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교화가능성모형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동시에 고려한 정보기술수용의 설득과정에 대한 정교화가능성 기반 종단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luence Process in IT Acceptance Consider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Using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 Lee, Woong-Kyu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8권4호
    • /
    • pp.105-130
    • /
    • 2009
  • 정교화가능성모형과 기술수용모형에 의해 정보기술 수용의 설득과정을 시도한 연구들이 이론적으로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횡단면적 접근에 기반한 정적 모형을 사용했기 때문에 시간 흐름에 따른 변수 간의 관계 변화를 적절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가령,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정보기술 수용은 일정기간의 시간을 요하는데 설득경로가 유용성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정보기술 수용과정을 충분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모형은 종단적으로 확장되어 시간 흐름에 따른 시스템 사용을 평가해야 한다. 한편 정보기술수용 연구에서 내재적 동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 설득과정에서 내재적 동기에 대한 고려는 별로 없었고 대부분의 연구는 유용성과 같은 외재적 동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수용 설득과정의 이해를 넓히기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에 내재된 동기에 관련된 변수를 포함하고 전체적인 모형을 종단적으로 확장했고, 실증적 검증을 위해 정규 대학과정 과목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번에 걸친 표본 조사를 하였다.

생태관광활동 참여에 따른 관광환경태도의 변화 - 우포늪 습지 방문객을 중심으로 - (A Change in Tourism Environmental Attitudes through Ecotourism Activities - Focusing on Ecotourism Participants in Upo Wetlands -)

  • 김진;고동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6-64
    • /
    • 2011
  • 생태관광은 환경을 보존하고 지역주민의 복지를 유지하는 자연지역으로의 책임 있는 관광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대안관광의 하나로 최근에 들어 생태관광에 대한 연구와 생태관광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정교화 가능성 모형(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Petty and Cacioppo, 1986)이론을 바탕으로 생태관광활동에 참여하는 관광객은 높은 정교화 수준의 고관여 집단으로 이미 친환경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이며, 이들의 신념과 태도에 일치하는 생태관광활동 참여는 순환적으로 친환경 태도를 강화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0년 9월에 람사르 등록 습지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태관광지라 할 수 있는 우포늪 습지에서 방문객 183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생태관광활동에 따른 관광환경태도의 변화를 논의하였다. 생태관광활동 참여 이전과 이후의 관광환경 태도의 변화는 '반환경적 행위동조 요인' > '추억 표상 요인' > '반환경적 일탈 요인'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관광활동 참여자는 관광활동 중에 생태관광 자원의 본질적 속성에 의한 영향과 다양한 환경교육 및 체험프로그램 등을 제공받음으로써 방문 전에 형성하고 있는 친환경적인 태도를 보다 정교하게 강화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조사대상지인 우포늪 생태관광지는 생태관광 개발 및 운영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친환경 태도의 형성과 강화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요인별 변화에서 생태관광활동 참여가 양극단의 환경태도보다는 '반환경적 행위동조'라는 중간적 환경태도 변화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태관광활동 참여를 통하여 '반환경적 행위동조'태도를 친환경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는 것으로 생태관광의 역할을 확인하는 중요한 결과이다.

긍정탐색 모형을 활용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수업모형 설계 (An Instruction Model Design for School Community of Learning Utilizing Appreciative Inquiry)

  • 김효정;박수홍;허성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34-34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배움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수업모형으로서의 긍정탐색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배움의 공동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업의 원리와 수업모형, 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긍정탐색 모형에 적용하여 긍정 탐색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고, 사용자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해 긍정탐색 모형의 초안을 검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개선안을 반영한 배움의 학교공동체 수업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학습활동은 홉 단계에서 오리엔테이션과 긍정 주제 선정하기, 스텝 단계에서 성공 스토리 탐색하기, 스토리 핵심가치 도출하기, 그리고 점프 단계에서 도출한 핵심가치의 확산 전략 세우기, 실행계획 세우기, 실행하기, 마지막으로 성찰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목표, 학습자 활동, 교사활동 그리고 지원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수업모형의 병합적 개발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며,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 교사, 학부모등 학교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모형 개발과 적용을 통해 모형을 정교화하고 적용 대상을 확장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소셜 미디어 정보속성이 정보유용성과 고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Media Information Attributes on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and Customer Attitudes)

  • 류수형;이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33-247
    • /
    • 2020
  • 소셜미디어인 동영상콘텐츠 플랫폼은 높은 몰입도와 이용 편이성 그리고 제약이 낮은 제작 환경으로 다양한 콘텐츠 생산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소셜미디어 관련 연구들은 플랫폼 유형이 따른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보속성과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미디어와 소셜미디어 정보속성에 따른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213명의 동영상콘텐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모형 분석 결과 정보유희성, 정보적시성과 정보제공자 신뢰성은 정보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정보생생함, 정보정확성, 정보중립성과 정보제공자의 전문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를 통해 동영상콘텐츠와 기존 미디어나 소셜미디어와의 차이점을 알 수 있었으며, 신뢰성 있는 정보제공자가 적절한 시기에 즐거운 콘텐츠를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셜미디어 성장세의 키플레이어인 동영상콘텐츠의 정보처리과정 이해를 통해 양질의 콘텐츠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정보보안 인식이 신뢰 형성에 미치는 연구 (A Study on Awareness of Information Security Influencing Trustness)

