Methods:Seventy-three children(31 externalizing, 24 internalizing, 18 mixed) and their mothe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mothers of three groups completed MMPI, KPI-C(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and PSI(Parenting Stress Index).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variables,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depression among three groups of children. In 2-Way ANOVA, main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depression, parent health,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subfactor in parent domain, parent domain total, and overall parenting stress. But the main effect of child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distractability/hyperactivity subfactor in child domain only. In regression analysis, maternal depression explained the parent domain of parenting stress most effectively, and child's hyperactivity and anxiety explained the child domain of parenting stress significantly. Conclusion: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maternal depression to reduce the parenting stress, along with the treatment of the child's behavior problems.

  • PDF

다문화 이주여성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인식, 긍정심리자본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 Jo, Seung-Mi;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19-123
    • /
    • 2021
  •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2019년 11월 1일)를 기준으로 발표한 '2019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을 보면, 국내 체류 외국인은 2,216,612명으로 지난해인 2018년 2,054,621명에 비해 161,991명(7.9%)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51,850,705명) 중 4.3%에 해당하며, 외국인 주민 최초 조사 연도인 2006년 536,627명과 비교했을 때 4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 이민자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가 생각해야 할 점은 그동안 다문화 관련 정책적 환경이 급변하였을 뿐 아니라, 환경적 변화에 맞게 정책의 변화도 지속해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양적 증가뿐 아니라, 거주 기간도 장기화되면서 초기 적응이라는 정책보다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새로운 정책 요구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는 것은 향후 다양한 다문화 정책 수립 및 창업, 경제활동 활성화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창업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학문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선행연구는 주로 북한이탈주민 및 다문화 이민자의 문화지능 또는 사회체제 등이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초점을 두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주민의 창업 의지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해 보는 데 있는데, 해당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은 개인적 특성(기업가정신)인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기회 인식'과 긍정심리자본 특성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 등을 선정하였다. 해당 요인들을 바탕으로 수도권에 거주 중인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로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 다중회귀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가설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Health-related Push and Pull Factors in Mountain Climbing (등산활동의 건강관련 동기요인과 유인요인 분석)

  • Kim, Jae Jun;Lee, Hye Rin;Lee, Min Ha;Kang, Min Ji;Park, Su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3
    • /
    • pp.327-333
    • /
    • 2011
  • This study was aimed to specify health-related push and pull factors in mountain climbing and provid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for mountain-based recreational setting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sh and pull factors. The results of survey by 440 mountain climbers at Mt. Dobong, Mt. Bukhan, Mt. Kwanak, and Mt. Cheonggye showed that three dimensions were respectively derived from health-related 15 push items and 11 pull items; therapeutic care, mental health, physical fitness in push factors and cultural, socio-economic, and natural environment in pull factor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push and pull factors, natural environment was reported to be the greatest influencing pull factor on therapeutic care and physical fitness,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was on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