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착레진

Search Result 32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ructural behavior on the steel beam with strengthening bonded carbon plate (카본판을 접착보강한 강재의 거동분석)

  • Sung, Ikhy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1
    • /
    • pp.54-61
    • /
    • 2016
  • The use of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in strengthening and repair of existing structures is increasing rapidly. This paper describes an effectiveness of a bonding of carbon fiber reinforced sheets to corroded steel members for the repair. Three types of surface treatment, what we call cleaning, of corroded plate are chosen as parameters. They are "without cleaning","removal of painting by brushing" and "complete removal of painting". From the experimental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are obtained. 1) When the steel plate is subjected to tensile force, carbon fiber sheets adhered to the painted steel gives a higher strength against peeling compared to that of the plate without painting, 2) The grade of surface treatment, or cleaning of the corroded steel plate affects the strengthening effect.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Adhesive Type and the Distance Between Enamel Surface and Resin Base in Indirect Bonding (간접부착술식시 치면과 레진 베이스의 간격 및 접착제에 따른 결합강도)

  • Seo, Mi-Young;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1 no.4 s.87
    • /
    • pp.459-46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combined use of paste resin with sealant as an adhesive of the indirect bonding. The resin bases made of light-cured resin were bonded to the bovine incisors at a distance of 0.0, 0.2 or 0.4 mm using the sealant only or the mixture of sealant and paste resin. Bond strength of each group was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bond strength was reduced in both groups as the distance between enamel surface and resin base increased. 2. The bond strength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ase the distance between enamel surface and resin base was 0.0 mm. 3. In case the distance between enamel surface and resin base was 0.2 or 0.4 mm, the sealant with paste resi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the sealant only grou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use of paste resin with sealant may be desirable as an adhesive in indirect bonding, particularly in case a gap is suspected between enamel surface and resin base.

  • PDF

INFLUENCE OF ADHESIVE APPLICATION ON SHEAR BOND STRENGTH OF THE RESIN CEMENT TO INDIRECT RESIN COMPOSITE (치과용 접착제가 복합레진 인레이와 레진시멘트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 Song, Mi-Hae;Park, Su-Jung;Cho, Hyun-Gu;Hwang, Yun-Chan;Oh, Won-Mann;Hwang, In-Na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3 no.5
    • /
    • pp.419-427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dental adhesive/primer on the bond strength between indirect resin composite and the resin cement. Seventy disc specimens of indirect resin composite (Tescera Dentin, Bisco) were fabricated. And bonding area of all specimens were sandblasted and silane treated for one minute. The resin cements were used with or without application of adhesive/primer to bonding area of indirect resin restoration, Variolink-II (Ivoclar-Vivadent) : Exite DSC, Panavia-F (Kuraray) : ED-Primer, RelyX Unicorn (3M ESPE) Single- Bond, Duolink (Risco) : One-step, Mulitlink (Ivoclar-Vivadent) : Multilinh Primer.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dhesive application improved shear bond strength (p<0.05) But Variolink II and Panavia-F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dhesive application. With the above results, when resin inlay is luted by resin cement it seems that application of dental adhesive/primer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bond strength.

THE INFLUENCE OF $CARISOLV^{TM}$ ON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Carisolv^{TM}$의 사용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 Kim, Dae-Eop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0 no.1
    • /
    • pp.47-53
    • /
    • 2003
  •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chemomechanical caries removal agent $Carisolv^{TM}$(MediTeam, Sweden) for composite resin adhesion to sound human permanent and primary dentin. The buccal/labial surfaces of 80 permanent molars and 80 primary incisors were used. Four types of adhesives and one composite resin were used; AQ Bond(Sun Medical, Japan), Clearfil SE Bond(Kuraray, Japan), Single Bond(3M, USA), Scotchbond Multi-Purpose(3M, USA) and Z100(3M, USA). One drop of $Carisolv^{TM}$(MediTeam, Sweden) was pretreated on the dentin for 0 second(control) and 60 seconds. The specimens were thermocycled for 1,000 times in baths kept 5 degrees C and 55 degrees C with a 30 seconds dwell time. Shear bond strengths were tested and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with subsequent post hoc Scheffe test at p<0.05. $Carisolv^{TM}$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hear bond strength. Shear bond strength of permanent dent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imary dentin. Clearfil SE Bond treatment groups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AQ Bond treatment groups showe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

