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합면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22초

리브플러스 PC슬래브의 수평전단강도 평가 (Evaluation on the Horizontal Shear Strength of Precast Concrete Slab with the Inverted-Rib-Plus)

  • 박금성;이상섭;최윤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56-165
    • /
    • 2011
  • 본 연구는 PC와 RC부분이 만나는 접합면에 대한 구조적 거동과 수평 전단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접합면에서의 수평전단 내력은 접합면의 거칠기나 전단보강근 유무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 보강근의 형상이 루프형과 래티스형로 구분하고, 보강근 간격 등에 따라 총 4개의 수평전단강도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접합면에서 수평전단 강도는 수직방향 변형에 의해 지배됨을 알 수 있었다. 보강근 형상에 따른 비교 결과, 루프형의 실험체가 평균 초기균열하중, 평균 최대하중 및 접합면의 평균 초기강성 측면에서 각각 33.7%, 45.9%와 55.2%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의 국내 전단강도 평가식과 비교한 결과, 루프형 전단보강 실험체는 2.32~4.23배, 래티스형 전단보강 실험체는 1.65~3.06배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접합면의 거동이나 구조설계기준에 의한 내력이 안전측으로 평가되어 현장에 적용하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분PC 보-기둥 접합부의 전단 마찰 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hear Friction Behavior of Beam-Column Joints of Partial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김상연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2호
    • /
    • pp.91-97
    • /
    • 2014
  • 일반적으로 부분 PC 구조에서는 기둥, 보, 그리고 하프 PC 슬래브 등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한 후에 덧침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하여 일체화한다. 따라서 PC 부재가 연결되는 위치에서의 불연속면과 함께 PC 부재의 조립을 위한 걸침길이 확보와 같은 접합부 형상 등으로 인하여 접합부 보강을 위한 구조설계가 필요하다. 보-기둥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PC 부재와 덧침 콘크리트 사이의 접합면에서 전단력 전달 성능은 접합부의 구조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로 다른 두 개의 부재가 만나는 면에서는 부재간의 미끄러짐(slip) 현상과 전단력이 발생되는데, 본 연구에서의 접합면 전단에 대해서는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결과에 대해 ACI 기준 및 PCI 설계식을 활용하여 검토하였다. 보-기둥 접합부에 대한 접합면 전단 설계를 ACI 기준 또는 PCI 설계법에 따라 검토한다면, 구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결과를 고찰하면 보-기둥 접합부에서 PC 보의 걸침길이를 30mm로 하여도 구조적인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리콘 웨이퍼 직접 접합에서 기포형 접합 결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bble-like Defects in Silicon Wafer Direct Bonding)

  • 문도민;홍진균;유학도;정해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9-163
    • /
    • 2001
  • 실리콘 웨이퍼 직접 접합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접합면을 구성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주요 결함 중 하나인 기포형 접합 결함을 억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기포형 결함의 상온 접합 및 열처리 과정에서의 거동을 관찰하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함을 직접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대기압 하의 열처리에서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SiO_2$-$SiO_2$ 접합 웨이퍼가 진공에서의 열처리에서 결함이 발생하는 현상을 통해 기포형 결함의 내부 압력과 성장과의 관계를 실험을 통하여 증명할 수 있었다.

  • PDF

터널링 자기저항 소자의 접합면 정전용량에 따른 전기적 응답특성 (Junction Capacitance Dependence of Response Time for Magnetic Tunnel Junction)

  • 박승영;최연봉;조순철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8-7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터널링 자기저항 소자에서 절연층을 중심으로한 접합면의 정전 용량이 이를 메모리 소자로 사용하였을 때 접근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는 자장을 인가하지 않고 전기적 신호만을 입력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시편에 1 MHz의 양극성 구형파를 인가하고 응답 파형을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하여 시정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각 cell의 접합면 면적에 따라 시정수를 비교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시정수와 시편에서 각 부분의 전기적 저항 측정자료들을 기초로 전기 패드 리드 그리고 접합면과 같은 시편의 각 부위가 전기적 회로로 모델링 되었다. 그 결과 200$\mu\textrm{m}$$\times$200$\mu\textrm{m}$ cell에서 약 90 pF의 접합면 정전용량이 존재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모델링 결과와 실제 측정한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그 특성이 매우 유사함을 보였다.

