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한복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2초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 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 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의 측정과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Emotions Felt by Each Type of Hanbok)

  • 박은정;정상훈;서종환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33-44
    • /
    • 2022
  • 최근 들어 한옥마을과 같은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장소에서 한복 대여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한복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복을 착용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인증샷을 찍어 SNS에 공유함으로써 한복 체험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한옥마을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서 할 수 있는 한복 체험을 제외하고는 일상생활에서 한복의 대중화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복을 일상복으로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한복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한복에서 느껴지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반영하여 한복을 디자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한복에서 느끼는 소비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 어휘 28개를 활용하여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소비자의 감성을 7점 리커드 척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한복 유형별로 '느껴진다'에 해당하는 5점 이상의 점수를 기록한 감성 어휘와 감성 카테고리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복 유형별로 성별에 따른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호감 카테고리에서만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복 유형을 전통 한복(배냇저고리, 색동저고리, 성인 전통 한복, 전통 혼례복)과 현대 한복(아동 생활 한복, 여자 생활 한복, 남자 생활 한복)으로 구분하여 감성 카테고리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6개의 감성 카테고리인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감, 안정감'에서 전통한복과 현대한복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한복 유형별로 느껴지는 감성어휘에 대한 분석 결과는 소비자에게 보다 감성적인 만족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한복과 전통예절의 사이버학습 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Cyber Learning System for Traditional Cloths)

  • 정항영;최성;김석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65-168
    • /
    • 2001
  • 본 논문은 인터넷의 발달로 가능해진 가상 현실 속의 학습자료들을 Web 상에서 음향, 동영상, 에니메이션 등을 함께 정리하여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학습자료를 개발함으로써 학습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자들이 자발적인 학습에 몰입할 수 있게 연구하였다. 컨텐츠는 우리의 전통의상인 한복으로 시작하였고 한복과 함께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예절을 학습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이 사이버 한복 학습시스템은 한복에 대한 컨텐츠로서 현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정보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이버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컨텐츠로 확장을 함으로써 사이버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교육 현장에서 역동적인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한복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중화 방안모색 연구

  • 이병화;심화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1-51
    • /
    • 2004
  • 한복시장은 90년대 이후부터 생활한복이 출시되면서 전통적인 맞춤형태의 한복시장이 점차 기성복형태로 바뀌어 가기 시작하였다. 이때 많은 기업이 생활한복 시장에 참여하였으나 디자인, 가격, 소재, 제조 방법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고 IMF를 겪으면서 소규모 영세기업들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였다. (중략)

  • PDF

전통한복 전문 카탈로그를 통해 본 2010년 이후 장식기법의 유형 (Types of decoration techniques since 2010 in catalogues specializing in Hanbok)

  • 장수현;이은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2호
    • /
    • pp.272-28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decoration techniques used in women's Chima and Jeogori in traditional Hanbok catalogs from 2010 to 2020, an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each typ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transition of modern Hanbok and decorative techniques by analyzing and classifying such work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the technique of decorating the Jeogori and Chima that appeared in the traditional Hanbok catalog of the study period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Jeogori, in the first half of 2010, the decorative technique of a relatively large size was used, and the decorativeness tended to be strong. However, in the late 2010s, the number of decorative techniques used in Jeogori has decreased, and the size of the decorative technique has become smaller and more concise, leading to a tendency to understated decoration. In the case of Chima, techniques to express natural texture by processing threads or fabrics themselves were mainly used rather than techniques to add decoration to the surface, and techniques to express various surface texture tended to develop toward the late 2010s. The change in the decoration technique of Jeogori and Chima appears to be a combination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a change in consumption culture and a reduction in the wedding market.

한복 교재 분석을 통한 성인 여자 저고리의 패턴제작에 대한 소고

  • 이영혜;강순제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33
    • /
    • 2003
  • 우리 민족의 고유 의복인 한복은 민족의 의생활 정서를 그대로 담아낸 우리의 전통 복식으로서 오랜 역사성을 가지고 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일상복이라기보다 예복 및 행사용 의복으로 입혀지고 있다. 이처럼 한복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착용 빈도가 줄기는 하였으나 과거 경험과 눈대중에 의했던 한복제작에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실제로 한복구성을 위해 출간된 교재들은 최근까지 수십 종에 이르고 있으며, 이론과 실습을 겸한 패턴 제시와 함께 자세한 바느질 방법까지 설명되어 있어, 우리 옷의 구성에 문외한이던 학생들에게도 좋은 안내서가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 PDF

생활한복에 대한 의식구조와 선호도에 따른 디자인연구 (A first study of designing Practical Korean costum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taste)

  • 고정민;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4-666
    • /
    • 1999
  • Korean Costume has long history and functional aesthetic valu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ostume of other contries. But nowadays korean Costume is becoming more and more distant from the people in the world wide current. To domiciliate and spread out the Practical Korean Costume which the goverment selected as CI symbol representing Korean culture in the trend of times. We investigated and analysed systemically the consciousness of customers and the details of design. This study consist of theoritical study and positive study. Theoritical study has the esthetic characteristic(structure characteristics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the characteristic of color) As the conciousness of people change in modern life which everything change in high speed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stume have changed in structure.

