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종량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5초

유류 오염 토양에서 분리된 Rhodococcus fascians를 이용한 해수에서의 디젤유의 분해 (Biodegradation of Diesel in Sea Water by Rhodococcus fascians Isolated from a Petroleum-contaminated Site)

  • 구자룡;문준형;윤현식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53-457
    • /
    • 2009
  • 본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유류로 오염된 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직접 분리한 Rhodococcus fascians로 이전 연구에서 항공유의 분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균주이다. 디젤유가 항공유보다 R. fascians의 생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중의 디젤 분해를 위해서는 2%이상의 접종량이 효과적이며 접종량이 증가할 경우 잔류량이 더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해수중의 디젤이 5%이상에서는 디젤유의 독성에 의해 R. fascians의 생장이 저해를 받아 디젤 잔류량이 높게 나타났다. R. fascians는 pH 8에서 가장 높은 디젤 분해속도를 보였으며 비교적 넓은 pH 범위에서 디젤 분해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 fascians의 최적 성장온도 보다 높은 $32^{\circ}C$에서는 디젤의 분해에 온도증가에 따른 자연분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R. fascians의 해수중 디젤유 분해의 최적온도는 $27^{\circ}C$로 최적 생장온도에서 분해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taphylococcus epidermidis로 인위감염시킨 양식넙치의 혈액지수 변동 (Changes in Blood Parameters of the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rtificially Infected with Staphylococcus epidermidis)

  • 심두생;정승희;박형숙;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3-131
    • /
    • 1993
  • 1990년 8월에 양식넙치의 병어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건강한 넙치에 인위감염 시킨 후, 혈액성상과 혈청화학성분의 변화를 24시간 간격으로 4일간 추적하였다. 적혈구수, 헤모글로빈량, 헤마토크릿치, 평균적혈구헤모글로빈농도 및 평균적혈구헤모글로빈량은 균 접종 24시간에서 48시간 내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단백, 알부민, 글로부린 및 총콜레스테롤치는 균 접종 24시간에서 45시간만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혈당, 빌리루빈 및 혈청 트란스아미나제는 균 접종 24시간에서 48시간내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균 접종 48시간 후에 적혈구는 장경이 짧게 되어 둥근 모양으로 되었다. 균 접종 72시간 후에는 용혈된 적혈구와 호중구가 많이 출현하였다. 균 접종 48시간 후부터 프라이스-존즈 곡선은 좌방으로 이행되었다. 따라서 인위적 감염에 의한 양식 넙치의 포도상구균증은 용혈성 빈혈을 나타내었다.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생성균주를 starter로 이용한 기능성 김치의 제조 (Manufactures of Functional Kimchi using Bifidobacterium Strain Producing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s Starter)

  • 민승기;김정희;김소미;신홍식;홍근화;오덕근;김경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114
    • /
    • 2003
  • 공역리놀레산(CLA)은 항암, 항산화작용, 콜레스테롤저하 등의 효과를 지닌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과 미국에서는 건장보조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A 생산능력이 있는 미생물을 김치제조 시에 스타터로 첨가하여 김치의 맛에는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면서 CLA를 생산하는 최적조건을 밝히기 위해 혐기성 스타터 비피도박테리아를 배양액상태, 냉동건조된 상태, 캡슐화된 상태 등의 세가지 형태로 접종하였다. 이들 세가지 접종 방법 중 캡슐화된 상태로 스타터를 접종 시에 김치발효 중의 박테리아의 CLA 생산능력이 최적상태로 유지되었다. 김치 제조시에 부재료로 첨가되는 고추에는 상당량의 리놀레산(LA)이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어 추가로 LA를 첨가하지 않았다. 캡슐화된 비피도박테리아 스타터를 접종한 후 김치의 맛과 CLA생산 추이를 살펴본 결과 김치 맛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CLA를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접종량은 0.1%(w/w)임이 밝혀졌다.

황갈색 고원 토양에 있어 근류균 접종, pellleting 및 석회시용이 Lucerne(Medicago sativa L.)의 근류형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eed Inoculation, Pelleting, and Liming on the Nodulation and Growth of Lucerne(Medicago sativa L.))

  • 임병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0권
    • /
    • pp.79-83
    • /
    • 1971
  • 뉴지랜드의 황갈색 고원 토양에 있어 Lucerne의 근류형성 및 생육에 미치는 근류접종, pelleting 및 석회시용의 효과를 시험코저 5개 수준의 종자 처리(블접종, 접종, 접종 석회 pelleting, 접종인산 백운석 50/50 pelleting, 접종활석 pelleting과 석회시용(25kg/10are)을 비교하고 그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성토양에서 Lucerne의 효과적 근류 형성에는 석회시용과 종자의 근류균 접종 및 pelleting이 필요하다. 2. 접종 종자를 적당한 재료로 싸면 근류헝성을 좋게한다. 3. Lucerne의 종자 pelleting은 석회시용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다. 4. 창갈색 고원 토양에서는 석회분말이 좋은 pelleting재료가 된다. 5. 종자에 접종하지 않거나 pelleting을 하지 않은 종자의 파종시는 석회시용이 효과적이다. 6. pelleting 종자 사용은 석회시용에 소요되는 품과 경비를 절감시킬 것이다.