수직 균일 열유동하에 있는 접합 경계면 균열의 열응력세기계수 결정 (Determination of Thermal Dtress Intensity Factors for the Interface Crack under Vertical Uniform Heat Flow)

  • 이강용;설창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01-208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균일 열유동이 접합면에 수직으로 흐르고 접합 경계면 균열의 열경계조건이 단열되어 있는 경우에 균질 및 접합재료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열응세 기계수를 복소해석방법을 이용하여 구하고자 한다.

선형열처리법으로 직접 접합된 Si 기판 및 산화된 Si 기판의 접합 특성 (Bonding Characteristics of Directly Bonded Si wafer and Oxidized Si wafer by using Linear Annealing Method)

  • 이진우;강춘식;송오성;류지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0호
    • /
    • pp.665-670
    • /
    • 2000
  • 실온에서 직접 접합된 실리콘 기판의 접합강도를 향상기키기 위하여 기존의 고온 로내 열처리법을 대체할 수 있는 선형 열처리법을 개발하였다. 한 개의 열원과 타원형 반사경으로 구성된 선형 열처리법은 접합면의 간격이 열처리 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는 특성과 온도 증가와 더불어 접합면에 생성된는 기체상의 밀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응용하여 접합면의 기체상을 밀도차이를 이용하여 기판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법으로 Si$\mid$$\mid$Si 기판쌍 및 Si$\mid$$\mid$$SiO_2/Si$ 기판쌍의 직접 접합에 적용하여 보았다. IR camera와 HRTEM으로 직접 관찰한 접합면은 실온에서 접합면에 침투한 외부 불순물에 의한 비접합 영역을 제외하고는 자제 생성된 기체상에 의한 비접합 영역은 나타나지 않았고 매우 깨끗한 접합계면을 나타내었다. 접합된 기판쌍을 Crack opening법과 인장시험법을 적용하여 접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접합 강도는 열처리 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점차로 증가하였고 두 측정방법 모두 동일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 PDF

접합요소(接合要素)를 이용(利用)한 기초지반(基礎地盤)의 변형해석(變形解析) (An Analysis on the Deformation of Foundation Using the Interface Element Method)

  • 박병기;이진수;임성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55-162
    • /
    • 1990
  • 강성(剛性)이 서로 다른 지반(地盤)이나 재료(材料)가 끼어있는 불연속(不連續) 접합면(接合面)에서의 변형거동(變形擧動)을 합리적(合理的)으로 해석(解析)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연속체(連續體) 개념에 의한 해석(解析)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결과(結果)를 얻기 힘들다. 접합요소(接合要所) 해석(解析)은 이와같은 경우에 이용되는 계산기법(計算技法)의 하나이다. 원래는 암반(巖盤)의 절리(節理)라든가 구조물간(構造物間)의 불연속성(不連續性) 해결(解決)하기 위해 인접(隣接) block 간의 강성(剛性)이 크게 다른 접합면(接合面)의 해석(解析)을 위해 제안(提案)된 것인데 본문(本文)에서는 이를 지반구조물(地盤構造物)의 접합면(接合面)에 적용하고자 접합면(接合面)의 물리적(物理的)인 거동(擧動)을 정의(定義)하고 해석(解析)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開發)하여 기왕(旣往)의 발표논문(發表論文)에 적용하여 그 정도(精度)와 접합요소(接合要素)의 적용성(適用性) 및 타당성(妥當性)을 확인(確認)한 것이다.

  • PDF

반평면 전단하중력하에서 곡면형상 접합면을 가지는 폼과 복합재료 접합부의 계면크랙에 관한 연구 (The Curved Interfacial Crack Analysis between Foam and Composite Materials under Anti-plane Shear Force)

  • 박상현;전흥재
    • Composites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67-74
    • /
    • 2000
  • 계면크랙으로부터 먼 거리에 일정한 반평면(anti-plane) 전단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대해서 복소변수 변위함수(complex variable displacement function)를 이용하여 곡면형상의 접합면을 가지는 폼과 복합재료의 접합재료에 대한 일반해를 고찰하였다. 점탄성 모델을 표현하기 위하여 Kelvin-Maxwell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폼의 점탄성을 나타내는 수학적 모델을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폼의 점탄성 및 복합재료의 이방성을 고려하여 계면크랙에서의 응력세기계수를 예측하였다. 응력세기계수는 접합면의 곡률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다 일정값에 수렴하였다. 또한 폼과 복합재료 사이의 전단 강성계수비가 증가할수록 응력세기계수가 증가하였으며, 복합재료의 섬유방향이 응력세기계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감소하였다.

