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적 가설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초

공급망의 디지털 전환이 중국 자동차 제조기업의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Supply Chain on the Enterpris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Chinese Automobile Manufacturers)

  • 채옥결;심재연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207-221
    • /
    • 2024
  • 자동차 제조업은 에너지 소비가 많고, 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하는 전통적인 제조업으로 공급망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환경성과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급망의 디지털전환, 공급망 동적 역량 및 기업 환경성과를 바탕으로 13개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중국 7개 지역 자동차 제조기업의 경영자 및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급망의 디지털 전환이 공급망 동적 역량의 영향을 받아, 자동차 제조기업의 환경성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극공연의 서비스품질과 관객태도 변인 간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ervice and the Audience Attitude Variables of the Korean traditional opera Performance)

  • 김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17-32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창극공연의 서비스 품질이 공연경험속성 및 관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서비스 가치 및 전통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서 10월 중 공연된 창극공연을 유료관람한 성인 남녀 211명으로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얻은 경로계수로 모형과 가설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관객이 지각하는 창극공연 서비스품질의 공연프로그램 품질, 물리적환경 품질, 상호작용 품질은 공연경험속성에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관계를 보였다. 공연경험속성과 서비스가치, 공연경험속성과 전통이미지 간의 경로계수도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공연경험속성과 관객만족 간의 경로계수는 정(+)의 관계를 보였고, 서비스가치와 전통이미지, 서비스가치와 관객만족, 전통이미지와 관객만족 간의 경로계수도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관계를 보였다. 결국 본 연구의 모든 가설은 채택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창극공연의 대중화와 현대화, 공연예술산업 차원의 마케팅전략에 있어서, 그 공연 서비스 품질과 경험속성을 반영하여, 관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서비스 가치와 전통이미지의 역할 및 작용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통업체 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간 전략적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nd Alliance between Private Brand and National Brand)

  • 박진용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9권3호
    • /
    • pp.49-68
    • /
    • 2004
  • 유통업체 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가 전략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브랜드 연합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전통적 소매차륜 가설을 기초로 유통업체 브랜드 발전의 한계 요소를 설명하고, 유통업체 브랜드 성장이 제조업체에 주는 의미를 확인하여 브랜드 제휴의 도입을 강조하였다. 브랜드 제휴 도입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브랜드 제휴와 관련된 속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중요도에 대한 조절 효과 및 유통업체 브랜드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群己之間 - 孟荀管理思維闡釋 - (Between Groups and Individuals - A Tentative Theory on Menzi Xunzi Management Thoughts -)

  • 황아기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33-50
    • /
    • 2017
  • 유가는 중국의 주류 문화를 대표한다. 그런데 유가의 집단과 개인의 관계에 관한 연구와 제도 규범에 대한 연구는 그 내용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역사 또한 오래되었다. 유가사상 가운데에는 풍부한 관리 관념을 함축하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들이 전통문화를 제대로 인식하고 지역 색채를 갖춘 관리학을 수립하는 데에 중요한 자산이 된다. 맹자와 순자는 모두 공자의 학문을 계승하였지만, 차별적인 두 가지의 유학 경로를 이루게 된다. 이 둘은 같으면서도 다르고, 다르면서도 같은 점을 지니고 있다. 맹자와 순자는 교묘하게 자신들의 한계를 피해 나간다. 이 글은 맹자와 순자사상을 연구의 범위로 하고, 총5개의 부분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제1절에서는 문제를 제기하고, 제2절에서는 외연적 요소로부터 맹자와 순자의 관리사유의 생성배경을 검토하며, 제3절에서는 내재적인 논리로써 기본적인 가설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4절에서는 논리구조를 분석하고, 제5절에서는 앞의 논의를 총체적으로 매듭지으면서 맹자와 순자의 관리사유의 진전과정과 상대적인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는 전통적인 공자의 생각을 '관리'의 관점에서 재검토하여 유가사상의 변치 않는 의의를 드러내보이고자 한다.

조선시대 기후변화와 환경개선사업 관계 - 조선왕조실록의 가뭄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during the Chosun Era - Focusing on Drought-related records of Chosunwangjoshillok -)

  • 유재심;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7-153
    • /
    • 2011
  • "가뭄으로 인한 기후변화가 인지되고 기후 재난을 겪게 되었을 때 조선시대의 사람들은 환경적으로 어떻게 적응하는 행동을 했을까?"라는 의구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환경개선사업은 기우제 설행 빈도보다는 기후재난 빈도가 높을 때 더 많이 시행된다.'는 가설을 세웠다. 조선왕조실록에서 가뭄을 대표하는 변수로 기우제 빈도를 선택하였다. 기후재난과 환경개선사업을 표현하는 단어들의 샘플을 추출하고 빈도를 측정하여 가뭄, 기후재난, 환경개선사업의 관계를 회귀분석하였고, 연구 가설을 검정하여 기후재난과 환경개선사업 관계를 기후변화 속에서 설명하였다. 가뭄을 대표하는 기우제의 빈도 측면에서 세종대왕, 숙종, 영조의 순서로 나타냈다. 기후 재난은 중종, 성종, 그리고 태종의 순서로 빈도를 보였고, 환경개선 사업은 영조, 성종, 그리고 태종의 순서로 나타났다. 조선 전기보다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가뭄 발생으로 인한 환경개선사업보다 기후재난에 대한 환경개선사업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환경개선사업과 기후재난의 관계는 환경개선사업= 0.632기후재난의 선형 회귀모형으로 설명되었다. 기후재난을 경험한 비율이 높을 때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환경개선 사업이 더 많이 시행한다는 연구가설은 유의했다. 따라서 기후 재난을 인식하고, 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한 비율이 높았던 조선 후기에 연구가설이 통계적으로 더 잘 설명되었다.