  • PDF

Pseudomonas aeruginosa AJ1에 의한 Microcystis aeruginosa의 성장제어 (Growth Suppression of Microcystis aeruginosa by Pseudomonas aeruginosa AJ1)

  • 김선정;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62-367
    • /
    • 2009
  • 대청호의 한 지류인 소옥천으로부터 고효율 조류억제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176균주를 분리 스크린하였으며, 이 중 AJ1이 가장 높은 조류성장억제능을 나타내었다(지름 50.0 mm 성장억제환). 조류성장억제능이 높았던 AJ1 균주 동정을 위하여 형태학적, 생리 생화학적, 16S rRNA gene sequence 분석, 지방산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Pseudomonas aeruginosa 로 판별되었다. AJ1 배양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조류배양액에 첨가 시, 상등액에 의한 조류성장억제능이 나타남에 따라 세포 외 물질 분비에 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높은 조류성장억 제능[60.2(${\pm}$1.3)%]은 탄소원으로 mannitol을 사용하고, 온도 $30^{\circ}C$, pH 8에서 배양할 때 보였다. 또한, AJ1 균주의 배양기간 및 투여시기에 따른 조류성장억제능 평가 결과, 조류 성장 초기 단계에 조류성장억제균을 투여하였을 때 조류성장억제능이 높게 나타났고, 균주의 배양기간에 따른 조류성장억제능은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등액 접종량에 따른 조류성장억제능은 상등액의 접종량이 높아질수록 M. aeruginosa의 제거량은 증가하였으며, 고농도(40ml/L)로 적용하였을 때 80.3(${\pm}$8.6)%의 가장 높은 M. aeruginosa 제거효율을 보여주었다. 제거 속도의 경우 상등액 접종량이 낮아질수록 M. aeruginosa 제거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저농도(10 ml/L)로 적용시 $8.2{\mu}g$ chl-a/supernatant ml/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AJ1 균주의 현장 적용 시 M. aeruginosa의 제어에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땅콩 근류균(根瘤菌)(Bradyrhizobium sp. HCR-46) 접종이 Cowpea군(群) 두과작물(豆科作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Inoculation of Peanut Bradyrhizobium sp. HCR-46 on the Nitrogen Fixation of Cowpea Group Legume)

  • 최윤희;이상복;정지호;소재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8-386
    • /
    • 1992
  • Cowpea군(群) 두과작물(豆科作物)에 대한 땅콩근류균(根瘤菌) HCR-46의 근류형성능(根瘤形成能) 및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을 검토(檢討)하고자 동부, 녹두, 팥, 땅콩에 무접종(無接種)+N : 0kg/10a, 무접종(無接種)+N : 6kg/10a, 접종(接種)+N : 0kg/10a, 접종(接種)+N : 6kg/10a, 접종(接種)+N : 12kg/10a로 처리(處理)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초기근류형성시기(初期根瘤形成時期)는 팥이 가장 빠르고 동부, 녹두, 땅콩순(順)이었으며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수록 지연(遲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근류수(根瘤數)와 근류중(根瘤重)은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될 수록 증가(增加)하였고,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경우 땅콩을 제외한 동부, 녹두, 팥에서 감소(減少)하였다.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은 균접종구(菌接種區)가 무접종구(無接種區)에 비(比)해 높았고 균접종시(菌接種時)는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에 비(比)해 질소(窒素) 6kg/10a 시용구(施用區)가 높았다. 접종균(接種菌)에 의해 고정(固定)된 질소량(窒素量)은 파종후(播種後) 60일(日)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의 동부, 녹두, 팥, 땅콩이 각각(各各) 39.32, 42.39, 28.07, 78.56mg/주(株) 이었고 질소(窒素)6kg/10a 시용구(施用區)에서는 각각(各各) 25.46, 24.97, 16.80, 47.65mg/주(株)로서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가 질소(窒素)6kg/10a시용구(施用區)에 비(比)해 많아 균접종효과는 질소시용구(窒素施用區)보다는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 뚜렷했다.

