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기후변화와 환경개선사업 관계 - 조선왕조실록의 가뭄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during the Chosun Era - Focusing on Drought-related records of Chosunwangjoshillok -

  • 유재심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Yu, Jae-Shim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ung, Jong-S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8.08
  • 심사 : 2011.09.02
  • 발행 : 2011.09.30

초록

"가뭄으로 인한 기후변화가 인지되고 기후 재난을 겪게 되었을 때 조선시대의 사람들은 환경적으로 어떻게 적응하는 행동을 했을까?"라는 의구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을 위해 '환경개선사업은 기우제 설행 빈도보다는 기후재난 빈도가 높을 때 더 많이 시행된다.'는 가설을 세웠다. 조선왕조실록에서 가뭄을 대표하는 변수로 기우제 빈도를 선택하였다. 기후재난과 환경개선사업을 표현하는 단어들의 샘플을 추출하고 빈도를 측정하여 가뭄, 기후재난, 환경개선사업의 관계를 회귀분석하였고, 연구 가설을 검정하여 기후재난과 환경개선사업 관계를 기후변화 속에서 설명하였다. 가뭄을 대표하는 기우제의 빈도 측면에서 세종대왕, 숙종, 영조의 순서로 나타냈다. 기후 재난은 중종, 성종, 그리고 태종의 순서로 빈도를 보였고, 환경개선 사업은 영조, 성종, 그리고 태종의 순서로 나타났다. 조선 전기보다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가뭄 발생으로 인한 환경개선사업보다 기후재난에 대한 환경개선사업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환경개선사업과 기후재난의 관계는 환경개선사업= 0.632기후재난의 선형 회귀모형으로 설명되었다. 기후재난을 경험한 비율이 높을 때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환경개선 사업이 더 많이 시행한다는 연구가설은 유의했다. 따라서 기후 재난을 인식하고, 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한 비율이 높았던 조선 후기에 연구가설이 통계적으로 더 잘 설명되었다.

What kinds of environmental adaptation did people during the Chosun era take when climate change due to drought was perceived and natural disasters occurred? Research hypotheses is 'Mor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were conducted when climate disasters were experienced than rituals for rain calling. In this study, frequency samples for Rituals for Rain (RR, 祈雨祭) defined as abnormal climate of drought, Climate Disaster(CD)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EIP) were extracted from "Chosunwangjoshillok(朝鮮王朝實錄)". The analysis among RR, CD, and EIP were studied for a regression model. Research hypothesis was statistically tested. RR took placed the order of Sejong(世宗), Sukjong(肅宗) and Youngjo(英祖), while climate disasters were extracted under the Jungjong(中宗), Sungjong(成宗) and Taijong(太宗). EIP were most active under Youngjo(英祖), Sungjong(成宗) and Taijong(太宗). During the form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abnormal climate was more seriously considered than climate disasters, while the opposite pattern was shown during the latter part. In a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IP and CD, the equation of EIP = 0.632CD was determined. As a test result, the study hypothesis the entire Chosun dynasty was dismissed. However, it is possible to statistically support that more EIP were conducted in order to adapt to the climate chang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dynasty when climate disaster were experienc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현욱(2007).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창덕궁의 공간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40-52.
  2. 김현욱(2005).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한양의 조경공사. 한국전통조경학회지(영문판). 23(4): 75-82.
  3. 김현욱, 김두규, 김용기(2002).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한양의 비보풍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3): 68-77.
  4. 정우진, 심우경(2011). 창경궁 후원 이용의 역사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71-89.
  5. 김문기(2010).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소빙기 기후변동. 역사와 경계. (77):133-194.
  6. 김연옥(1984). 조선시대의 기후환경: 사료분석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4): 411-423.
  7. 김오진(2009). 조신시대 이상기후와 관련된 제주민의 해양활동. 기후연구. 4(1): 42-53.
  8. 나종일(1982). 17세기 위기론과 한국사. 역사학회, 역사학보. (94-95):421-473.
  9. 소선섭, 김용헌(2000).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기상요소, 기우제 및 기청제. 한국지구과학회지. 21(1): 41-50.
  10. 오용언(2011). 함안 현감의 기우제의 설행. 남명학연구원. 선비문화.
  11. 이유직(2004). 조선시대의 조경제도 및 법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143-146.
  12. 이태진(1996). 소빙기(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 조선왕조실록: Global History의 한 장. 역사학보. (149): 203-236.
  13. 이호철, 박근필(1997). 19세기 초 조선의 기후변동과 농업위기. 조선시대사학보. (2): 123-192.
  14. 임규호, 심태현(2002). 조선왕조실록의 기상현상 기록 빈도에 근거한 기후. 한국기상학회지. 38(4): 343-354.
  15. 전영옥, 양병이(1997). 조선시대 조경공사의 제도적 측면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2): 43-53.
  16. 최종성(2007). 기우제등록과 기후의례: 기우제, 기청제, 기설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McCarthy, J. J., O. F. Canziani, N. A. Leary, D. J. Dokken, and K. S. White(2001).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or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8. Thomalla, F., T. Downing, E. Spangers-Siegrfied, G. Han, and J. Rockstrom(2006). Reducing hazard vulnerability: Towards a common approach between disaster risk reduction and climate adaptation, Disasters. (30): 39-48.
  19. Temesgen, B., M. U. Mohammed, and T. Korme(2001). Natural hazard assessment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method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landslides in the Wondogenet area, Ethiopia, Phys. Chem. Earth(c). 26(9): 665-675.
  20. http://db.itkc.or.kr/index
  21. http://e-kyujanggak.snu.ac.kr
  22. http://yoks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