  • 정재훈;최명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225-1233
    • /
    • 2015
  • 본 연구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의 관점에서 E-Commerce에서 발생하는 소비자의 정보보안 인식의 영향을 조사하고, 소비자의 관여도와 경험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소비자는 E-Commerce에 대한 관여도와 경험의 수준에 따라 E-Commerce 웹사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ELM을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의 E-Commerce에 대한 정보보안 인식이 형성되고, 소비자의 관여도, 경험의 정도에 따라 그 효과 크기가 조절된다는 것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 연구를 통해 모형을 확인한다. 연구 결과, 소비자는 E-Commerce 웹사이트에 대한 인식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E-Commerce 업체에 대한 신뢰 태도를 형성했고, 그 영향을 소비자의 관여도와 경험이 조절했다. E-Commerce에서 소비자의 정보보안 인식유형을 연구하는 것은 신뢰 형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중모형조합기법을 이용한 상품추천시스템 (Product Recommender Systems using Multi-Model Ensemble Techniques)

  • 이연정;김경재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39-54
    • /
    • 2013
  • 전자상거래의 폭발적 증가는 소비자에게 더 유리한 많은 구매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구매의사결정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소비자들은 의사결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추천을 받아들인다. 온라인 상점의 상품추천시스템은 일대일 마케팅의 대표적 실현수단으로써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기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의 실망과 시간낭비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사용자의 기호 반영을 통한 추천기법의 정교화를 위해 데이터마이닝과 다중모형조합기법을 이용한 상품추천시스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크게 두 개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상품군 별 우량고객 선정 규칙을 도출하기 위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 의사결정나무 모형,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축한 후 다중모형조합기법인 Bagging과 Bumping의 개념을 이용하여 세 가지 모형의 결과를 조합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상품군 별 연관관계에 관한 규칙을 추출하기 위하여 장바구니분석을 활용한다. 상기의 두 단계를 통하여 상품군 별로 구매가능성이 높은 우량고객을 선정하여 그 고객에게 관심을 가질만한 같은 상품군 또는 다른 상품군 내의 다른 상품을 추천하게 된다. 제안하는 상품추천시스템은 실제 운영 중인 온라인 상점인 'I아트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고 실제 소비자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안 상품추천시스템의 추천과 임의 추천을 통한 추천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제안된 추천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사용자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토산분해효소의 분류와 효소적 특성 (Enzymatic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s of Chitosanases)

  • 정우진;국주희;김길용;박지용;박노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16-22
    • /
    • 2005
  • 키토산분해효소(Chitosanases, EC 3.2.1.132)는 당질가수분해효소군의 하나로, 아미노당인 D-glucosamine polymer인 chitosan의 ${\beta}-1,4-glycoside$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며, 세균, 곰팡이, 식물 등에 널리 분포한다. 본 논문에서는 chitosanase의 N-말단 아미노산의 서열과 입체구조에 근거한 family 및 clan 분류, 작용모형, 절단 유형, subclass 분류, 및 family-subclass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아미노산 서열과 입체구조와 기질의 분해패턴 사이에는 깊은 상관이 있음을 확인 제시하였다. 다양한 종 유래 chitosanase의 1차구조의 해명과 진화적 상관 규명, 나아가 보다 정교한 chitosanase의 정의와 다양한 산업적 응용에의 가능성도 검토하였다.

블랙박스 시뮬레이션에 참여한 초등예비교사의 모형 구성의 특징과 인식적 기준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deling and Epistemic Criteria with the Blackbox Simulation Program)