  • PDF

재생냉각용 연소기의 브레이징 공정 개발

  • 홍석호;한규석;우유철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0년도 제14회 학술강연논문집
    • /
    • pp.36-36
    • /
    • 2000
  • 액체로켓엔진에 사용되는 2000psi이상의 고압 연소실(Combustion Chamber)의 냉각은 내피(Inner Shell)에 기계 가공된 냉각통로(Cooling Channel)로 냉각제를 흘려보내는 재생냉각방식이 널리 사용되며 기계 가공된 냉각 통로는 외피(Outer Shell)에 의해서 지지 밀봉된다. 일반적으로 내피 재료는 순수한 구리보다 강도가 우수하고 열전도도는 유사한 구리합금을 사용하고, 외피는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된 구조를 형성한다. 브레이징 공정은 조립품을 약 $450^{\cire}C$ 이상의 액상선을 갖는 삽입금속(Filler Metal)을 사용하여 적당한 온도($450^{\cire}C$ ~ 모재의 고상선)에서 가열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용융 금속의 젖음 현상(Wetting Phenomena), 접합 틈새(Joint Clearance)로의 용융 삽입금속의 유입(Capillary Phenomena)과 접합 계면의 반응을 통해서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는 일반적인 접합 공정과 비교하여 모재의 변형이 적고, 이종 금속 간의 접합이 용이하며, 복잡한 부품을 정밀하게 접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접합될 제품의 표면 상태 및 분위기(Atmosphere), 접합될 부품간의 조립 틈새, 가열 싸이클(Heating Cycle) 등에 대한 공정 확립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재생냉각 구조를 갖는 연소실은 우선 접합면의 형상이 매우 복잡하여 균일한 접합 틈새를 유지하면서 접합시키기가 매우 어려우며,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작동하므로 일부 접합면이 접합되지 않을 경우 내피의 변형 및 파괴가 발생하고, 브레이징 시 용융된 삽입금속이 냉각통로 내로 유입될 경우 연소 시 이부근에서 재료의 용융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적절한 접합 틈새를 유지할 수 있는 공정 및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고강도 콘크리트 보-기둥접합부의 역학적 거동에 대한 연구 -구부림 철근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n Bent-up Bars within Beam-Column Joint Core with High-Strength Concrete)

  • 이광수;오정근;신성우;최문식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3-132
    • /
    • 1991
  • 건축구조물의 초고층화, 대형화 및 특수화 되어가는 현재의 실정에 고강도콘크리트의 사용은 필수적은 부분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필수적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ACI Building Code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420kg/$cm^2$이하에 관한 구조설계기준만을 제안하고 있는 설정이므로 420kg/$cm^2$을 넘는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시이에 따른 정확한 규준식이 정립되어 있지 못한 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 보-기둥접합부 설계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시험체는 총 5개로서 선정된 주요변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f'c=300kg/$cm^2$과 800kg/$cm^2$), 하중재하방법(일방향 단조하중과 반복하중) 그리고 접합부내의 구부림철근 사용 유.무등으로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변수에 따른 실험결과로서, 반복하중을 수행한 시험체가 일방향단조하중에 수행한 시험체의 최대하중수행능력에 비해서 73%정도밖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접합부내에 기준배근을 한 시험체에 비해서 접합부내의 사인장 대각균열 발생억제 및 접합면의 균열들이 접합부내 기둥으로 진전하는 것을 막을 수는 있었으나 접합부내를 과도하게(횡보강근+구부림철근)보호함으로써 균열들이 분담되지 않고 보-기둥접합면에 집중되어 피해가 가중되는 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고강도 콘크리트 보-기둥접합부 설계시 접합부내에 구부림철근의 사용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최대하중수행능력에 비해서 73%정도밖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접합부내에 기준배근을 한 시험체에 비해서 접합부내의 사인장 대각균열 발생억제 및 접합면의 균열들이 접합부내 기둥으로 진전하는 것을 막을 수는 있었으나 접합부내를 과도하게(횡보강근+구부림철근)보호함으로써 균열들이 분담되지 않고 보-기둥접합면에 집중되어 피해가 가중되는 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고강도 콘크리트 보-기둥접합부 설계시 접합부내에 구부림철근의 사용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