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수업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35초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Instru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Flow of Learning)

  • 노경희;지형근;임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3
    • /
    • 2010
  • 본 연구는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5개 반 142명을 선정하였으며, 이중 3개 학급(86명)은 증강현실 수업을, 2개 학급(56명)은 교과서 중심의 일반 수업을 각각 2주간 처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학업성취에 있어서 증강현실 수업은 교과서 중심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일반적 학습흥미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업자체에 대한 흥미에 있어서는 증강현실 수업 집단이보다 높은 흥미를 나타냈다. 셋째, 학습몰입에 있어서 증강현실 수업 집단은 교과서 중심 수업 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의 몰입을 보였다. 본 연구가 실제 교실상황에서 정규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연구결과는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기존의 교과서 중심 수업과 같은 전통적 수업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수업방법임을 시사한다.

가상학습체계를 통한 중학교 수학의 교수 및 학습 (Teaching and Learning Middle School Mathematics through Cyber Learning System : The Concept of Centroid)

  • In chul Jung;Seung Dong Kim;Young Soon Ro;Dal-Won Park;Du-Won Byun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4호
    • /
    • pp.507-520
    • /
    • 2003
  • 본 연구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테크놀로지를 학교 교실에서 직접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여기서는 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가상학습체계가 주요한 도구로서 적용되었다. 내용은 무게중심을 택했고 12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현직교사가 직접 지도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초기에 교사에 의해 소개되는 학생중심 학습활동에 강한 관심과 호기심을 보였고 집중력이 아주 강했다. 전통적인 수업방식과는 달리 학생들이 참여하였고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식의 교실에서 할 수 없었던 수업의 시작은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데 충분하였다. 전반적으로 테크놀로지 환경에서의 수업을 선호하였지만 아직 전통적인 방식인 칠판과 분필을 이용한 수업을 선호한 학생들도 있었다. 새로운 변화도 좋지만 새로운 환경에 친화적이지 않거나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수업의 빠른 진행이 학생을 오히려 혼란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가상학습체계를 교실에서 활용함에 있어서 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크게 개혁하지 않아도 잘 준비되고 계획된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대한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현재 테크놀로지의 보급에 비해 그 활용도가 낮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기타 입학시험이라는 현실이 교육과정과 학습방법의 개혁을 현실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어려운 일임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현 상황에서 테크놀로지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미 보급된 테크놀로지와 교사와 학생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가 앞으로 그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확인하였다.보다 낮은 일반세균수 값을 보여주었다. 봄철 시료에 있어서 소규모 도계장은 본 냉각 후 도계과정을 제외하곤 모든 도계공정 단계에서 대규모 도계장보다 높은 일반 세균수의 측정값을 보여주었다. 봄철 시료의 냉각말기의 냉각수 일반세균수는 소규모 도계장이 대규모 도계장보다 높은 측정값을 보여주었다.주었다.다.㏖/s/$m^2$에서는 이앙후 각각 18일로 두 품종 모두 늦어, 약광은 유묘기에 분화되었던 분얼아를 휴면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4. 유효경비율은 1220~220 $\mu$㏖/s/$m^2$에서 다산벼는 47~55%, 화성벼는 100~72%로 다산벼가 화성벼보다 낮았다. 이것은 다산벼는 무효분얼이 많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품종 육성시 유효경비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타났고, \circled2 회복상태에서, 10 lu$\chi$인 경우 서간에 1.26 $\mu\textrm{V}$, 야간에 1.59 $\mu\textrm{V}$였고, 100 lu$\chi$인 경우 서간에 2.63 $\mu\textrm{V}$ 야간에 3.65 $\mu\textrm{V}$였으며, 400 lu$\chi$인 경우 서간에 2.52 $\mu\textrm{V}$, 야간에 3.67 $\mu\textrm{V}$로 나타났다.히, 흉선, F냥, 비장 등의 림프구에 초기 세포용해성 감염을 일으키는데, B

  • PDF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교 생물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on Achievement and Science Learning Attitudes in Middle School Biology)

  • 정영란;손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11-623
    • /
    • 2000
  • 과학교육에 있어서 전통적 수업은 다양한 학생들의 육성과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저하시켰다. 평균적인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 결국 많은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잃게 되고 학생들은 타율적인 대상으로만 머물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격려하며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한 문제해결을 이끌어내기 위한 수업 방식으로서 협동학습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교과에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 소집단 학습과 협동학습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중학교 2학년 "동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협동학습, 소집단 학습, 전통적학습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학습 태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2학년 188명이며 10주간 10차시 수업처치를 하였고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동학습은 소집단 학습이나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학습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그리고 협동학습은 학업 성취도 면에서 성취수준이 상위인 학생들에게 효과가 없었고 중위와 하위의 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p<.05). 또한 협동학습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이었다(p<.05). 협동학습은 과학학습 태도의 세 영역인 감정적 영역, 행동 의도적 영역, 인지적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1).

