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조절 능력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9초

기독교 대학에서의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 설계 및 제안 (Model Design and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Status Diagnostic Tool at a Christian University)

  • 이성아;권경만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203-23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분야들을 선행 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그 영역별 요인들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그 후, 설계 원리를 수립하고,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을 설계하는 연구이다. 우선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의 역량, 대학생활 및 학업 저성취자 연구, 학사경고자 연구 등을 토대로 어떤 요인들이 학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특히 학업을 실패하도록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으며, 그것들을 토대로 진단할 수 있게 하위요인들을 설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설정된 영역은 심리적 차원, 학습적 차원, 진로적 차원으로 나누어 졌고, 기독교 대학 학생들을 위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기에, 신앙 영역도 요인으로 설정하여 완성하였다. 그 후에는 각 영역별 하위요인을 구성하였는데, 초안 모형에서는 신앙영역 하위에 신앙성숙도와 신앙훈련, 심리영역 하위에 긍정적 사고, 정서 조절, 자아 존중감, 학습역역 하위에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 마지막으로 진로영역 하위에 진로성찰, 진로탐색, 진로관리, 진로탐색장애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이후 기독교인이면서 교육학 박사로 대학 및 교육 관련 기관에 재직 중인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델파이를 위해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모형의 적합성, 모형을 이루는 영역, 그 하위의 요인 등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초기 4개 영역 12개 하위영역이었던 모형은 하위 요인 기준으로 신앙훈련, 정서조절, 진로성찰의 하위요인이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러 삭제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4개 영역의 9개 요인, 즉 신앙-신앙성숙도, 심리-긍정적 사고, 자아 존중감, 학습-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 진로-진로탐색, 진로관리, 진로탐색장애의 요인을 갖춘 모형으로 완성되었다. 본 연구 대학생, 특히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이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진단 도구 개발의 선행적 연구로, 설계 모형과 그 하위 영역, 요인 등을 제안하는 연구였다. 따라서 향후 본 모형을 토대로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진단할 수 있는 실질적 도구개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trust in Korean culture)

  • 박영신;김의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spc호
    • /
    • pp.21-55
    • /
    • 2005
  • 이 글의 주된 목적은,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신뢰의식과 관련된 경험 과학적인 연구들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함으로써, 그 심층에 자리잡고 있는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이 글의 서론에 해당하는 '탐색을 시작하며 던지는 질문들'에서는, 한국의 가정 학교 직장 사회에서의 신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을 하였다: 1) 한국의 가정은 흔들리고 있는가? 2) 한국의 학교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3) 한국의 직장은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4) 한국 사회에 신뢰가 존재하는가? 둘째,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경험 과학적 탐구'에서는,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경험 과학적 연구 결과들을 종합 정리함으로써, 한국인의 신뢰의식 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토착심리를 세 가지 특성으로 정리하여 논의를 시도하였다: 1) 관계문화의 뿌리: 신뢰형성에서 우리 관계의 중요성 2) 정서적인 유대관계의 중요성 3) 능력보다는 도덕성: 끊임없이 자기수양 하는 인격자에 대한 인정과 역할 충실의 중요성. 셋째, 이 글의 결론에 해당하는 '앞으로의 과제'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의 종합을 토대로, 발전적 한국 문화의 창조를 위해 보완해 나가야 할 세 가지 내용을 제안하였다: 1) 신뢰형성과정에서 가족관계의 확대와 외집단에 대한 개방적 태도 2) 합리와 정서의 조화 및 공과사의 분별 3) 신뢰의 기준으로서 자기조절과 더불어 환경 통제 및 객관적인 능력의 균형.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 및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정서조절능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Young Child's Attachment St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Young Child's Problematic Behaviors)

  • 서선옥;심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15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 emotional expressiveness, young child attachment stabilit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on problematic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79 children (age 5), and their mothers, and 48 teachers.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 -test, Pearson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M analyses. Results and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associated with better child attachment stability. Second, higher child attachment stability was associated with better child emotion regulation at home and lower problematic behavior. Third, higher child emotion regulation at home and in the classroom was associated with lower problematic behavior. Fourth,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 emotional expressiveness directly impacted levels of problematic behavior. Fifth, child emotional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attachment stability on problematic behavior.

자극 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이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Novelty Seeking Temperament 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 최아라;이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3-287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novelty seeking temperament and harm avoidance temperament 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chool adjust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a random sample of 672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ver. 18.0 and AMOS ver. 18.0 to carry ou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velty seeking temperament and harm avoidance tempera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up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emotional regul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emperament acted as a partial mediator for emotional regulation affecting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fundamental insights into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수준이 자녀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hers' Playfulness and Play Participation Level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 여윤재;황혜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7-125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s' playfulness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thers' play participation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playfulness and his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9 children and their fathers. The children were aged between four and five years old attending nine preschool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Results: First, fun-loving fat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operation and sociability of their children. Second, fun-loving fat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ird, fathers' play participation leve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enjoying silliness and their children's sociability. Fourth, fathers' play participation leve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eing fun-loving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ddress the need for a high level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자기자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compassion on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The Mediating Role of Preschoolers' Self-compassion)

  • 권미나;이진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7-83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preschoolers' self-compassion mediates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compassion o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in children aged 4 to 6 years. Methods: The study included 305 mothers residing in City J who were raising preschoolers aged 4 to 6.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among the main variables using the GLM Mediation Model in the JAMM package of the Jamovi 2.3.16 statistical program. Results: First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the main variables. Secondly, preschoolers' positive self-compass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Furthermore, preschoolers' negative self-compa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dentified parental and child variables influencing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discuss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to enhance these abilities.