백제 사비성 가상유적지 제작을 위한 모델링 방안 (an Architecture Modeling Method for Virtual Heritage of SABI Castle)

  • 안은영;곽노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16-317
    • /
    • 2012
  • 문화 유적에 대한 관심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이를 보존하려는 수동적인 노력과 함께 문화 유적에 대한 시대상황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역사적 정보제공을 위한 기술적 노력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미 사라져 문헌에만 남아 있는 이야기나 역사적 가설을 그 때의 시대적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실감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옛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인 사비성을 3차원으로 복원하여 가상공간을 재현하고 인터렉티브 전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한다. 먼저, 고증을 통해 그 시대의 건축양식을 이해하고 가상공간 구성에 필요한 건물을 모델링한다. 사실적 표현을 통해서 사용자의 임장감을 높이면서도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대적 상황이나 역사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콘텐츠로의 활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전통건축을 3차원으로 복원한다.

  • PDF

지적장애학생의 정보교육을 위한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의 적용 (Application of Unplugged Learning Method for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Informatics Education)

  • 김정일;서영민;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89-196
    • /
    • 2012
  •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이 특수학교 정보처리 교과에서 기존의 강의와 실습을 병행한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 비해 학업 성취도 면에서 높은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언플러그드 컴퓨터과학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지적장애학생들의 정보처리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학습 자료와 방법을 개발하고, 특수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수학교 전공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방식의 정보처리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학생들은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에 대하여 매우 높은 호기심과 흥미를 보이며, 자발적으로 협력하여 과제에 참여하였고, 정보교육 학업 성취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서비스의 이질성 정도에 따른 고객마족혀엉과정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oderating Role of Heterogeneity in the Process of Customer Satisfaction Formation on Public Services)

  • 김영구;김경환;하영철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8권
    • /
    • pp.207-232
    • /
    • 2001
  • 본 연구는 고객만족에 있어서 전통적인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이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라는 연구에 근거하여 고려되어 질 수 있는 상황을 밝혀보고자 하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서비스의 주요 특징중의 하나인 이질성을 주요 상황으로 채택한 본 연구는 대상에 있어서도 공공서비스의 경우로 특정시켜 논의를 진행시켰다 SERVQUAL이 공공서비스에서도 서비스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척도로써 사용 가능하다는 연구를 근거로 SERVQUAL의 차원을 이용하여 공공서비스의 기대, 성과, 불일치, 만족에 대한 측정을 하여 전통적인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이 공공서비스에도 적용되는지를 고찰했고, 다 항목으로 이질성의 지각정도를 측정 하여 이질성을 높게 느끼는 집단과 낮게 느끼는 집단간에 비교를 롱하여 이질성이 고객만족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이론적으로 검토되고 개발된 모형은 실증모형을 통해 각 구성개념들로 측정 되어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는 근거로 사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변수간 다수의 인과관계를 동시에 고려하고, 또 이를 잠재요인과 연관하여 해석하는데 유용하게 쓰여지는 LISREL(공변 량구조분석) 모형에 의해 실증적으로 이론모형과 측정변수들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상황에 따라 고객만족형성과정 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전통적으로 고객만족형성과정이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에 따라 설명되어 온 것에 대하여 상황 요인이 선행변수로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상황요인으로 우리는 서비스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인 이질성을 선행변수 로 고려하였는데 고객의 서비스 이질성 지각 정도에 따라 고객만족형성과정이 차이가 남을 발견하였다. 셋째, 우리는 공공서비스에도 이와 같은 고객만족형성과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 PDF

동양 문화가치관과 서양 문화가치관 표현: 온라인 광고에 대한 연령별, 성별 차이에 대한 비교 연구 (Online Advertising Contents of Eastern Cultural Values and Western Cultural Values: Comparison between Age and Gender)

  • 한상필;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69-75
    • /
    • 2019
  • 본 연구는 동양적 문화가치관과 서양적 문화가치관을 반영한 온라인 광고에 대한 반응이 연령별, 성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 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10대에서 60대 남녀 180명을 대상으로 3가지 동양적 문화가치관과 3가지 서양적 문화가치관을 반영한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두 가지 상반된 문화적 가치관을 강조한 온라인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 정도는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일 것인 반면 성별로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결과는 전통매체 광고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던 기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온라인 광고를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에서도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표현은 문화적 가치관을 반영하고 소비자들은 광고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문화적 가치관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이론적 가치와 실무적 기여도가 높다고 하겠다.

지역전통음식의 관광상품으로서 이미지, 애착이 장기지향성 및 행동의도간 구조적 관계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age, attachment, long-term orien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a tourism product of local traditional food)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75-83
    • /
    • 2021
  • 본 연구는 음식관광상품의 이미지, 애착이 장기지향성 및 행동의도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비확률추출법의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거주하고 있으며 지역전통음식을 경험한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주 연구자의 지인과 관련 전문가들을 협의 및 활용하여 조사대상자를 선정 후 우편 및 이메일로 발송·회송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25.0, AMOS2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음식관광의 이미지와 애착간의 관계, 전통음식의 애착은 장기지향성간의 관계, 전통음식의 애착은 행동의도간의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넷째, 전통음식의 장기지향성은 행동의도 관계의 연구목적에 따른 가설설정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음식을 하나의 자원으로서 활성화시키기 위해선 음식자체의 이미지를 좋게 하는 것은 애착, 장기지향성, 행동의도에 미치는데 긍정적 역할한다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론연구를 기반으로 실증적 연구를 한 것은 긍정적이나. 설문조사의 편의추출과 지역적 한계로 조사되었기에 일반화를 하는데 많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보완하여 주기적, 전국단위의 연구조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