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 도시

Search Result 4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중국 가족에서의 여성의 지위: 6개 도시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 Song, Yu-Ji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03-233
    • /
    • 2005
  • 기존 연구에 의하면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중국 여성의 가족 내 지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는 중국 여성의 지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얻기 위하여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 양육과 자녀교육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를 중심으로 성역할 분담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와 상해 산동 지역에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통합적으로 이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관계없이 중국 사회에서 자녀 양육의 주책임은 어머니에게 있다. 둘째, 아버지들은 자녀 양육 활동보다 의사결정 과정에 더 높은 참여율을 보인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율은 농촌에 비해 도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반면, 의사결정의 경우는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 아버지들의 참여율이 더 높다. 넷째, 전통적인 성역할 구분에 대한 가치관도 도시와 농촌 지역간에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 가족 내 여성의 지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 가족에서 자녀 양육 책임이 동등하게 분담되지 않아서 여성의 이중부담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함부르크와 항구도시의 문화적 정체성

  • Bae, J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68-369
    • /
    • 2011
  • 북항 재개발사업에 대한 기대와 관심은 항만시설의 기능성과 효용의 차원과 나란히 지역민의 정체성에도 깊이 뿌리닿아 있는 문제다. 이러한 의미에서 북항의 이슈와 함께 해항도시는 자신의 항구적 문화적 전통과 정체성을 어떻게 유지하며 발전시켜 나가는가라는 근본적이고도 광범위한 의문이 자연스럽게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확장과 심화를 위해, 독일 함부르크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함부르크의 슈파이허슈타트와 발린슈타트, 그리고 하펜시티는 도시를 의미하는 슈타트, 시티라는 명칭을 통해서 그 공간이 단지 하나의 건물, 장소에 머무르는 것이 아님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슈파이허슈타트의 경우는 함부르크 원도시와 일종의 제유법적 관계로서 읽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슈파이허슈타트가 건설된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논의하고, 이러한 맥락이 어떻게 공간적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가를 슈파이허슈타트와 원도심간의 교각을 통하여 확인해 볼 것이다.

  • PDF

A SEQUENTIAL LAND USE / TRANSPORTATION MODEL WITH EXTERNALITIES : LINKING THE DYNAMIC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도시토지이용과 교통에 관한 연속적 모형 : 지역경제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 접근)

  • 서종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3 no.2
    • /
    • pp.19-42
    • /
    • 1995
  • 1980년대 후기부터 교통정책의 우선 목표는 지역경제성장 자체가 교통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관리 중시의 정책은 다시 토지이용 정책으로 변화를 초래하엿다. 오늘날 대도시는 개개 졍제활동 주체들의 동적인 경제 행태에근거하여 분산구조를 띠고 있다. 이러한 동적인 경제행태에 미치는 요소들은 교통체계와 토지이용과 상호연관성의 연구에 필수적인 지가, 인구분포, 통행행태등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단핵도시 모형은 대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동적인 과정을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변천과정을-도심 및 부심의 출현·소멸현상-설명함으로써 도시교통정책 필수적인 입지와 통행패턴에 대한 새로운 동태적 이론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경제 성장과 도시공간구조와의 동태적관계를 통합하는 토지이용과 교통의 연속 모형을 개발·응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에서는 교통량에 따른 교통비용, 도시공간구조로 인한 외부효과들, 경제활동주체들의 비동질성, 이주비용, 그리고 집적 이익등이 매기마다 내생적으로 결정되어 대도시의 공간구조 변화를 설명한다. 경제 호라동주체들간의 ? 호물리적 교류는 소득 증대에 의하여 경제구조가 변함에 따라 새로이 결정된다. 가상적 도시와 자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비동질적인 경제주체들의 불균형적 성장이 장기적으로 도시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기본적인 경제행위에 따라 장기동태적인 과정을 통하여나타나는 도시의 분산구조형태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통비용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용성을 검정하였다.

