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의장요소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현대실내공간에서의 전통의장요소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Traditional Design Elements for Contemporary Interior Space)

  • 전경희;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6-121
    • /
    • 2005
  • This research against the method of applying a traditional design elements to modern interior space is classified and analyzed by direct expression method, a transfigure expression method, a metaphor expression method and a symbol expression method. The direct expression method means the modernizing th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by expressing traditional material and structural formative style as they are, and the transfigure expression method is the design method of re-organizing the elements by simplifying and transfiguring th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Metaphor expression method includes the method of expressing visually the formative concept which does not known concretely, and the symbol expression method exchanges the rising concepts into concrete elements and expresses by new design.

  • PDF

전원주택(田園住宅)의 전통적(傳統的) 의장요소(意匠要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in Idyllic Houses)

  • 이동주;도용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49-56
    • /
    • 2000
  • Korean modern houses should admit modern requirement, Korean climate and way of living. These elements should be expressed through not only plan but also form and design.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tendency of th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in idyllic houses.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following things : 1) The culture and social theory about the tradition and the design elements. 2)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design elements and factors as the design elements sources. 3) The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design elements expressed in idyllic houses. As a result, the methods of traditional reception can be classified as copying, eclecticism and abstraction.

  • PDF

시지각적 분석을 통해 본 한국 전통상류주택 내부공간 구성요소의 의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강릉선교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Elements in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Perception Korea Traditional Upper Class Residence - Focused on Kangneung Sunkyojang -)

  • 권기화;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5-70
    • /
    • 2005
  • The human scale of the interior space of a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is normally user-friendly. And this aspect is reinterpreted and implemented in the modern structure. While our conscious awareness has become greatly westernized through the east-west exchanges, the interior of the traditional Korean residence has always reflected the people and their daily lives of the time. In this stud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space el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perception inside a Korean traditional upper class residence, kangreung Sunkyojang, designated as the 5th Cultural Information Material with regards to the inherent philosophy and human scale that influenced the emotions of the Korean people. The different parts of the interior space of Anchae, and the Symmetrical of Formal, Balance of the walls give a sense of calmness, and the ornaments are used to give gaiety. The ceiling of Yeolwhadang hall give an energetic feeling and pillare are used to enhance spaciousness. In Whalejeong, by making use of similar and continuous lines, the light and darkness was controlled and the link with nature has been emphasized. Different decorations used reflect scholarly spirit.

  • PDF

한국 전통사찰에 있어서 부불전의 건축요소와 의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rchitectural and Design Elements of Secondary Shirines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Korea)

  • 조정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02-112
    • /
    • 2010
  • 본 연구는 전통사찰에 자리잡고 있는 부불전의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5개 사찰을 대상으로 건축요소와 의장요소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한 부불전은 명부전, 영산전, 응진전, 약사전, 원통전, 미륵전이며, 이들에 대하여 건축의 규모, 지붕의 형태, 공포구성, 단청, 닫집의 유무 및 형태를 상호비교하여 부불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명부전은 모든 사찰에 조성되어 있지만(25사례)규모나 건축요소(지붕, 공포)등에서 가장 획일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영산전(14사례)과 응진전(15사례)도 대부분 3간 규모이며, 맞배지붕과 익공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관음전(12사례)은 팔작지붕의 사례가 8사례이며, 내부의 단청도 금단청을 사용한 사례가 9건, 그리고 닫집이 있는 경우도 6건에 이르는 등, 부불전 중에서 가장 화려한 건축요소가 구사되어 있다. 약사전은 사례수는 적지만(6건) 대부분이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소규모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각 사찰의 약사전은 대부분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건축적 가치가 높이 평가 받고 있다.

호텔 귀빈라운지에서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 임피리얼 팰리스호텔 프로젝트 - (A Study on the Traditional Expressions in Hotel VIP Lounge Space - Focused on Imperial Palace Hotel -)

  • 변재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1-204
    • /
    • 2006
  • Wit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after Seoul Olympic in 1988, Korea has recklessly accepted western culture, thus causing damages to Korean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Imperial Palace Hotel VIP lounge space applying traditional Korean style. This study analyzed traditional expression according to its element and method taken out from the prior researches related to it. The method of traditional expressions divided into the method of prototype reappearance, prototype transformation, reinterpretation, and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get the understanding o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space planning and furniture arrangement. As a result, the plan represent traditional Korean style including the space planning and furniture, the colors and patterns, and the building materials. The Imperial Palace VIP lounge Is not tile space for eating and social activities, but also provide the space for introduc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life.

  • PDF

한국 현대주택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 1990년 이후 건축각각 설계한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ity in Modern Korean Houses of the 1990's Designed by Architects)

  • 류호정;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2-12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lassify into types of traditionality reflected in modern Korean houses in 1990's designed by architec Modern house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alysis is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space-pl structural elements ornamental elements.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defined as 'Indicativ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 'Decorativ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Eclectic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Contemporary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 'Abstract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mporary or Abstract expression of traditionality(type IV and V) were major types of modern Korean houses expressed traditionality. This reveals that in order to apply traditionality to the modern houses, simplifed and sbstracted for were preferred comparing with the direct imitation of traditional forms.

