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 안전성 제어

Search Result 25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ROS-based IIOT, Remote Control Robot (ROS를 이용한 IIOT 원격 제어 로봇에 관한 연구)

  • Jeong, Seung-ho;Son, Young-dae;Jeon, Chang-woo;Lee, Ju-yeon;Jung, 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893-895
    • /
    • 2022
  • 기술의 무궁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도 전기 산업 현장에서는 크고 작은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해당 장비는 안정성, 자율성, 내구성을 겸비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갖추어 위험 요소와 작업자 간 사이를 이격시켜 안전한 작업 환경을 구축 및 제공한다. 원격 제어 외에도 장비 자체의 결함 감지, 악력 측정, 실시간 영상 제공, 작업 데이터 저장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하여 제품의 완성도 및 실용성을 증가, 사용자의 작업 편의를 보장한다.

Analysis of Interoperability Test between a Different Kind of Train Control System (이종(異種) 열차제어시스템간의 상호운영성 시험 분석)

  • Baek, Jong Hyen;Seul, Nam-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5 no.1
    • /
    • pp.122-126
    • /
    • 2011
  • In this pape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future domestic train control systems and securing interoperability according to the global development trends of train control systems, we present the test results of interoperability between wayside train control system installed in existed line, and the onboard train control system. Due to the safety-critical characteristics of train systems, the site test in the section where the wayside equipment is installed, leads to a danger against safety. Therefore, by way of constructing a simulation environment of train control systems, we confirm the T/R data systems of the equipment for interoperability and test the interoperability by applying these systems to onboard equipment.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lamp back light controller using IGBT (IGBT를 이용한 형광등 백라이트 제어기 특성)

  • Ka, Chool-Hyun;Kim, Soo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8-41
    • /
    • 2005
  • IGBT를 이용한 형광등 백라이트 제어기를 설계 제작하여 특성 실험을 한 결과, 타 방식의 백라이트 제어기 비하여 고효율, 고역률, 고품질의 특성을 가지는 한편, 스위칭 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류 및 노이즈로 인한 인접 전기전자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뛰어나며, 또한 기존의 슬라이닥스를 이용한 전원장치를 대체하는 한편 원격제어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제어기는 제로크로싱 동기를 채택하여 온 오프 시에 발생하는 피이크 전류를 방지함으로서 제품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후 산업용 전원 장치 및 각종 가변 전원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도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정 안전용 결로센서에 대한 연구

  • 강영구;조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279-282
    • /
    • 1998
  • 습도가 안전의 요소로서 비중이 증가하고 습도의 이상검출을 필요로 하는 위험물의 저장, 식품, 섬유, 전자 등의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의 안락함과 정상상태의 습도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이상발생에 대해 검출할 수 있는 환경적인 안전에 사용될 수 있는 습도센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습도센서의 영역에서 결로센서의 중요성은 금수성 위험 물질의 저장 및 관리, 화학 plant 공정제어 등 안전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Failure Rate Prediction and Demonstraion for the Train Control system (열차제어시스템 고장률예측 및 입증에 관한 연구)

  • Shin Ducko;Lee Jae-Ho;Lee Jun-Ho;Lee Kang-Mi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5.11a
    • /
    • pp.77-81
    • /
    • 2005
  • 본 논문은 열차제어시스템의 고장률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입증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고장률의 정량적 예측은 시스템 개발단계에서 하부시스템별 고장발생확률을 예측하여 목표 고장률과 비교하고, 고장률이 높은 하부시스템의 설계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시제품이 완성된 후에는 예측된 고장률의 입증을 위해 시운전을 통한 고장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신뢰성시험을 통해 고장률의 예측치를 입증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열차제어시스템 고장률예측과 입증은 철도신호시스템 신뢰성, 가용성, 유지보수성, 안전성관련 규격인 IEC62278의 시스템 수명주기별 신뢰성활동을 근거로 하며, 전자부품으로 구성된 시스템고장률예측은 미국방부 전자부품 고장률예측 지침인 MIL-HDBK-217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 PDF