  • 박정우;이선경;심한수;이경건;신명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05-3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블랙박스 시뮬레이션 활동 과정에서 연구 참여 학생들의 모형 구성 특징과 인식적 기준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과학적 실행을 반영하는 비구조화된 문제상황인 블랙박스 시뮬레이션을 개발하여 활동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 교육대학교 2학년 89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23개 모둠으로 나누어 블랙박스 내부구조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다양하게 가시화하여 모형화하고 수정하고 평가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모든 학생들의 활동 과정은 녹음 및 녹화되었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블랙박스 활동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모형은 형태와 기능을 고려하여 4가지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대표 모형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모형 평가가 나타났으며, 모형 평가에는 실험적 정합성, 포괄성, 유비, 간명성, 구현가능성의 인식적 기준이 적용되었다. 이상의 연구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논의된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학생들이 참여한 블랙박스 시뮬레이션 활동은 모형을 구성하고 시험해 보면서 과학적 실행의 본질을 명시적 및 암묵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하였다는데 교육적 의미가 있다. 둘째, 활동 초기부터 학생들이 모형 구성에 적용한 인식적 기준들, 즉 실험적 정합성, 포괄성, 유비, 간명성, 구현가능성이 모두 엄격하게 작동하진 않았으며 맥락에 따라 역동적으로 적용되었다. 셋째, 이 연구의 맥락뿐 아니라 다양하고 구체적인 맥락에서의 인식적 기준에 대한 연구는 과학적 실행의 본질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줄 것이다. 본 연구의 맥락이었던 시뮬레이션 활동은 미래 사회에서 더욱 중요시될 컴퓨팅적 사고와 연관된 연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시범 연구인 본 연구의 맥락과 방법을 더 정교화 및 체계화한 추후 연구는 과학적 실행의 본질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교화 가능성 모형에 의한 IT 피교육자 신용 믿음 변화의 종단분석 (An Longitudinal Analysis of Changing Beliefs on the Use in IT Educatee by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 이웅규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8권3호
    • /
    • pp.147-165
    • /
    • 2008
  • IT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persuading the educatee to accept IT. The persuasion is made by delivering the messages for how-to-use and where-to-use to the educatee, which leads formulation of a belief structure for using IT. Therefore, message based persuasion theory, as well as IT acceptance theories such as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would play a very important role for explaining IT education. According to elaboration likelihood model(ELM) tha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ersuasion theories, people change attitude or perception by two routes, central route and peripheral route. In central route, people would think critically about issue-related arguments in an informational message. In peripheral route, subjects rely on cues regarding the target behavior with less cognitive efforts. Moreover, such persuasion process is not a one-shot program but continuous repetition with feedbacks, which leads to changing a belief structure for using IT. An educatee would get more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using IT as following an education program, and be more dependent on a central route than a peripheral route. Such change would reformulate a belief struc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tial on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two: First, an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LM and belief structures for using IT. Especially, we analyze the effects of message interpretation through both of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on perceived usefulness which is an important explaining variable in TAM and perceived use control which hav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as sub-dimensions. Second,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bove effects. In other words,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ation of message delivered by IT education and beliefs of IT using is analyzed longitudinally. For achievement of our objectives, we suggest a research model, which is constructed as three-layered. While first layer has a dependent variable, use intention, second one ha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 control that has two sub-concept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Finally, third one is related with two routes in ELM, source credibility and argument quality which are operationalization of peripheral route and central route respectively. By these variables, we suggest five hypotheses. In addition to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e suggest two additional hypotheses, moderation effects of tim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two routes. That is, source credibility's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is decreased as time flows, and argument quality's influence is increased. For validation of it, our research model is tested empirically. With measurements which have been validated in the other studies, we survey students in an Excel class two times for longitudinal analysis. Data Analysis is done by partial least square(PLS), which is known as an appropriate approach for multi-group comparison analysis with a small sized sample as like this study. In result. all hypotheses are statistically supported. One of theoretical contributions in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IT education based on ELM and TAM which are considered as important theories in psychology and IS theories respectively. A longitudinal analysis by comparison between two surveys based on PLS is also considered as a methodological contribution. In practice, finding the importance of peripheral route in early stage of IT education should be notable.

과학 교사의 효능감 관련 요인 탐색을 통한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 모형 개발 (An Explorat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and Development of Effective Models of Science Teacher Efficiency)

  • 최성연;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3-7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의 교사 효능감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중등 과학교사 서른세 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행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탐색하고, 교사의 다양한 경험이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탐구함으로써,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여 과학 교사 효능감에 대한 이해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개방 코딩 분석과정을 통해 과학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관련하여 125개의 개념으로부터 38개의 하위 범주와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범주화를 통하여 과학 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드러나며, 무엇에 영향을 받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중심 현상인 '과학 교사 효능감의 형성'의 하위 범주로 과학 수업 현장, 학생과의 관계, 학교 행정 업무가 도출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거나 발전시키는 사건인 인과적 조건은 '교사가 되고 싶음'이다. 또한, 현상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상황이나 문제를 만들어내는 특수한 조건의 집합인 맥락적 조건으로는 '교사로서 나를 인식함', '교사를 바라보는 시선을 인식함'이 있다. 진행되고 있는 현상에 영향을 주는 광범위한 구조적 상황으로서 중재적 조건은 '사회 분위기', '교직 풍토', '개인 상황'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 과정에서 '능력 계발을 위한 교사의 노력'을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파악하고, 효능감 수준에 따라 교사들이 사용하는 전략의 유형과 전략 사용에 대한 태도를 탐색하였다. 전략을 사용하는 행동으로는 '받아들이기', '내 방식 찾기', '자기 계발하기', '교육 현장 개선하기'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취하여 나타난 '과학 교사 효능감 형성 결과 교사의 모습'으로 '교사의 모습을 재인식함', '변화를 모색함', '안정속에 머무르기'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모형의 중심 범주인 '과학 교사 효능감의 형성'을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의 전개를 통해, 다른 범주를 통합시키고 정교화 함으로써 과학 교사의 경험이 과학 교사 효능감의 형성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사 효능감을 특수한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수, 학생과의 관계 형성, 학교 행정 업무 수행과 관련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필요한 행동 과정을 조직하고,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정의하고 과학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의 가능성 및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