  • PDF

Mycorrhiza 접종이 가뭄 스트레스하의 식물성장과 질소 대사산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ycorrhizal Inoculation on Plant Growth and N Metabolites in Relation to drought-stress Tolerance)

  • 이복례;정우진;김대현;김길용;손보균;김태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14-325
    • /
    • 2002
  •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가뭄스트레스 저항성과 관련하여 균근균(mycorrhiza) 접종이 작물생장 및 질소대사 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균근균 접종에 의한 잎의 수분퍼텐셜, 건물량 및 인의 함량의 유의적인 증가가 인정되었다. 가뭄스트레스 상태에서 뿌리의 질산염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균근균 비접종구가 접종구에 비하여 현저하였다. 잎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균근균 비접종구가 접종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 실험기간 동안 가뭄 스트레스 처리구의 암모니아와 proline의 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균근균 접종구에서는 증가가 현저히 완화되었다.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잎의 건물량 감소는 암모니아(p<0.01)와 proline(p<0.001) 농도의 증가와 부의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균근균의 접종 효과는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작물의 성장 억제를 완화시켰으며, 인의 함량과 질소의 동화 작용을 증가 시켰다.

온도를 공기량으로 제어한 음식물 쓰레기 호기성 퇴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 with Controlling Temperature by Air Flow Rate)

  • 황선현;신창호;신부영;조무환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621-627
    • /
    • 1999
  • 용량 450 L의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를 설계하여, 유입공기량, 교반, 접종 조건에 변화를 주어 퇴비화 장치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RUN 1은 1일 2회 5분간 교반하고, 유입공기량을 22.7 L/min로 고정하였다. RUN 2, 3에서는 지속적으로 교반하고, 유입공기량은 퇴비내부의 온도를 5$0^{\circ}C$ 이상 유지하고, 또 산소농도를 7 mol%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10 L/min, 15 L/min, 20 L/min으로 수시로 조절하였다. RUN 3는 접종효과를 보기 위하여 퇴비에 완성된 퇴비를 10 wt% 접종하여 RUN 1, 2와 비교하였다. 지속적으로 교반하고, 온도와 산소 농도에 따라 유입공기량을 조절한 RUN 2와 3에서 RUN 1보다 더 빠른 퇴비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CO_2$농도와 휘발성 유기물 감소에서는 접종한 RUN 3가 RUN 1, 2보다 높았으나, C/N 비, pH 변화, 미생물 개체수에서는 뚜렷한 접종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근 동질유전자 보리계통에서 보리흰가루병에 대한 국부적 유도저항성 (Localized Induced Resistance to Erysiphe graminis f. sp. hordei in Near-Isogenic Barley Lines.)

  • 조백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2-27
    • /
    • 1985
  • 근 동질유전자를 가진 2 보리계통을 사용, 2계통에 친화성 혹은 비친화성 반응을 나타내는 보리흰가루병균 1균계를 전접종하여 저항성을 유도하고 접종부위로부터 전접종원을 경시적으로 제거한 다음 동일부위에 보리 2계통에 각각 친화적인 2균계(1균계는 전접종원과 동일)를 후접종하여 본 결과 전접종원에 친화성 및 비친화성 반응을 나타내는 2계통 모두 전접종원과 한시간 이내의 짧은 접촉에 의해서도 저항성이 유도되었고 그 저항성의 정도는 접촉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6-9에 최대치에 달하였다. 전접종원에 친화적, 비친화적인 계통간의 유도저항성의 정도와 저항성이 유도되는데 필요한 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양 조합 모두 유도저항성의 정도는 사용된 전접종원의 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 PDF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한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Aflatoxin 생성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 in Various Varieties of Soybeans)

  • 박건영;이규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1
    • /
    • 1985
  • 한국산 6종의 대두품종 봉의, 황금, 장백, 단엽, 장엽 및 남천을 선정하고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의 접종량을 다르게 하여($10^2$$10^6$) aflatoxin 생성을 검토하였다. 균접종량이 적었을 때$(10^2)$ 대두품종간의 AF 생성량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남천은 봉의의 7배 정도의 AF $B_1$을 생성하였으며, 봉의와 황금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 (p<0.05)을 생성하였다. 한편 장엽은 가장 많은 양의 $AF\;G_1$ (p<0.05)을 생성하였고, 남천과 장엽은 $AF\;B_1+G_1$을 가장 많이 생성하는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비교군으로 쓰인 쌀보다 70배 정도의 AF을 생성하였다. 소립(小粒) 대두인 단엽과 장백은 $AF\;B_1/G_1$율이 높은 반면 대립(大粒) 대두인 봉의 황금 및 장엽은 낮은 $AF\;B_1/G_1$율을 나타내었다. 균 접종량이 많았을 때는$(10^6)$ $10^2$ 때보다 소량의 AF이 생성되었는데 남천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으나 황금은 가장 많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다(p<0.05). $AF\;G_1$에 있어서는 황금을 제외하고는 생성량에 있어 품종간의 차이가 없었고 이 경우 AF 생성은 비교군 쌀에서 보다 적은 량이 생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