CAN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N Protocol (CAN Protocol을 이용한 CAN 통신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Seo-Kyung;Lee Jae-Yong;Kim Dong-Hyun;Choi Kwang-Joo;Jung J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23-1426
    • /
    • 2006
  • 자동차 산업은 관련 기술의 진전과 함께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신뢰성 및 안정성의 확보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편리성과 같은 새로운 기능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각종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해 차량 내 기능의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 조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각종 기능에 대한 전자통신 시스템을 사용한 제어 및 네트워크의 통합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과 같은 네트워크 개념의 도입으로 차내 전선사용의 감소뿐만 아니라 제어 및 고장의 진단을 용이하게 하고 차량 내 안전성의 개선 및 자동차 품질과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N Protocol을 분석하고 차량 내 제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 CAN을 통한 통신 시스템을 구현 및 검증하였다.

  • PDF

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

  • 박영문
    • 전기의세계
    • /
    • v.24 no.5
    • /
    • pp.38-41
    • /
    • 1975
  • 기술 및 소개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를 위한 하아드웨어시스템은 온라인리얼시스템의 구비 조건인 고속성, 신뢰성, 경제성을 기저요건으로 하여 동시에 다중프로그래밍, 다중처리가 가능한 범용전자계산기를 모체로 하고 다수의 위성계산기에 의하여 국지적 제어도 가능한 계층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이 현 추세이다. 2)전력계통의 계산기제어는 전력계통의 안정제어가 그 주내용이나, 전력공급의 질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가장 경제적으로 전력을 안정된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단계에서는 긴급상태 및 회복상태에서는 전력의 안정공급에만 주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3)전력계통의 안정제어의 기능은 상태의 감시, 해석 및 안전최적화의 3기능이며 안정최적화 기능중의 제어지령도 리얼타임으로 자동화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이나 현단계로서는 CRT 표시장치등의 맨머신 인터훼이스를 통하여 제어지령의 결정과정에서 조작원이 개입하는 것이 상례이다. 즉, 전력계통의 안정제어는 아직까지는 프로세스제어의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오퍼레이션제어의 특징을 다분히 지니고 있다. 4)조작원의 판단이나 개입을 줄이는 첩경은 하아드웨어의 개선보다는 전력계통 리얼타임 제어에 충분할 정도로 처리시간에 단축되는 전력계통제어용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으며 그 시기는 아직 먼 것으로 전망된다.

  • PDF

IMPROVING METHOD FOR VERIFYING STEERING ANGLE SIGNAL OF EPS (차량용 EPS의 조향각 신뢰성 향상 제안)

  • Jang, Hyunseop;Kwon, Dowook;Han, Sangwh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507-1510
    • /
    • 2012
  • 본 논문은 EPS(전자식 파워 스티어링)에 사용되는 Torque and Angle sensor 의 절대각 신뢰성 보증 방식에 관한 것으로, Inductive 방식의 센서에서 절대각 신호 신뢰성 보증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ECU(전자제어유닛)는 조타각도를 출력하는 2 개의 소자에서 버니어 알고리즘을 통해 360 도 이상의 멀티 조타각을 인식하게 된다. 토크&조향각 센서는 절대 조향각을 계산하는 1 개의 Hall IC 소자 신호와, 상대 조향각을 계산하는 ASIC 소자 신호를 사용하여 멀티 조타각을 인식한다. 인식된 조타각이 추가적인 검증 절차 없이 제어에 사용된다면, 센서의 이상 발생 시에 운전자의 조타감을 불편해질 수 있고, 나아가서는 차량사고의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따라서 차량 거동 시 절대 조향각의 신뢰성 검증은 제어와 동시에 항상 요구되어야 한다. 특히, 유럽/미국 업계의 ISO 26262 표준 도입에 따라 절대 조향각의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측정된 절대각 신호를 기준으로 상대각 신호 2 개를 측정에 사용하고, Driving 시에도 절대각 기준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절대각 신호 1 개를 비교기로 사용한다. 최적화된 에러 기준을 근거로 절대 조향각 신호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다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조타각을 결정함으로써 EPS 안전성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echnical Trends on Security of Control and Non-payload Communications Network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무인기 제어용 네트워크의 보안기술 동향)