  • PDF

3D 한복 애니메이션을 위한 체형별 크기 조정 지식베이스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rment Resizing Knowledge-base Regarding Body-Shape for 3D Hanbok Animation)

  • 오수정;이보란;남양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490-492
    • /
    • 2004
  •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디지털 문화 컨텐츠에서 의상을 입은 캐릭터들의 사실성이 강조되는데, 기존의 패션 CAD나 의상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들은 디자인에 있어서 여러 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하고 의상 디자인의 전문성을 요구한다 특히, 최근 우리 문화 원형의 디지털 컨텐츠화로 디지털 한복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복은 재단이나 착용방식 등에서 양복과는 구성학적 차이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한복 제작을 위한 전문 시뮬레이션 도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한복의 제작에서 사용하는 신체 치수 측정방법과 옷본 및 체형에 따른 사이즈 조정 방법을 지식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한복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업는 사용자들도 가상 캐릭터에 쉽게 한복을 착용 시킬 수 있는 지식 기반 한복 드레이핑 방법을 제안한다.

  • PDF

한복의 드레이핑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식 기반 접근법 (A Knowledge based Approach for Hanbok Draping Simulation)

  • 이보란;오수정;남양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15-1618
    • /
    • 2004
  •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디지털 문화 컨텐츠에서 의상을 입은 캐릭터들의 사실성이 강조되는데, 디지털 의상 제작에 있어서 기존의 패션 CAD나 의상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들은 여러 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하고 의상 디자인의 전문성을 요구한다. 특히, 최근 우리 문화 원형의 디지털 컨텐츠화로 디지털 한복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복은 재단이나 착용방식 등에서 양복과는 구성학적 차이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한복 제작을 위한 전문 시뮬레이션 도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한복의 제작에서 사용하는 신체 치수와 체형특징에 따른 옷본의 크기 조정 방법을 지식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사용하여 한복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가상 캐릭터에 쉽게 한복을 착용시킬 수 있는 지식 기반 한복 드레이핑 시뮬레이션을 제안한다.

  • PDF

어린이 한복(전통한복, 생활한복)에 관한 조사연구 - 경남지역 마산.창원시 거주 어린이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 (A Survey on the Korean Costume(Traditional Hanbok, Saenghwal Hanbok) for Children)

  • 정혜경
    • 복식
    • /
    • 제53권5호
    • /
    • pp.97-110
    • /
    • 2003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wearing experience, the taste and attitudes toward Korean Costume(Traditional and Saenghwal Hanbok).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 from 307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307 mother during 7, 2002.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Hanbok was worn mainly in the first birthday of children and 6∼7years old. But it was rarely worn in 4th∼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Most of children had worn the Traditional Hanbok, about 30% had worn the Saenghwal Hanbok. 2. Childrens liked Saenghwal Hanbok more than Traditional Hanbok, girls liked Hanbok more than boys did. And 31.4% of boys disliked Hanbok, the main motives for dislike were concerned with the discomfort to move, the feel of cloth and becoming. Boys prefered the style of ´vest/ Jeokori/ Bajii´ in Traditional Hanbok, and ´half-sleeve Jeokori/ Baji´ in Saenghwal Hanbok. Girls prefered the style of ´Dangeui/ Chima´ in Traditional Hanbok, and ´One piece/ Jeokori´ in Saenghwal Hanbok. Childrens prefered analogous color scheme to contrasting color scheme. Boys prefered the blue groups, girls prefered the orange and red groups. 3. Children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aenghwal Hanbok than Traditional Hanbok. Mother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s both these types. And the attitudes toward Saenghwal Hanbok and Traditional Hanbok of childrens were more positive than mother´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may b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Hanbok for children. 1. Hanbok is need to be designed considering activity, feeling and becomingness for teenagers. 2. Hanbok design must be kept seperated Traditional Hanbok and Saenghwal Hanbok. Traditional Hanbok is need to emphases tradition, Saenghwal Hanbok is need to apply a western style and have a practical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