  • PDF

한국의 전통적 조형요소를 적용한 호텔객실 리모델링 제안에 관한 연구 - 부산 코모도 호텔을 대상으로 - (The Hotel Room Remodeling Applied to Aesthetic Attributes of the Korea Traditional - Focused on the Comodo-Hotel in Busan -)

  • 최현주;김진옥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329-334
    • /
    • 2006
  • 현대는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점차 국제화되어짐에 따라 내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에 따른 관광산업의 중요성과 그 역할이 점차 부각되어지고 있다. 그 가운데 부산은 APEC 정상회의, 부산국제영화제(PIFF) 등의 대규모 국제 행사를 통해 국제적 관광도시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에 걸맞는 우리 고유의 문화적 특성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호텔은 관광객들에게 우리 고유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매개체적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부산 중구에 위치한 코모도호텔은 한국적 외양과 의장의 건축적 요소를 갖추고 있지만 객실의 인테리어 디자인에는 한국적 요소가 적용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코모도호텔의 객실을 한국적 전통요소를 적용하여 리모델링함으로써 내 외국인 관광객들이 우리 고유의 문화를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우리의 문화를 지속적으로 보존, 계승, 발전시켜 세계적인 문화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대상 객실은 스텐다드 더블, 디럭스 트윈, 세미 스위트 온돌룸의 세 가지 타입의 객실을 선정하고, 한국의 전통적 조형요소의 현대성과 전통성을 다양하게 적용한 객실 인테리어 리모델링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 PDF

한국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전통성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ve Tendency of Traditional in Korean Contemporary Interior Space)

  • 전경희;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3-11
    • /
    • 2005
  • With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build-up of global network in the 21st century, Korea has recklessly accepted Western information and culture in recent years, thus causing damages to out identity. In the situation,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s in a modern way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ontemporary interiors. This study has analyzed and assessed the process through which traditional decorative elements have applied to contemporary interior decorations over the past ten years with a view to identify the trend of expressing traditional elements in comtemporary interiors. Designs that have applied traditional elements in a transfigure expression method amounted to 77 pieces, accounting for $43\%$ of the total investigated 178 designs, which was followed by 48 designs ($27\%$) of metaphor expression method and 39 designs ($22\%$) of symbol expression method, which express the tradition as interpreted by the designer. Designs that have adopted direct expression method amounted to no more than 14 pieces, accounting only for $8\%$ of the total designs. This result suggests that transformative, metaphoric and symbolic expressions that simplify or transform the original forms we more frequently used In the applications of traditional elements to modern interiors rather than directive expression that reproduces the original form as it was.

철도차량 의장공장에서 흐름라인방식과 고정위치형 배치방식의 비교 (Comparison of Flow Line Layout and Fixed-Position Layout in a Rail Vehicle Assembly Factory)

  • 문덕희;손동수;이영훈;신양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17-129
    • /
    • 2018
  • 이 논문에서는 철도차량 의장공장에서 적용되는 두 종류의 배치안 개념에 대한 논의하고자 한다. 현재 시스템은 전통적인 흐름라인 방식에 따라 조립라인이 설계되어 있지만 새로운 시스템은 고정위치형 배치방식을 따르고자 한다.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공정시간의 변동성, 결품률 및 결품시간의 분포를 고려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험결과 해당시스템의 경우 생산량, 차량당 평균 체류시간, 편성당 평균 체류시간 모두 고정위치형 배치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시스템의 고정위치형 방식이 흐름라인 방식에 비해 변화에 둔감하게 반응함으로써 강건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 연구 개발 전략 - 금문(錦紋)을 중심으로 - (National brand development research strategy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 김미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232-245
    • /
    • 2021
  •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의 컬처노믹스(Culturenomics) 현상이 국가 브랜드 구축에 있어 중요한 핵심적 가치로 작용하고 있다. 말하자면 지구촌 사람들은 저마다 고유한 미의식을 계승하여 이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문화 산업이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존재성을 확고히 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현재 지구촌의 환경 변화에 따른 언택트(untact) 시대에 현대인들은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그 어느 때보다 쉽고 빠르게 품질 좋은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자국의 전통미를 간직한 문화적 소산물을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해석하려는 이른바 '문화 브랜딩' 전략을 구축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해야만 고립된 경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오랜 전통이 담겨 있는 단청 문양 중 금문(錦紋) 패턴을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해석하였다. 즉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의 개발 전략을 제시하려는 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자는 그동안 전통 건축의 목 부재를 보호할 목적으로, 그리고 건축의 의장적 성격에 따라 달리 도채(塗彩)되었던 단청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전통 건축에 채색되는 단청 문양은 궁궐, 사찰, 유교 단청에 따라 문양과 색상을 달리한다. 그 중 금단청에 채색되는 금문(錦紋)은 부처님이 계시는 주불전(主佛殿) 공간을 장엄하기 위한 의장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금문은 과거의 존속이 아니라 현재의 전통성을 이어가는 새로운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단청의 일부인 금문은 독창적인 구성 방식과 소재, 그리고 장식적인 기법이 뛰어나기 때문에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동일한 문양이라 할지라도 색상에 따라 시각적으로 달리 해석되는 금문에 내포되어 있는 심미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전통 문양은 탐구와 이론적 연구로서의 보전 가치도 중요하지만 이를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창조하여 국가 브랜드화하고, 더 나아가 자국민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면 디자인 과정과 입체적인 조형 방법을 거쳐 전통 문양을 실물처럼 재현하고자 하였다. 과거에 머물러 있는 한국적 조형미가 국가 브랜드 제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