  • Wang, G.C.;Lee, B.S.;Lim, K.J.;Ahn, J.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1
    • /
    • pp.82-92
    • /
    • 2017
  • 최근 들어 무인기와 무선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무인기들을 국가 공역에 진입시켜 운행할 필요성과 택배, 긴급 통신영역 확장, 재해 감시 및 대처, 위험지역 정찰, 항공촬영과 같은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에 대한 요구를 크게 증가시켰다. 다수의 무인기를 안전하게 운행 및 조종하기 위해서는 고신뢰성 및 고보안성을 제공하는 무인기 제어 전용 네트워크가 요구되며, 이러한 네트워크를 무인기 제어용 통합 네트워크라고 한다. 본고는 무인기 제어용 통합 네트워크의 보안 적용 구간을 분류하고, 구간별로 보안 요구사항과 요구사항을 달성할 수 있는 보안기술들을 차례로 제시한다. 또한, 향후에 무인기 제어용 통합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들을 제시한다.

  • PDF

Project of Dam Safety reinforcement on Gampo Dam (감포댐 안전성강화 사업)

  • Cheon, Geun Ho;Han, Yo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14-214
    • /
    • 2022
  • 감포댐은 2006년 준공하여 각종 시설 및 설비의 노후화가 진행중에 있으며, 최근 감포댐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경주지진(규모 5.8) 및 포항지진(규모 5.4)이 발생하여 지진시 시설물의 안전성에 대해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이에 감포댐 안전성강화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고, 주요 사업내용은 취수탑 관리교 내진보강, 댐체 심벽보강을 통한 댐체 안전성확보, 비상방류시설 개선이다. 취수탑 관리교는 교각단면의 변위연성도 및 교량받침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고, 단면강도는 모멘트-곡률해석법에서 탄성영역의 단면강도 대비 탄성지진력을 비교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교량받침의 내진성능은 부족한 것으로 검토되어 유량제어형 멀티펌프와 안전잭을 이용한 변위제어 방식의 교량동시 인상공법이 가능하고 인상정밀도 ±0.5mm이내의 성능을 가진 교량인상공법 적용하여 보강을 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댐체 심벽보강을 위해 먼저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여 전기비저항대를 탐사하여 심벽부에서 포화대가 형성된 부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댐 상·하류에 전극을 설치하고 전류를 발생시켜 측정 지점별 자기장을 측정을 통하여 댐체내 침투에 따른 유로 형성여부 파악을 위한 전자기장탐사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벽 시추조사를 시행하여 공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포화대의 위치 및 이상대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불특정 지점에 연약대가 존재한다 판단하여 심벽부 보강계획을 전반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비상방류시설은 최근 15년 실측자료의 홍수기(6~9월) 평균유입량을 적용하여 검토하였으며 검토결과 배제대상 높이 75%까지는 3.7일, 완전배제까지는 11.2일이 걸려 댐설계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검토되다. 다만 감포댐 비상방류시설이 하천제방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천의 폭이 좁아 과거 방류시에도 제방을 월류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하천의 세굴을 방지하고 제방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상방류시설에 감세공을 설치하고, 제방에 디플렉터 옹벽을 설치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감세공은 2번에 걸친 감세효과로 방류시 하류바닥 및 옹벽 보호 효과가 큰 미국 USBR의 TypeVI를 적용하였으며, Flow-3D 모델링을 통하여 제방에 월류가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대안 옹벽규모를 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