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접선 연속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연속 탄소성 캡 모델(II): 응력적분 및 접선계수 (A Smooth Elasto-Plastic Cap Model(II): Integration Algorithm and Tangent Operator)

  • 서영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5-32
    • /
    • 2001
  • 보편적인 탄소성 캡 모델은 전통적인 등방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모델의 응력적분 및 접선 계수의 유도는 여러 가지 논문들에 나타나 있지만 축차 및 체적 거동을 동시에 다루는 내제적인 해석법을 통한 지반해석은 아직까지는 많은 도전이 요구되고 있다. 앞선 동반 논문에서는 비연속적으로 연결된 항복면 사이의 접선 계수는 특이점이 됨을 나타내었고 이에 대하여 새로운 캡 모델의 구성식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시된 캡 모델의 비 조건적이고 안정된 내재적 응력적분 및 일관된 탄소성 접선계수를 유도하였다. 또한 간단한 예제를 통하여 모델의 수행능력을 보여주었고 사면안정계산이 수행되었다.

  • PDF

연속 탄소성 캡 모델(I): 구성모델 및 항복면의 결정 (A Smooth Elasto-Plastic Cap Model(I): Rate Formulation, Yield Surface Determination)

  • 서영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5-23
    • /
    • 2001
  • 탄소성 캡 모델의 중요한 장점은 여러 가지 다공체의 전체적인 축차 및 체적의 비선형 상호거동을 동시에 다룰 수 있음에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캡 모델이 가진 문제점중의 하나는 세 개의 독립적인 항복면이 불연속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부터 기인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복면 사이의 연결점에서의 탄소성 접선 계수는 특이점이 되고 수치해석상 잠재적인 어려움을 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세 개의 항복면이 연속적으로 만나는 새로운 탄소성 캡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의 증분형태의 구성식 및 새로운 응력을 구하기 위한 활동 항복면의 결정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이 제시되었다. 동반 논문에서는 내재적인 응력적분 및 일관적인 접선계수를 유도하였고 예제계산들을 수행하였다.

  • PDF

대단면 수심정각재 건조를 위한 포화-과열증기 연속 건조 공정의 이용가능성 평가 (Applicability of Continuous Process Using Saturated and Superheated Steam for Boxed Heart Square Timber Drying)

  • PARK, Yonggun;CHUNG, Hyunwoo;KIM, Hyunbin;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21-13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단면 목재의 건조를 위해 포화증기와 과열증기를 연속 적용하는 공정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낙엽송 수심 정각재를 건조하는 동안 표면층, 내부층 및 중심층의 슬라이스 시험편을 통해 함수율 변화를 확인한 결과 포화증기 건조 중에는 표면층과 내부층 사이에서, 과열증기 건조 중에는 내부층과 중심층 사이에서 함수율 경사가 크게 발생하였다. 하지만 각 슬라이스 층간의 함수율 경사에도 불구하고, 표면 할렬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부 할렬은 수나 미성숙재 부근에서만 발생하였다. 슬라이스의 탄성 변형률과 낙엽송의 접선 방향 탄성계수를 통해 건조 중인 낙엽송 정각재의 건조 응력의 최댓값은 1.30 MPa이었고, 건조 응력이 최대인 시점 온도와 함수율 조건에서 낙엽송의 접선 방향 인장강도는 5.21 MPa로 추산된다. 즉, 포화증기 및 과열증기를 연속 건조 공정에서 목재의 건조 응력이 접선 방향 인장강도를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표면에서 할렬이 발생하지 않았다. 내부 할렬 발생 억제를 위한 과열증기 건조 조건 완화와 같은 추가 연구를 통해 포화-과열증기 연속 건조 공정이 대단면 목재 건조에 이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접선 지정법을 이용한 대화형 G$^1$스플라인 (Interactive G$^1$ Splines with Tangent Specification Method)

  • 주우석;박경희;이희승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4호
    • /
    • pp.531-540
    • /
    • 1994
  • 스플라인 함수는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커프모양에 의해 캐드 상에서 물체의 외형 을 설계할 수 있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고, 따라서 새롭게 효율적인 커프 모양 의 개발은 산업 설계 분야 전반에 직접적인야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더욱 다 양하고 자유로운 커브 모양을 만들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연속인 부류의 스플라인 함 수를 그리기 위한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부류의 스플라인은 기존 스플라인에 비해 자유자재의 다양한 모양을 생성함과 동시에 일반적인 카디날 스플라인이 갖는 보간성을 아울러 갖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가장 큰 중요성은 매개변수의 스칼라 수치값을 제시하던 기존 G$^1$ 커브 구현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시각적인 벡터를 사 용하여 접선의 모양을 지정케하고 그 결과를 커브 생성을 위한 매개변수로 변형시킬 수 있는 공식을 유도하고 구현한 점이다. 생성된 결과 커브자체가 원래 지정된 접선 에 충실하게 되므로, 캐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설계하고자하는 커브의 개형을 시각화 시킨 접선의 모양에만 치중할 수 있는, 단순한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설계자의 입장에서는 본 논문에 구현된 스플라인 도구를 사용한다면 마우스와 같은 간 단한 입력장비만으로도 다양하고 효과적인 커브 모양을 생산할 수 있다.