  • PDF

The Preservation Policy and Historical Landscape Characteristic of Ancient City Gyeongju (고도경주의 역사문화경관 특성과 보존 대책)

  • Kang, Ta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8 no.4
    • /
    • pp.64-75
    • /
    • 2010
  • Gyeongju, with its thousand-year-old history of the Silla Dynasty, is an impressive historical city where beautiful nature of mountains in the background and rivers in its front is getting along with the city landscape. The historic landscape of Gyeongju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old town, the ruins preservation region in the southeast of old towns, and the natural landscape region surrounding these regions. The old town region shows a common landscape of which general small cities in Korea may have, while its surroundings display the overlaps of natural and historic landscapes. The special city landscape is presented only in Gyeongju. Nevertheless, the northern area of the old town was built based on the concept of new towns without any height restriction of buildings, damaging the historic landscape of Gyeongju. It is misjudgment by interpreting the cultural heritage as the individual artifact rather than the continuous historic landscape. Since the 1970s when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ppeared along with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for Gyeongju tourism, the historic landscape has been slowly damaged. There were not enough financial and political support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because the project for Gyeongju tourism was focused on the investment on the tourist industry. Now, in order to preserve the historical city like Gyeongju which represents the culture of Korea,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actively engage in its protection.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focused on educating people that the historical restoration of Gyeongju is a way of recovering the national pride, and drawing the agreement of people. For its accomplishment,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its policy from economy-oriented to culture-oriented. That is, the cultural policy should be emphasized.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Urban Form in Gosan-Up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과정 해석)

  • Lee, Kyung-Chan;Kang, In-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4
    • /
    • pp.37-49
    • /
    • 2014
  •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own plan of Gosan-up(高山), which was provincial administrative focus town in Josun dynasty, basing on morphological viewpoint. Morphological concepts, such as morphological frame, urban plan, kernel, colonization, route system, fixation line, fringe belt, plan unit & plan division, morphological period derived from the study of Conzen, M.R.G. and Caniggia, G. epidome district, break point, broken plot, urban fallow, privatization are adopted for the interpretation of urban form. Morphological period of Gosan can be divided in four ; formation of kernel & morphological structure, disintegration & redevelopment of the kernel, augmentative development of the kernel & formation of modern epidome district, outwards expanding of urbanized area, transition & reorganization of epidome district. Especially public leading projects such as construction of new regional connection road and public facilities such as myeon(township) office, agricultural cooperatives federation office, market, are main factors of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townplan. In the early stag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construction of the new matrix route(Gosan-ro) through the kernel and followed planned routes gave way to disintegrating traditional areal plan unit and forming small block plan units in administrative facilities area. And linear plan units with commercial buildings were formed along the new matrix route and planned route adjacent to periodical market. In the latter stage, with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ies, private sectors' large circulation institution and terminal outside the kernel with planned routes formed areal block based plan units with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And part of the spatial area with the linear plan unit were turned into urban fallow. With the transformation of town plan, new roads outside the kernel have substituted for traditional fixation line of waterway with road and topographical feature. Fringe belts were made successively along the new road and around the major intersections outside of existing urbanized area. Land use in fringe belts, constituting of outer locational tendency early on formation, was gradually replaced with commercial & business buildings.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Historic-Cultural Contents Project on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화 연구)

  • Choi, Hee-Kyung;Rhie, Jin-M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3
    • /
    • pp.50-63
    • /
    • 2020
  • This research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on not just physical environments and settings, but also non-physical elements such as history, culture, community, and the general economy, in addition to the analysis and categorization of its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historical-cultural content were defined and categorized by analyzing a total of thirty-thre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analysis showed three things. First: historical-cultural business seen as a purpos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mes to be sub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the Arts & Cultural, the Economic Cultural, and the Historical Heritage. Second: the historical-cultural content as the leading projects were generally executed in collaboration with physical regenerations. Third: In the initial stages of the project, many businesses made crafty use of an eclectic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 However, some conflicts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residents could be observed. In conclusion, the comprehensive use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carrying out Urban Regeneration Project must have us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 must have physical regeneration at its core, but also go above and beyond, expanding to an Human Resource-regeneration that is comprised of nonphysical regeneration as well as a governing body. Furthermore, heft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ropriate usage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 is critical,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fold before the world.

