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verty Status Transition and Mental Health: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

  • 이상록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순아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09.26
  • Accepted : 2010.11.19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powerful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has been recognized for many decades in the Western Countries. Despite growing poverty studies,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in Korea.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In this study we draw on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o estim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respects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re are mental health disparities between poor and non-poor classes.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poor are worse than the non-poor. Second, we find th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mental health and poverty status transition. Whether poor family exits poverty or not depends on the household head's mental health. Third, poverty experien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To the mental ill-health family, the probabilities of poverty-exit are much lower and poverty duration is more long. Fourth, we find that family poverty status transitions are very significantly related with household head's mental health from the logistic model 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oor mental health and the experience of poverty in Korea. They also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the poor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the poverty problem in Korea.

빈곤에는 인적자본 및 가족구조 등의 물질적 결핍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측면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널리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관련 연구성과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빈곤층의 심리사회적 측면이 빈곤지위의 결정 및 이의 변화에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정신건강 변수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우울 및 자아존중감 등의 정신건강 요인과 빈곤지위의 관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층과 비빈곤층의 정신건강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빈곤층 내부에서도 빈곤이 심각할수록 정신건강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빈곤과 정신건강의 부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빈곤탈출 집단과 빈곤지속 집단의 정신건강 수준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빈곤경험 양상은 정신건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정신건강수준이 양호하지 못할수록 빈곤 경험율 및 빈곤지속의 경험이 높고, 빈곤경험기간도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의 빈곤 탈출율은 낮은 반면 빈곤 지속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타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모델에 대한 분석에서는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및 빈곤지위 변화에의 주요 결정 요인의 하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빈곤지위 및 이의 변화에 정신건강의 주요한 영향을 보여주는 바로, 우리사회의 빈곤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물질적 결핍에 대한 지원에만 치중된 정책적 접근에서 벗어나 빈곤층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및 지원이 요청됨을 정책적 함의로 시사하여 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