  • PDF

대변위 및 대회전을 고려한 만곡된 쉘의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 (A Geometrically Nonlinear Analysis of the Curved Shell Considering Large Displacements and Large Rotation Increments)

  • 이재욱;양영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132-139
    • /
    • 1992
  •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과정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연속적인 하중증분단계의 기하학적 변위증분에서 절점회전이 미소하다는 가정에 의해 제한되어 접선강성행렬을 유도하고 유한회전의 영향을 증분평형 방정식의 반복계산하는 과정에서 고려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개선된 방법으로는 미소회전증분의 가정을 무시하고 유한회전증분의 영향을 고려하여 접선강성행렬을 유도하는 방법이 Surana, Onate 및 Dvorkin 등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유한 회전을 고려하는 방법에서 Surana는 비선형 절점 회전함수를 가정하여 강성메트릭스를 유도하였으며 Onate와 Dvorkin은 전체좌표에서 회전각에 대한 회전행렬의 2차항까지를 고려한 강성메트릭스를 유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의 기하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변위함수의 방향 벡터를 삼각함수로 표현하여 연속적인 하중증분 사이의 방향벡터 증분을Tayler의 급수로 2차항까지 전개하므로써 비선형 회전 증분을 고려한 쉘 요소를 개발하였다.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과정은 연속체 운동의 증분이론을 도입하여 Total Lagrange(T.L.)수식과 Updated Lagrange(U.L.)수식으로 비선형 거동을 해석하였다.

  • PDF

복합 곡면에서 매개변수 조정에 의한 블렌딩곡면 생성 (Blending Surface with Parameter Control in Compound Surface)

  • 김종열;이희관;공영식;양균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10호
    • /
    • pp.148-155
    • /
    • 1998
  • For products of various shapes, compound surfaces are used. Blending surfaces are essential to the products of the compound surfaces. In this paper a method of making shape of blending surface flexible with parameter control is discussed. The parameter has quantitative control of shape of the blend. The blending surface is applied to NURBS and simple primitives in solid model. Intersection curves of surfaces is used to provide the blend with generality. Rail curve are found with the intersection curves. The blend is generated by rail curves and parameter control. Also, In strict constraint condition, blending surface with flexible shapes is discussed, keeping ;${GC}^1$ and ;${GC}^2$ continuity between free-formed surfaces and solids. Joining blending ,bridge blending and blending surface at corner are generated.

  • PDF

인간주의 수학교육: 수학적 개념의 모호성을 드러내고 명확히 하기 (Humanity mathematics education: revealing and clarifying ambiguities in mathematical concepts over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박교식;임재훈;남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01-221
    • /
    • 2008
  • 본 연구는 심성함양으로서의 수학교육을 목표로 하는 인간주의 수학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수학적 개념의 본질은 현 개념의 모호함을 인식하고 이를 명확히 하면서 점진적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군과 연속함수로 예시하였다. 수학적 개념의 학습에서도 학생들은 다소 직관적이고 모호하며 맥락-의존적으로 정의되는 학교수학의 개념들을 이전 개념의 모호성을 인식하고 분명히 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학교수학에서 접선과 다각형의 정의의 개선 과정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수학적 개념의 학습을 통하여 학생은 자신의 사고의 한계를 깨닫고, 개선하게 된다. 이러한 지적 발전은 개선의 의지와 함께 겸손과 만족이라는 감정을 수반하면서, 수학교육을 통한 심성 함양이라는 인간주의 수학교육을 구현하는 방편이 될 수 있다.

  • PDF

비정형 건축곡면 패널분할 최적화를 위한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Index of the Panelizing Optimization for Architectural Freeform Surfaces)

  • 유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528-3537
    • /
    • 2013
  • 비정형 건축곡면의 패널분할 최적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최적화 평가기법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평가기법과 평가지표들은 독립성, 보편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곡면 패널분할 최적화 평가기법 및 평가지표에 관한 사례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독립성 및 보편성이 확보되는 비정형 곡면 패널분할 최적화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추출과 평가지표의 제안이 이루어진다. 제안된 세 가지 패널분할 최적화 평가항목은 원형 충실도, 생산 용이성, 연속성이며, 원형 충실도를 위한 평가지표로는 곡면 일치, 생산 용이성을 위한 평가지표로는 평면성, 평면 패널 비율, 연속성을 위한 평가지표로는 접선 연속성, 사이 간격이 제안되었으며 그 산출방법이 함께 제안되었다.

안경테 다리의 탄성변형에 관한 모델 (Model on the Elastic Deflection of Temple of the Spectacle Frame)

  • 김대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51
    • /
    • 2007
  • 두께 및 폭이 균일하지 않고 경사진 한 끝이 고정된 단면이 직사각형인 안경테 다리의 자유단에 수직 힘이 작용하는 경우 탄성체 내 모든 점에서 변위 및 접선 기울기의 연속, 구부림 모멘트의 연속, 전단력의 연속 등 법칙에 근거하여 이러한 불균일 안경테 다리의 변위를 이론적으로 구하는 방정식(모델)을 수립하였다. 베타티탄테 다리의 변형에 대한 실제 측정값과 유도한 이론식에 의한 예측 계산 값을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 0.992 및 카이검정 결과 p=0.999로 서로 잘 부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도한 모델에 의해 다리의 탄성율 및 두께 폭과 같은 형상 변화에 따른 다리의 변형과 작용하는 힘(압력)의 크기 및 변화가 예측 가능하다. 안경테 다리의 두께 변화에 따른 다리 변형을 모사(simulation)하였다.

  • PDF

Modal MoM법을 이용한 육면체 공진기 내부에 침투한 전자파 계산법 (Calculate the Inside electromagnetic field of a cavity using Modal MoM)

  • 이윤주;정용식;박상복;천창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603-1604
    • /
    • 2006
  • 본 논문은 구멍(aperture)이 나있는 육면체 진기에 전자파가 조사 되었을 때, 공진기 내부에 침투한 전자파를 Modal MoM 수치계산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공진기 내부의 전자파는 cavity Green 함수로, 외부는 자유 공간 Green 함수로 표현 할 수 있고, 구멍이 난 부분에서 전계와 자계의 접선 성분이 연속하다는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차폐하고자 하는 도체공간 내부에 침투한 전자파를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