  • PDF

Nonthermal plasma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lining resin to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 (열가소성 의치상 레진과 첨상용 레진의 접착 강도에 저온플라즈마가 미치는 효과)

  • Manaloto-Ceballos, Liezl;Labriaga, Wilmart;Song, So-Yeon;Park, Jin-Hong;Lee, Jeong-Yol;Shin, Sang-Wa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6 no.3
    • /
    • pp.199-205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nonthermal plasma treatment on the bond strength of autopolymerizing relining resin to the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s (TDBRs) with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Acrylic Resin (Acrytone), Polyester (Estheshot-Bright), Polyamide (Valplast) and Polypropylene (Weldenz) were subjected to various surface treatments: No treatment, Nonthermal plasma, Sandblasting, Sandblasting and nonthermal plasma. Specimens were bonded using an autopolymerizing relining resin.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crosshead speed of 1 mm/min. Statistical analysis by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Tukey's test post hoc was used. Results: Acryton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hear bond strength value among other TDBR group while Weldenz had the lowest. The sandblasting and nonthermal plasma condi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shear bond strength value in all of the resin groups (P < .05). Conclusion: The use of nonthermal plasma treatment showed limited effect on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DBRs and relining resin, and combination of nonthermal plasma and sandblasting improved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DBR and reline material.

Effects of Cavity Configuration on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toration (와동의 형태에 따른 복합레진의 결합강도 및 변연누출에 관한 연구)

  • Choi, Seung-Mo;Choi, Gi-Woon;Choi, Kyoung-Kyu;Park, Sang-J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5
    • /
    • pp.479-487
    • /
    • 2002
  • 복합레진의 중합시 발생하는 수축과 응력은 와동의 형태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이는 수복재는 물론 접착계면의 물성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C-factor를 갖는 와동에 상아질 접착제 Clearfil SE Bond(Kuraray)를 도포하고 혼합형 복합레진인 Clearfil AP-X(Kuraray)와 미세혼합형의 Esthet-X(Dentsply)를 충전하여 미세인장강도 및 변연누출을 측정 평가함으로써 중합수축이 수복물과 치아계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98개의 Bovine 하악전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상아질을 #600 SiC paper로 연마한 대조군 및 와동의 넓이를 조절하여 C-factor 2.3, 3.0, 3.7이 되도록 제작한 실험군 와동에 복합레진을 충전한 후 37의 증류수에 24시간 보관하였다. 저속 diamond saw(Buehler)를 이용하여 1mm 두께로 수직절단 후 고속 diamond point(#104 Shofu)를 이용하여 단면적 1mm$^2$가 되도록 hour-glass모양으로 형성하여 시편을 제작하였고, Universal testing machine(EZ-Test; Shimadzu, Japan)에 시편을 부착하고 cross head speed 1mm/min으로 인장력을 가하여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C-factor에 따른 변연누출실험을 위하여 복합레진이 수복된 치아를 37$^{\circ}C$의 증류수에 24시간 보관한 후 와동을 제외한 부위에 nail varnish를 도포하고 3mol/L silver nitrate용액에 24시간 암보관한 다음 수세하여 현상액에 24시간 경과시킨 후 치아의 장축에 따라 절단하여 침투된 색소의 정도를 광학현미경상에서 40배로 관찰하였다. 각각의 실험결과는 ANOVA/Tukey's test 및 Kruskal-Wallis non-parametric independent analysis와 Mann-Whitney U test에 의하여 통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에 있어서 혼합형 복합레진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미세혼합형에 비하여 높았으며, 실험군 사이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모든 복합레진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와동의 C-factor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혼합형 복합레진의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미세혼합형 복합레진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3. 절단측 및 치은측 변연부의 미세누출정도는 혼합형 복합레진이 미세혼합형에 비하여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4. 모든 실험군에서 미세누출은 C-factor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절단측에 비하여 치은측 변연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C-factor의 변화에 대하여 필러함량과 탄성계수가 높은 혼합형 복합레진이 미세혼합형에 비하여 더 민감한 결과를 보인다. 이는 복합레진 수복시 재료의 선택과 중합수축의 적절한 조절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INFLUENCE OF LIGHT IRRADIATION OVER SELF-PRIMING ADHESIVE ON DENTIN BONDING (상아질접착제에 대한 광조사가 접착에 미치는 영향)

