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활용과정모형

Search Result 70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Design of Inquiry Instruction Model b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에 의한 탐구수업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 Ro, Jin-Young;Byun, Woo-Yeoul;Lee, Byeong-K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1
    • /
    • pp.471-492
    • /
    • 2009
  • Inquiry instruction is a dynamic process that uses questioning and answering to hav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own learning. Inquiry instruction is a teaching technique in which teachers do not provide knowledge, but help students discover knowledge by themselves. However, Inquiry instruction currently has problems of lack of connection between inquiry process and school library, lack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media specialist and teacher, and lack of applicable models. Information literacy is the ability to access, evaluate and use information.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inquiry process. Thus, this study suggested an elaborative model in inquiry instruction using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This research derived the skills, strategies, activities of inquiry instruction model by comparing and analyzing Lippitt's inquiry process with information literacy process(Big6 Skills, Pathways to Knowledge, I-Search, 8Ws, Inquiry Process, Inquiry in the Research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esigned an elaborative model in inquiry instruction using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 PDF

Study on the Restructure of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Based on Taxonomy Educational Objectives (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활용과정모형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 Lee, Byeong-K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1 no.2
    • /
    • pp.107-126
    • /
    • 2010
  • Education is an intentional and planned change process for achieving the objective. Thus, an educational objects sets is very importan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instructional practice. Bloom created the original taxonomy of the cognitive, affective, psychomotor domain for categorizing level of abstraction of questions that commonly occur in educational settings in 1956. During the 1990, Anderson & Krathwohl, Marzano led a new educational taxonomy which met for the purpose of updating the Bloom's taxonomy, hoping to add relevance for 21st century teaching and learning. The educational taxonomy with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is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tructure of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based on educational object taxonomy.

  • PDF

Analysis of disaster-accident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재난사고정보 분석)

  • Ahn, Jaehwang;Choi, Youngje;Lee, Inhwa;Chae, Heecha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6-106
    • /
    • 2017
  • 우리나라는 현재 재난의 유형을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재난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단일재난으로 인한 피해보다 자연재난이 발생한 이후 사회재난으로 재난이 전파되는 복합재난의 형태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복합재난은 단일 재난에 의한 피해(인적, 물적) 보다 크게 나타나고 복합재난의 발생원인 및 전파과정을 분석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동시에 재난상호간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재난사고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는 일반적인 통계기법을 활용한 분석에 머물러 있으며 수집된 재난사고사례가 많지 않아 분석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게 나타나는 재난 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연구에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첫째로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하고 여타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로 수집가능 한 재난사고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모형에 적용가능 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셋째로 변환된 재난사고정보를 대표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재난사고정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형의 신뢰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적용가능 하며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최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Chang, Durk-Hyun;Choi, Go-U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1
    • /
    • pp.37-6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ar a university library. It surveyed and analyze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and four Information Problem-Solving Process Models. Through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found out the crucial six element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t includes 1) Information need; 2) Information source; 3) Information seeking; 4) Information evaluation; 5) Information use; and 6) Information ethic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tutorial of 3 university libraries in the States and Australia, special concerns were paid on investigating the contents of instruction programs. This study proposed the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as a result. It consists of eight steps such as 1) Guide of library facility; 2) Information ecology-the flow of academic information; 3) Information needs-Define the topic; 4) Determine the information sources; 5) Plan the search strategy; 6) Search information; 7) Evaluate Information; and 8) style manual.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to improve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s in university libraries.

A Study on Instruction of Data Structure Learning using Object-Oriented Method in Elementary School (객체지향기법을 적용한 초등 자료구조 학습의 지도 연구)

  • Lee, Yon-Jeong;Lee, Chul-Hwan;Han, Sun-G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89-196
    • /
    • 2004
  • 정보 교육과정 모형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사고력 함양을 위한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컴퓨터를 통해 실생활을 모델링하고, 모델링한 결과를 통한 추상화는 인간은 사고의 폭을 넓혀 나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실생활에 적용되는 사물들을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과정을 하고, 이를 변형시키는 사고력을 얻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보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는 지식의 획득을 위한 인식 모형이나 컴퓨터 활용능력함양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형과는 구별되는 정보교육과정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모형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객체지향 설계를 통하여 객체 및 클래스와 상속성 개념에 기반한 정보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사고의 추상화와 확장성 및 재사용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초등학생 자료구조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Kim, Sung-Eun;Lee, My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2
    • /
    • pp.177-200
    • /
    • 2006
  • This research has been done to develope a curricular model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Course as one of liberal arts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This curricular model had resulted from investigating the standards and models for Information Literacy at the 4 standards(ACRL in USA, CAUL in Australia ANZILL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nd SCONUL in the United Kingdom), 5 syllabi for Information Literacy used by 5 American universities and 33 syllabi by 23 Korean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these educational resul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syllabi, a learning-instruction model has come into being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Course that includes 7 core areas : information sources, information need, information access.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transfer an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ethics.

A Study on the Model of Library Assited Instruction Based on Information Activities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활용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 Lee Byeong-K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7 no.2
    • /
    • pp.25-46
    • /
    • 2006
  • LAI(Library Assited Instruction) distinguished from classroom instruction viewpoint of use of school libraries's material and collaborative with teacher librarian. Thus LAI must be emphasized student's information activities and teacher librarian's support activities. This study is supposed to LAI model (information presentation-guide type, information search-organization type. information analysis Interpretation type, information synthesis-representation type, information query-projects type, information query-discussion type) based on student's information activities. The student's information activities were derived from the model of information use process. The Model of proposed LAI is constructed the role of classroom teacher, teacher librarian, student and the process of LAI process.

  • PDF

컴퓨터 대수체계(CAS) Module이 포함된 graphing Calculator를 활용한 교실 수업모형 -연립 일차방정식과 이차함수를 중심으로, Casio fx2.0-

  • Heo, Man-S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505-517
    • /
    • 2000
  • 수학 학습에서 컴퓨터와 계산기의 활용은 시각화의 강화로부터 직관력과 사고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컴퓨터 대수체계(Computer Algebra System)가 탑재된 수학 학습용 컴퓨터 프로그램과 계산기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교수매체로서의 활용은 지식 정보전달 체계와 학습자의 지식 구성방법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였다. 특히 수학학습용 그래픽 계산기(Graphing Calculator)는 휴대형(Hand-held Technology)으로 학습공간의 이동(Mobil Education)이 가능하며, 수학학습 전용기라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Symbolic Graphing Calculator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는 계산기를 가지고, 기호연산 실행 조작을 통해 자신의 사고과정을 표현하고, Symbolic Graphing Calculator는 실행 조작에 즉각적으로 과정과 결과를 제공하며, 다른 표상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의 규제가 강화된 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교사는 지식 정보전달 체계인 대화형 실행매체(IMTs)를 작성하여 학습자의 지식 형성에 안내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CASIO fx 2.0을 활용한 교실 수업모형을 그래프 표상과 연계한 방정식의 풀이과정을 통해 알아본다.

  • PDF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 Ko, Young-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4 s.54
    • /
    • pp.67-88
    • /
    • 2004
  • Information skill, which means information technology skill and information handling skill, is related to the aims and processes of higher education as a knowledge creation activity. In this study, a curriculum design is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te student. The framework of this curriculum derives form the US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2000, the UK Information skills in higher education 2004, and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2004. The teaching plan and content is based on the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of NMSU, CSU Hayward, and IUE. It is propos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information literacy requires a collaborative and integrated approach to curriculum design and delivery based on investigation of user'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