  • PDF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 적용 효과분석 연구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based team activity)

  • 박복남;신미경;전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44-51
    • /
    • 2019
  • 이 연구는 전통적인 강의와 플립드 러닝 팀 협동학습 적용에 따른 수업경험, 의사소통 불안 차이와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간호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전통적인 강의를 4주, 플립드 러닝 기반 협동학습을 4주 수행한 후 변수값의 차이를 paired t- test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수업경험은 정서적영역의 정서적 상태변인과 활동성 변인 모두 강의식 전통학습보다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 이후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t=-3.80, p=.000; t=-3.35, p=.001), 동기적영역의 변인인 수업활동조절(t=-3.07, p=.003), 자신의 능력(t=-2.48, p=.016), 수업참여 정도(t=-3.25, p=.002)에서도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에서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이 의사소통 불안(t=1.85, p=.069)을 개선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대학생 상대로 연구한 협동 학습 적용 결과 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지속적인 학습의 관심을 보였다.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수업에서 청소년들의 비판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의사결정 능력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adolescents' decision making abilit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ritical thinking in terms of practical problem-based instruction of Home Economics)

  • 장윤옥;김성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3-14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 생활' 단원의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에 있어 비판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의사결정능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 K여고 147명의 학생들로 2개 학급 학생들에게는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고, 3개 학급 학생들에게는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을 4주간에 걸쳐 학급별로 총 8차시의 실험수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은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이원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수업을 받은 청소년이 전통적 강의식 가정과수업을 받은 청소년보다 대안단계와 가치단계에서의 의사결정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높은 청소년이 낮은 청소년보다 평가단계의 의사결정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강의식 수업이 평가단계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나 비판적 사고력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이 평가 단계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Situated Learning Theory-Applied Teaching-Learning Plans for the 'Clothing and Self-Expression' Unit of Seven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 황혜민;이예영;안소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7-77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 가정 수업에서 상황학습이론이 학습자들의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 및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목표로 가정교과의 중학교 1학년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에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총 3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서울시 B중학교 1학년 중에서 실헙집단 2학급에는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2학급에는 전통적 강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와 수업만족도 검사를 실시하고 SPSS 12.0을 이용해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는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후검사에서는 상황학습에 따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 수업을 받은 비교집단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상황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대체로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고 할 수 있다.

  • PDF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관찰지식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Observation Knowledge Generation Using the Scientific Observation Strategy in 6th Grade Students)

  • 이혜정;이근경;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6
    • /
    • 2010
  •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관찰지식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관찰과 관련된 수업주제를 선정하고, 관찰의 방법과 대상에 따라 체계적인 관찰이 이루어지도록 학습지와 스토리보드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8명, 통제집단 37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4차시에 걸쳐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주제와 차시에 걸쳐 전통적 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수업처치 전후에 촛불 관찰 과제로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관찰 전략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다양한 관찰 지식을 생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생성된 관찰 사실들에 대한 관찰 지식의 수와 다양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관찰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수업 처치 후 실험집단의 관찰지식의 수와 다양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다. 또한 절대 관찰력 지수에서도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관찰력 지수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과학적 관찰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 전략은 학생들의 과학적 관찰 지식 생성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생동하는 신앙 교육을 위한 가톨릭 학교의 종교교육에 관한 연구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Schools to Educate for Living Faith)

  • 토마스 그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37-60
    • /
    • 2020
  • 이 연구의 핵심은 가톨릭계 학교에서 생동하는 신앙을 가르치는 종교교육으로 그것은 단순히 종교와 신앙의 전통을 전수하는 그러한 형태의 수업과는 차이가 있다. 지금까지 종교교육의 형태는 가정과 교구에서는 배타적인 형태의 신앙으로 그 교육적 과업이 제한되어 왔다. 반면에 가톨릭 학교의 종교교육은 수학교과 혹은 과학교과와 같이 단지 학문 원리로 종교교육이 수행되어 왔다. 이 논문은 최근 현대 사회 속에서 가톨릭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종교교육의 축소에 주목하면서, 기독교의 신앙과 기독교의 지적 전통이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은 본질, 목적, 앎의 양식을 촉진하는 종교교육의 근간을 제안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실험이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Lab Practices Using Robot on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25-634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로봇활용 MBL수업을 적용 후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로봇활용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및 인터뷰가 수행되었다. 실험 집단은 로봇활용 과학 수업을 통제집단은 교과서, 실험관찰을 활용한 전통적인 과학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구능력의 측정, 예상, 추리 세 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05). 그러나 관찰과 분류 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로봇활용 과학실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결과 로봇을 통하여 과학수업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쉽게 학습내용을 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연을 활용한 물리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Demonstrations in Physics Classroom)

  • 이은실;조현지;이종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3-11
    • /
    • 2012
  • 본 연구는 시연을 활용한 일반물리 수업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업 수강 전과 후에 동일한 개념이해도 평가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개념이해도를 비교하였다. 수업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Hake가 소개한 를 이용하였는데, 이것은 물리교육연구자들 사이에서 새로운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연구 결과 시연을 사용한 물리학 수업의 효과가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전통적인 강의 중심 수업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지식이나 시연의 경험이 많은 과학고 학생들에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의 전, 후 문항별 정답률을 비교하여 얻은 를 도입하여 특정 개념에 대한 이해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강의 개선에 이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