안동 하회마을과 헛제사밥

  • Jeon, Gi-Hwan
    • 건강소식
    • /
    • v.28 no.11 s.312
    • /
    • pp.36-37
    • /
    • 2004
  • 안동은 경북 북부지역의 중심도시로서 동으로 영양, 청송, 서에는 예천, 남으로는 의성, 북으로는 영주와 봉화에 맞닿아 있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빼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고가옥 등 한옥으로만 이루어진 하회민속마을, 퇴계 이황 선생이 후학을 양성하던 도산서원, 현존 최고의 목조건물이 있는 봉정사 등 273점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문화의 도시이기도 하다. 그 가운데 하회마을은 조선시대에 지어진 건축물들이 고스란히 보존돼 그 가치가 높다. 안동 하회마을은 충남 외암리, 순천 낙안읍성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전통 가옥과 풍속을 잘 살펴볼수 있는 민속마을이다.

  • PDF

A Competitiveness Analysis of the Logistic Hub Cities in China (중국 물류거점도시의 경쟁력 분석)

  • Lee, Myung-Hun;Lee, Jun-Yeop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2 no.4
    • /
    • pp.59-79
    • /
    • 2006
  •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comparative competitiveness of the 10 major logistic hub cities in China. First, using the input distance function, we calculated the technical efficiencies and the opportunity costs of the transport infra structure investments. Then, based on not only these supply side factors but also demand side, the overall comparative competitiveness by cities are analyzed.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early developed, larger cities such as Shanghai, Guangzhou, Shenzhen are technically efficient but their opportunity costs of the additional transport investments are higher than the other cities. We also found that overall competitiveness of these larger and leading logistic hub cities are dominant over the small and newly developed logistic cities.

  • PDF

IT-based Local Festival & City Satisfaction Improvement plan (IT기술을 활용한 지역축제 만족도 및 도시만족도 제고방안)

  • Park, Jae-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5207-5212
    • /
    • 2014
  • City image improvement is very important, particularly in city tourism development because tourism depends on image. Some cities have made efforts to develop a positive city image with local festiv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ourists' satisfaction of local festivals. First, the city image was focused on three factors; city satisfaction, experience and convenience. Second, the city image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city satisfaction and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These results show that effective strategies are needed for the successful IT implementation in local festivals.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and GIS-based sensors provide local festival information for tourists who receive information, Finally, a well made city image combines city identity and originality, which will attract many tourists and visitors.

Effects of the One-Child Policy on the Second and Third Birth in Three Provinces in China (중국의 한자녀정책이 출산력에 미친 효과분석)

  • Ahn, Nam-Ke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90-103
    • /
    • 1992
  • 본 연구는 중국의 3개지역 (Hebei, Shaanxi, Shanghai)에서 한 자녀가족정책이 둘째 및 셋째 아이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헤져드(Hazard)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특히, 그 정책효과의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 현재자녀의 성구조에 따른 격차의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자료는 1985년에 완료된 제 1단계 중국의 출산력 심층조사 (In-Depth Fertility Survey in China)를 이용하였다. 이 분석은 해져드 모델에서 각 시점의 한 자녀정책 전인지 후인지를 나타내는 시간에 따른 변동변수(time-varying variable)를 설명변수중의 하나로 포함시키고 그와 더불어 그 변수와 도시/농촌 주거여부를 나타내는 변수와의 혼합변수 (Interactive term) 및 현존자녀의 성구조와의 혼합변수를 포함하므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녀의 사망력이 차후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슷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둘째 및 셋째 아이를 출산할 확률에 있어서 도시와 농촌격차가 한 자녀정책 실시 이후 더욱 커졌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생각하는 자녀의 가치가 도시에서 더 많이 저하했음을 제시하거나 정부의 한 자녀정책이 도시에서 더욱더 엄격히 집행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Hebei와 Shanghai에서는 남아가 없는 부부가 남아를 가진 부부보다 둘째 또는 셋째아이를 가질 확률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한편, Shanghai에서는 한 자녀정책 이후 둘째아이의 출산률이 첫째아이의 성에 관계없이 매우 낮았다. 이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남아선호 성향이 아직 농촌지역에서는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도시지역에서는 강력한 정책집행이 이를 억누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Shanghai에서도 첫째아이가 사망한 경우 그 아이가 남아였으면 죽은아이가 여아이였을 경우보다 둘째아이의 출산이 훨씬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도시에서도 여전히 남아선호 성향이 잠재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