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취사면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7초

지질조건에 따른 도로사면 안정검토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tability Evaluation of Road Slope based on Geological Condition)

  • 박철숙;김재홍
    • 지질공학
    • /
    • 제17권4호
    • /
    • pp.577-587
    • /
    • 2007
  • 본 연구지역은 절취사면 연장이 약 450m에 달하며 사면 절취결과 암질의 측방변화가 현저한 지반조건을 나타냈다. 사면 안정대책의 수립을 위해 절취사면에서 구성암석, 지질구조, 불연속면의 방향성 등 지질공학적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절취사면의 방향성, 사면높이, 지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6개의 Zone으로 구분하고, 안정성 분석은 불연속면의 방향성과 사면의 절취방향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에 의한 안정성 분석이 가능한 DIPS 프로그램을 이용한 평사투영법으로 실시하였다. 사면안정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공성, 안정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비교적 큰 암괴의 이완시 도로 하단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고강도 낙석 방지망(higth tensile steel wire net) 설치, 사면 보호공, 옹벽의 증고 등 다양한 공법으로 사면안정 대책을 수립, 시행하였다.

편마암지역 자연사면.절취사면의 안정성 분석 사례 (Analysis of Rock Slope Stability for Natural Slope and Cut Slope of Gneiss Area in Andong, Korea)

  • 김만일;배두원;김종태;채병곤;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289-297
    • /
    • 2007
  • 매년 강우로 인해 발생되는 사면파괴는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사면재해로부터의 피해저감을 위해 인간의 생활권과 인접한 사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이들의 안정성 검토와 보강 대책이 요구된다. 연구지역은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암반사면으로써 단층작용으로 인해 대규모 절리군이 형성되어 있는 풍화암 내지 연암의 풍화 특성을 보여준다. 조사사면을 자연사면과 절취사면으로 구분하여 현장자료를 검토한 결과, 자연사면에서는 주 절리군이 형성된 4개 지점에서 평면파괴와 쐐기파괴 가능성이 우세하였으며, 절취사면의 경우 8개 지점에서 쐐기파괴 발생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SLIDE 2D에 적용해 이들 사면의 최소안전율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에서는 자연사면보다 절취사면의 안정성이 비교적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도로 절취사면 정보 획득 (Acquisition of Information on Road Cutting Slope Using Digital Imagery)

  • 이종출;김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937-1943
    • /
    • 2007
  • 산지가 많은 국내의 지형적 특성으로 절취사면의 발생은 필수적이며, 해마다 발생되는 사면 붕괴로 인해 많은 인명 재산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최근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산림지역의 훼손으로 토양의 침식 이 발생하고 이는 강우와 결부되어 하천 오염 및 하천의 바닥고를 상승시켜 통수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국내에서는 환경 영향평가, 재해영향평가 등을 통하여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사면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측량용 사진기를 장착한 RC 모형 헬기를 이용하여 사면에 관련한 디지털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처리하여 보다 정확한 사면정보를 획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절취사면을 대상으로 획득된 디지털 영상을 처리하여, 사면의 수치 정보를 획득하였고, 획득된 사면 정보를 바탕으로 신뢰 할 수 있는 토사유출인자를 산정 하였다.

암종별 특성이 고려된 국내절취사면의 유지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omestic Cut Slope Management Plan Reflecting Quality according to Rock Types)

  • 신창건;이소영;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7-44
    • /
    • 2008
  • 절취사면의 붕괴는 지질 및 지형적인 요건과 수리적인 요건 등 매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그러나 현행 절취사면의 사전 및 사후 유지관리 단계에서 복잡한 지질조건에 따른 안정성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에 있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지관리 주체별 현황 및 암종별 붕괴 특성 및 유지관리 사례분석 등을 실시하고 이를 통하여 암종별 특성이 고려된 국내 절취사면의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절취사면 설계 현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signing Conditions for Cut Slopes in Korea)

  • 이수곤;이경수;강병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69-572
    • /
    • 2008
  • 우리나라는 70%가 산지로 구성되어있으며, 매년 집중호우로 인한 사면붕괴가 발생하여 연평균 60여명의 인명피해와 수 천억원 이상의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면붕괴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 사면관련 102권의 설계보고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각 기관들이 제시하고 있는 절취사면 관련 설계기준은 복잡한 국내의 지질조건을 적절히 고려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검토된 보고서들은 각 기관들이 제시한 설계기준을 제대로 시행하지 않거나 형식적으로 설계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우로 인한 절취사면의 불안정 (Instability of Cut Slopes due to Rainfall)