  • 류현욱;김기옥;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5
    • /
    • pp.409-41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ight irradiation over self-priming adhesive on dentin bonding. After acid etching the exposed dentin, a self-priming adhesive (Prime&Bond$^{\circledR}$NT dental adhesive system Dentsply DeTrey, GmbH, Konstanz, Germany) was applied and light irradiation was done for 20 sec with regular intensity (600 mW/$\textrm{cm}^2$) in group I and for 3 sec with ultra-high intensity (1930 mW/$\textrm{cm}^2$) in group III. No light irradiation was done over self-priming adhesive in groups II and IV. Composite resin was added on the self-priming adhesive and irradiated for 40 sec with regular intensity (600 mW/$\textrm{cm}^2$) in groups I and II and for 3 sec with ultra-high intensity (1930 mW/$\textrm{cm}^2$) in groups III and IV. To see the effect of light curing time on dentin bonding, another 3 group specimens were prepared. Without light-irradiation over self-priming adhesive, added composite resin was irradiated for 3, 6, or 12 sec with ultra-high intensity light. After bonded specimens were stored in 37$^{\circ}C$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shear bond strength were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4202, Instron, Instron Co., U.S.A.) and fractured surfaces were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SZ-PT Olympus, Japan).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with one-way, two-way ANOVA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hear bond strengths from the groups irradiated over self-priming adhesiv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rom the groups without irradiation (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shear bond strength difference between regular intensity light irradiation groups and ultra-high intensity ones (p>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shear bond strength difference among various irradiation time groups with ultra-high intensity ones (p>0.05). 4. In stereomicroscopic examination of fractured surfaces, adhesive-cohesive mixed failure mode was mostly seen in all group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ilure mode among groups (p>0.05).

  • PDF

Bonding performance and fracture strength of resin-infiltrated zirconia blocks for CAD/CAM systems (캐드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레진침투 지르코니아 블록의 접착양상과 파절강도)

