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영재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32초

정보영재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2003~2016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Informatics Gifted Children: Focused on Research from 2003 to 2016)

  • 박혜란;정웅열;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17-21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에 관련한 국내 연구들을 분석하여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정보영재 연구의 주제와 방향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술지 수록 논문 총 75편의 연구 주제를 연도 학교급 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데 비해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중등 정보영재학생의 선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전혀 다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정보영재 연구는 정보영재를 가르치는 방법과 중등 정보영재 선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PDF

변별적 교육과정 모델 기반의 정보 영재 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ifferentiated Curriculum Model based Information Science-Gifted Education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장영원;이상영;유철중;장옥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848-850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영재 교육에 관한 대표적인 모델들을 고찰하고 정보 영재 교육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델을 제시한다. 즉 정당한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연구된 몇 가지 대표적인 영재교육 모델들을 분석하고, 정보 영재 교육에 적합한 Kaplan의 변별적 모델을 중심으로 보완하여 컨텐츠 기반의 정보 영재 교육 모델을 제시한다. 아울러 제시된 모델을 기초로 영재 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정보통신 인프라와 정보과학 모델을 활용한 영재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영재교육 대상자를 극소수의 영재 학생에서 다수의 잠재적 영재들로 그 범위를 확대하였고 모든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획일화에서 개별학생의 능력과 눈높이에 맞는 교과과정을 제공하는 개별화 또는 개인화 프로그램을 추구할 수 있다.

  • PDF

국내 정보 영재 연구 동향 분석 : 2016 ~ 2022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Trend Analysis of Information Gifted Children Research: Focused on Research from 2016 to 2022)

  • 임수훈;문현우;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81-383
    • /
    • 2023
  • 본 연구는 2016년 이후 2022년까지의 국내 정보영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향후 정보영재 관련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지 수록 총 3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발행 연도,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활발한 정보영재 관련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 주제 측면에서 정보영재 판별과 선발, 교원의 전문성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며, 내용 체계 기준으로 AI, 데이터 관련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방안

  • 이재수;이재호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대회
    • /
    • pp.179-19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하여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그 개념을 정의하고,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교육하고 있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선발 실태 분석을 통하여 정보과학영채 선발방법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선발방법에 대한 개선점과 선발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 방안

  • 오성훈;이재호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7-197
    • /
    • 2003
  • 오늘날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국가의 과학기술이 그 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기 때문에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영재를 조기에 육성하고 교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요즘처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에 영재교육 중 정보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영재’라는 이유로 기초가 되는 부분을 소홀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 프로그래밍 같은 고급기술을 요하는 것만 중시하지 워드프로세서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 활용 같은 컴퓨터 사용에 기본이 되는 것들은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기초가 단단해야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있고, 뿌리가 깊어야 바람에 안 흔들리듯이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의 중요성은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강한 호기심과 높은 창의력등 정보과학영재로써의 많은 것을 갖추고 있지만 단지 기초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보과학영재가 아니라고 단정지어 말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초기술소양교육은 매우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고,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기술소양교육을 분석해 보고 단편적인 기능이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새로운 기초기술소양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학생을 위한 머신러닝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Online Education Program for Disadvantaged Informatics Gifted Students)

  • 김성원;김지선;류지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633-63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 초등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정보영재 전문가가 개발하였으며, 인공지능 교육 전문가가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15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데이터 수집 및 표현, 모델 선택, 훈련, 평가, 실생활 사례 제작, 예측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 모형은 이재호와 홍창의(2009)의 문제 중심형 e-PBL 학습 모형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에 적용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소외계층 초등정보 영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초등정보영재 학생의 컴퓨터 활용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Computer Utilizing Status of Information-gifted Children)

  • 김미나;박판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20-227
    • /
    • 2005
  •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분야별 영재교육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요한 일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각 대학 부설 정보영재 교육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초등정보영재 교육에 대한 다양하고도 체계적인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정보영재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정보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초등정보영재 학생의 컴퓨터 활용 실태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보다 효율적인 초등정보영재교육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등정보영재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Information-Gifted Children)

  • 배영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87-193
    • /
    • 2011
  • 최근 영재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국가차원의 제2차 영재교육진흥계획의 영향으로 영재교육이 확대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보영재교육 분야도 병행하여, 정보영재교육을 실시하는 정보영재학급이 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대 실시되고 있는 정보영재교육과 관련하여, 초등정보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기초적인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초등정보영재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을 통하여 초등정보영재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의 교육방안 (Education plan for informatics gifted using SMART education methods)

  • 박재형;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447-449
    • /
    • 2014
  • 스마트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활용방식의 변화,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보영재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적절한교육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보영재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은 학습활동에 필요한 문제해결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협업 능력 등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습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미래사회에 필요한 협업, 의사소통능력, 사고력,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 정보영재 학생을 위한 SMART 교수학습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에 적합한 초등정보과학영재용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that suitabl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 오성훈;이재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98-307
    • /
    • 2004
  • 한 개인의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민주국가와 인류공영에 크게 이바지하는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영재교육을 살펴보면 국가에서 영재교육을 해야 한다고 영재교육의 중요성만 이야기했지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내용을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내용과 방법은 영재교육을 맡은 기관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17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고, 그 교육과정도 다른 곳에 개방되어 있지 않아서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마다 교육과정 개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내용과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교육내용,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였다. 단,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이 기초반과 심화반으로 나누어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초반과 심화반 중 기초반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