  • 김상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4년도 학술발표집 신소재, 신기술에 의한 사면안정이론과 시공사례
    • /
    • pp.25-48
    • /
    • 1994
  • 산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산지를 절개하여 주택단지나 도로를 개설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일반적으로 절취사면은 얄은 토충과'그 아래 풍화도가 다른 암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절취사면이 강우로 인해 붕괴되는 일이 가끔 발생하므로, 강우시의 유출과 지반 침투로 인해 활동가능성이 중대되는 원인을 이 논문에서 자세히 기술하였다. 또한 지질 공학적인 측면에서 불연속면의 발달을 상세히 조사하여 이것을 설계에 반영함으로서 더욱 합리적인 설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 PDF

암반사면 표면조사시 재해 예방을 위한 고려요인 (The Factors Considered for Disaster Prevention in Surface Investigation of Rock Slope)

  • 이석진;전성용;이주호;최성록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5-83
    • /
    • 2009
  • 암반사면에 대한 표면조사 시에는, 암반 사면파괴로 인한 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파쇄대에서의 응력이완, 노출되지 않은 불연속면 등의 요인들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사면의 절취 또는 절취사면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사면 안정성에 대한 판단을 도와 사면 파괴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절취사면 용출수의 효율적인 배제에 대한 사례연구 (A Study Of Case On Prescription Of Spring Out Water In Cut Slope)

  • 신창건;서정유;홍남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095-1099
    • /
    • 2009
  • 절취사면의 붕괴 발생은 지질 및 지형적인 요인과 수리적인 요인 등 매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 중 수리적인 요인은 지질 및 지형적인 요인과 더불어 사면의 안정성 및 도로통행의 위험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면내의 물은 전단강도의 저하 및 활동력의 증가를 시키며, 이는 사면의 붕괴를 유발한다. 또한 지하수의 용출수는 사면의 안정성 이외에 추가적인 도로유지관리에 문제를 일으킨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용출수 및 지표수를 제어한 사례를 제시하여 실무에 좋은 자료로 이용되고, 더 많은 사례연구가 이루어져 유사한 현장에 적용될 많은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무인 항공 사진측량을 이용한 절토사면의 땅밀림 시계열 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Soil Creep on Cut Slopes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 김남균;최봉진;최재희;전병희
    • 지질공학
    • /
    • 제30권4호
    • /
    • pp.447-456
    • /
    • 2020
  • 연구지역인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의 사면은 지형변화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2009년 사면 절취공사를 수행하여 사면경사완화공법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사면의 상부에 위치한 폐석적치장의 영향으로 2개월 뒤 절취사면의 상부를 확장하여 안정성을 도모하였다. 최근 사면 하부에 위치한 옹벽의 배부름 현상이 발견되고 절취사면의 균열이 나타나 지형변화가 다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UAV를 이용하여 사진측량을 수행해 지형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019년 4월과 10월 각각 정사영상을 추출하고 Digital Surface Model(DSM)를 추출하여 고해상도의 지형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10월의 지형은 4월의 지형형상을 그대로 유지한채 앞으로 밀려 나간 모습을 보여 이러한 지형변화는 땅밀림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경남 지방도로 절취사면의 안정성평가 (Risk Assessment of the Road Cut Slopes in Gyeoungnam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강태승;엄정기
    • 지질공학
    • /
    • 제17권3호
    • /
    • pp.393-404
    • /
    • 2007
  • 본 연구는 절리암반사면의 현장상태 및 위험도에 대한 현장조사를 기초로 사면의 상대적 위험도를 판단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개별요인이 사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사면붕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면의 붕괴요인으로는 기존에 제시된 인장균열, 지반변형, 구조물 변형, 붕괴발생규모, 절리주향, 절리경사, 절리상태, 사면경사, 강우 및 지하수위, 절취상태, 배수조건, 보호보강상태 등 12가지 항목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지역은 경상남도 지방도로에 위치한 절취사면 중 붕괴 이력이 있거나 다소 불안감을 보이는 위험 절개지 233개소이다. 조사지역의 사면안정성평가는 각각의 평가요인(붕괴요인)에 따른 사면의 결함지수와 사면위험등급에 의해 수행되었다. 조사된 총 233개소의 사면 중 토사사면을 제외한 암반사면 126개소를 선별하여, 각각의 붕괴요인들과 사면위험등급과의 통계적 연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적용성을 고찰하여 사면결함지수와 위험등급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모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