감각통합기능장애에 대한 집중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사례보고 (Single Case Study: The Positive Impact of the Intensiv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the Sensory Defensiveness)

  • 박지훈;노종수;이향숙;차정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3-76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기능장애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2주간에 걸친 집중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였을 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사후 평가를 통하여 감각통합기능의 유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단일사례연구로써 2주간 9회기 1회기에 40분씩 치료접근을 실시하고, 가정에서 Sensory diet와 더불어 Wilbarger Protocol을 실시하였다. 초기평가와 1차 재평가 사이의 시간은 15일이며 5개월 후 2차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집중치료프로그램 적용 후 아동은 전반적인 감각영역에서 감각방어가 감소되었고, 자기조절(수면, 각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실행과 시-지각에서도 향상을 보였으며, 정서적 안정과 일상생활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프로그램 적용 5개월 후 감각조절능력, 안정적인 수면은 유지되고 시-지각에서도 지속적인 발달을 보였지만 정서적인 안정은 지속되지 않았다. 결론: 집중치료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집중치료프로그램 적용 후 치료적 접근이 없어도 대부분의 감각영역에서 감각조절능력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아기 우울증 - 소아기 우울증의 개관과 발달학적 측면 - (DEPRESSION IN CHILDREN - AN OVERVIEW AND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CHILDREN IN DEPRESSION -)

  • 강경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3-11
    • /
    • 1994
  • 소아기 우울증은 1980년 DSM-III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기까지 많은 임상보고에도 불구하고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었다. 이는 과거 정신분석학적 영향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소아와 발달학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결과이기도 하였다. 즉 소아는 시간과 정도(time & degree)에 대한 감각이 다르고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정상적으로 정서가 얕고 불안하다. 뿐만 아니라 학령기전 까지는 현실판단력이 부족하고 자기중심적이어서 논리적 사고과정을 통해서는 심리적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부인(denial)을 주된 방어기전으로 사용하여 우울증상은 대체로 일시적이기가 쉽다. 그러나 점차 나이가 들어 후기 아동기가 되면 내적 경험에 대하여 숙고하는 능력이 생기고 정서조절면에서도 상호작용에 의한 의존상태에서 벗어나서 개인 내적인 조절단계로 이행하므로 성인의 우울증과 비슷함 임상양상을 보이게 된다. 지금까지, 소아기 우울증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이것이 성인기 우울증과 상관관계가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이것이 성격형성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점으로 남아 있으나, 소아기 우울증이 상당히 오랜 기간후에도 지속되었다는 일부 보고를 고려한다면 이에 대한 조기 인식은 예방이라는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소아기 우울증의 개관과 발달적 관점에서 소아기의 우울증상을 살펴 봄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 정계현;박민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63-27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epression. Methods: From June to July, 2017, a convenience sample of 226 nursing students was recruite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Results: 68.1% (154) respondents experienced emotional abuse, and 48.1% (110) emotional neglect in childhood emotional trauma. The average depression score was 10.76. There were 54.4% (123), 34.5% (78), 12.8% (29), and 7.1% (16) of respondents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depression, respectively. The average interpersonal skills score was 3.59.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emotional abuse, emotional neglect), interpersonal skills and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neglect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Conclusion: Interpersonal skills play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epression, and also reduce th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on depression. When developing a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such programs should consider strategies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식이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치료적 함의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김승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54-60
    • /
    • 2016
  •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은 자신의 감정을 판별하거나 감정과 신체 감각을 구별하지 못하고 감정을 교류하지 못하며 공상이 부족하고 외부적 환경에만 인지적으로 집중하는 특성으로 정의되며, 그 기저에는 감정 처리 과정 상의 지속적인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식이장애는 비적응적인 식이 관련 행동들로 인하여 신체적, 심리사회적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으로서 이러한 비적응적 식이 관련 행동은 감정을 처리하고 조절하는 능력의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식이장애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을 연구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 보면 식이장애 환자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높은 수준의 감정표현불능증을 보이며, 감정표현불능증 요소 중 감정을 판별하기 어려움 요소와 감정을 묘사하기 어려움 요소가 정상인들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높은 수준의 감정표현불능증은 유년기 학대 및 우울증과 상호 작용하면서 식이장애 행동의 발생 위험성을 증대시키며 식이장애의 치료 효과 또한 반감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감정표현불능증을 포함한 정서 처리 및 조절 능력의 결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가 식이장애의 치료에도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