  • Kim, Sa-Hak;Kim, Chong-Kyen;Kim, Wook-Tae;Kim, Jae-Hong
    •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
    • v.38 no.4
    • /
    • pp.273-280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글라스 세라믹과 고분자를 침투시킨 지르코니아 소재로 제작된 코어와 레진 시멘트의 굴곡강도 및 결합강도를 비교하여 하이브리드 기술이 치과 재료의 물리적인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두 가지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라믹소재[Vita PM9(GC) and I-JAM(ZC)] 와 다른 두 가지 하이브리드 세라믹 소재 [CELTRA Duo(ZRC) and Vita Enamic(RIZ)] 를 평가하였다. 각 그룹의 소재를 선택하여 결합강도와 굴곡강도, 그리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을 이용하여 표면분석을 시행하였다. 도출된 결과 데이터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제1종 오류의 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RIZ 그룹에서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p<0.05), ZC 그룹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굴곡강도는 ZC 그룹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RIZ 그룹이 가장 취약했다. 연구결론: 하이브리드 기술로 제작된 소재(RIZ 그룹)는 우수한 레진 시멘트와의 결합강도를 보였지만, 그에 비해 굴곡강도는 상대적으로 통상적인 지르코니아 소재보다 비교적 취약한 결과를 보였다.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resin-based adhesives to dentin (상아질 위치에 따른 접착성 수복재의 미세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 Hong, Hyun-Kyung;Choi, Kyoung-Kyu;Park, Sang-Hyuk;Park, Sang-J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4
    • /
    • pp.314-325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종 상아질 접착 시스템과 복합 레진 및 resin-modified glass ionomer를 상아질 표면에 접착하여 재료 및 상아질내 위치에 따른 미세전단결합강도를 측정, 비교하는 것이다. 상아질 접착 시스템으로는, 3-step인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2-step인 Single Bond와 자가 부식형 시스템인 Clearfil SE Bond를, 1-step인 Prompt L-Pop을 사용하였다. 이와 함께 hybrid type의 복합 레진인 Clearfil AP-X와 2250을 사용하였으며 resin-modified glass ionomer로는 Fuji II LC를 사용하였다. 상악 소구치를 치아의 근원심 중앙부를 절단하여 상아질면을 노출시켰다. 5개 실험군으로 분류하고 상아질면을 위치에 따라 치관부의 occlusal $\frac{1}{3}$, middle $\frac{1}{3}$, cervical $\frac{1}{3}$과 치근부로 구분지어 시편을 부착하였다. 미세전단결합강도측정는 Universal testing machine(EZ-test; Shimadzu, Japan)에서 측정하였다. Occlusal 1/3부위에서는 SE가 가장 높은 값을, SM과 SB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PL, GI순으로, Middle 1/3부위에서는 $SM{\;}{\geq}{\;}SE{\;}{\geq}{\;}SB{\;}{\geq}{\;}PL{\;}{\geq}{\;}GI$순으로, cervical 1/3부위에서는 SM, SE, SB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Root dentin에서는 SM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SE, PL, GI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SE만이 치관부 상아질에 비해 치근부에서 유의할만한 결합강도의 감소를 나타냈다(p<0.05). GI는 치관부 상아질에서는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나 치근부에서는 SE, PL과 유의차가 없었다.

Priming time and etching effect on shear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adhesive (프라이머 처리시간과 산부식이 자가산부식 접착제의 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 Kang, In-Joo;Park, Jeong-W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9 no.2
    • /
    • pp.185-190
    • /
    • 2004
  • 자가산부식 접착제 (self-etching primer)는 법랑질과 상아질을 동시에 산부식과 프라이머 처리를 함으로 임상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임상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술자의 실수 및 타액등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약산을 이용한 산부식법이 법랑질에 대해 탈회효과 및 접착강도에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산을 이용한 추가적인 산부식 및 자가산부식 접착제의 적용시간을 달리할 경우 법랑질에 대한 접착강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35개의 발거한 우치의 법랑질 면을 #600사포로 연마한 후 9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은 부가적인 32% 인산을 처리하지 않은 군 (1~3군), 15초간 처리한 군 (4~6군), 60초간 처리한 군 (7~9군)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Clearfil SE Bond의 프라이머로 5초 (1, 4, 7군), 20초 (2, 5, 8군), 60초 (3, 6, 9군)간 처리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접착제 처리한 면에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접착하고 24시간 경과 후 전단응력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One-way ANOVA 처리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검증하였다. 동일한 자가산부식 프라이머 처리 시간을 가진 군에서 산 부식을 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인산부식 시간의 차이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1 < 4, 7군/ 2 < 5, 8군/ 3 < 6, 9군). 자가산부식제의 프라이머 적용 시간에 의한 효과는 1군(5초 적용)을 제외한 나머지 군의 경우 동일한 인산 처리군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군 < 2, 3군/ 4=5=6군/ 7=8=9군). Clearfil SE Bond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접착강도는 부가적인 산부식을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으며 프라이머의 적용 시간에 의한 효과는 제조자의 지시에 의한 시간 이상 적용할 경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