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Assessment of the Road Cut Slopes in Gyeoungnam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경남 지방도로 절취사면의 안정성평가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pture the essentials in survey and evaluation scheme which are able to assess the hazard of a rock slope systematically. Statistical analysis are performed on slope instability parameters related to failure of the rock slope. As the slope instability parameters, twelve survey items are considered such as tension crack, surface deformation, deformation of retaining structures, volume of existing failures, angles between strike of discontinuity and strike of cut slope face, angles between dip of discontinuity and dip of cut slope face, discontinuity condition, cut slope angle, rainfall or ground water level, excavation condition, drainage condition, reinforcement. A total of 233 road cut slopes located in Gyeongnam were considered. The stability of the road cut slopes were evaluated by estimating the slope instability index(SII) and corresponding stability rank. 126 rock slopes were selected to analyze statistical relation between SII and slope instability paramete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rive statistical models which are able to predict the SII and corresponding slope stability rank. Also, its applicability was explored to predict the slope failures using the variables of slope instability parameter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learly show that the methodology given in this paper have strong capabilities to evaluate the failures of the road cut slope effectively.

본 연구는 절리암반사면의 현장상태 및 위험도에 대한 현장조사를 기초로 사면의 상대적 위험도를 판단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개별요인이 사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사면붕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면의 붕괴요인으로는 기존에 제시된 인장균열, 지반변형, 구조물 변형, 붕괴발생규모, 절리주향, 절리경사, 절리상태, 사면경사, 강우 및 지하수위, 절취상태, 배수조건, 보호보강상태 등 12가지 항목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지역은 경상남도 지방도로에 위치한 절취사면 중 붕괴 이력이 있거나 다소 불안감을 보이는 위험 절개지 233개소이다. 조사지역의 사면안정성평가는 각각의 평가요인(붕괴요인)에 따른 사면의 결함지수와 사면위험등급에 의해 수행되었다. 조사된 총 233개소의 사면 중 토사사면을 제외한 암반사면 126개소를 선별하여, 각각의 붕괴요인들과 사면위험등급과의 통계적 연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적용성을 고찰하여 사면결함지수와 위험등급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모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MOCT), 2003, 절토사면 안전점검 및 정밀 안전진단 세부지침, 건설교통부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118p
  2. 국립방재연구소, 2001, 재해영향평가제 대상사업 및 적용규모 개선방향
  3. 박춘식, 장정욱, 엄정기, 옥치남, 이창섭, 류춘길, 2004, 지방도 위험절개지 1차 안전점검조사 학술조사용역보고서(I), 창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131p
  4. 정광모, 최용석, 2002, 범주형 자료분석 개론-SAS의 응 용 및 해석, 자유아카데미, 238p
  5. 채병곤, 김원영,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 최영섭, 2004, 토석류 산사태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 개발, 지질공학회지, 14(2), pp.211-222
  6. 이용희, 김종열, 2004,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암반사면의 안정성 평가법 제안, 한국암반공학회지, 14(2), pp.133-141
  7. 송원경, 이병주, 정용복, 황선근, 2005, 암반사면의 안정성과 지질요소와의 상관관계, 한국지반공학회 사면안정학술발표회, pp.97-106
  8. 최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강원대 박사논문, 42p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89, 사면의 안전진단 및 보호공법, 연구보고서(89-GE 111), pp.181-209
  10. 日本道路公團, 1986, 道路土工 のり面工斜面安定工 指針, 社團法人, 日本道路協會, pp.6-32, pp.423-434
  11. Goodman, R.E., 1989, Introduction to rock mechanics- 2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562p
  12. Goodman, R.E. and Shi, G.-H., 1985, Block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rock engineering, Prentice-Hall, Inc., New Jersey, 330p
  13. Hoek, E., Bray, J., 1988, Rock Slope Engineering, 3rd Ed., Institute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358p
  14. Wakens, A. T. and Koirala, N. P., 1986. Bulk appraisal of slope in Hong Kong. Landslide proc. 5th Int. Symp. on Landslide, A. A. Balkema, pp.1181-1186
  15. Um, J., Hwang, J_Y., Lee H_M., 2004, Engineering Geological and Mineralogical Analyses on Slope Failure Modes of Road Cut at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of Southeast Korea, proc. 32th Int. geological congress, Florence, Italy, pp.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