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결합장치

Search Result 24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tudies on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the Sn0.9957Fe0.01O2 (Sn0.9957Fe0.01O2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 Li, Yong-Hui;Kim, Sam-Jin;Kim, Chul-Sung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0 no.5
    • /
    • pp.187-190
    • /
    • 2010
  • $Sn_{0.99}{^{57}Fe}_{0.01}O_2$ prepared by a sol-gel method, and studied by x-ray diffractometer, vibrating magnetometer,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s and M$\ddot{o}$ssbauer spectroscopy. the crystal structure were found to be a rutile tetragonal structure with space group $P4_2$/mnm, and oxygen deficiency are 5.6 % by Rietveld refinement. magnetization value were $M_s=1.95{\times}10^{-2}{\mu}_B/Fe$ at room temperature, and Curri-weiss temperature were and ${\theta}_{cw}$ = 18 k, measurement of VSM and SQUID, respectively. Mssbauer spectra of $Sn_{0.99}{^{57}Fe}_{0.01}O_2$ have been Sextet taken at various temperatures ranging from 4.2 K to RT, and isomer shift value $\delta$ = 0.18~0.36 mm/s of $^{57}Fe$ ion site all of the temperature range the state shows ferric.

Computational study of orientation effects on thermal performance of natural convection cooled lightweight high performance hollow hybrid fin heat sinks (자연대류 냉각되는 경량고성능 할로우 하이브리드 휜 히트싱크의 열성능에 대한 방향 영향의 전산연구)

  • Effendi, Nico Setiawan;Kim, Kyoung-Joo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0 no.9
    • /
    • pp.786-790
    • /
    • 2016
  • This paper discusses numerically explored orientation effects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hollow hybrid fin heat sinks (HHFHSs) under natural convection. A HHFHS consists of an array of hollow pin fins concatenated with plate fins and having perforations near the fin bases. Orientation effects on the footprint-based and mass-based thermal performance of the HHFHS were numerically studied for orientation angles ranging from $0^{\circ}$ to $180^{\circ}$. The performance of the HHFHS was compared with that of a pin fin heat sink (PFHS) having similar physical paramet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HHFHS did not vary considerably from $0^{\circ}$ to $45^{\circ}$. The thermal resistance increased from $45^{\circ}$ to $90^{\circ}$, reached its maximum at $90^{\circ}$, and decreased consistently from $90^{\circ}$ to $180^{\circ}$. Dissimilar behaviors of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HHFHS vs. the PFHS resulted mainly from the effect of heat pumping induced by the internal flows of the hollow fins. Despite various orientations, the mass-based thermal resistance of the HHFHS was found to be nearly 30% smaller than that of the PFHS. This result shows the feasibility of the HHFHS for the lightweight thermal management of electronics under natural convection.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Pt-Ru Catalysts on the Surface Treated Mesoporous Carbon Support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표면처리된 중형기공 탄소지지체에 담지된 백금-루테늄 촉매의 전기화학적 거동)

  • Kim, Byung-Ju;Seo, Min-Kang;Choi, Kyeong-Eun;Park, Soo-Ji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2 no.2
    • /
    • pp.167-172
    • /
    • 2011
  • In this work, the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mesoporous carbons (MCs) support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surface functional groups. MCs were prepared by a conventional templating method using mesoporous silica (SBA-15) for using catalyst supports in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s). The MC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phosphoric acid ($H_3PO_4$) concentrations i.e., 0, 1, 3, 4, and 5 M at 343 K for 6 h. And then Pt-Ru was deposited onto surface treated MCs (H-MCs) by chemical reduction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Pt-Ru catalysts deposited onto H-MCs were determined by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size analyzer, X-ray diffraction, X-ray photoelectr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inductive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er.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t-Ru/H-MCs catalysts were also analyzed by cyclic voltammetry experiments. From the results of surface analysis, an oxygen functional group was introduced to the surface of carbon supports. From the results, the H4M-MCs carbon supports surface treated with 4 M $H_3PO_4$ led to uniform dispersion of Pt-Ru onto H4M-MCs, resulting in enhancing the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Pt-Ru catalysts.

A Study on Batch-Type Remote Plasma Dry Cleaning Process for Native Oxide Removal (배치식 플라즈마 세정 설비를 이용한 자연산화막 제거 공정)

  • Park, Jae-Young;Yi, Wook-Yeol;Hyung, Yong-Woo;Nam, Seok-Woo;Lee, Hyeon-Deok;Song, Chang-Lyong;Kang, Ho-Kyu;Roh, Y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247-251
    • /
    • 2004
  •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있어 실리콘 표면에 성장한 자연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습식 세정 기술이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소자의 최소 선폭(design rule)이 nano급으로 고집적화 됨에 따라 contact hole 바닥의 자연산화막을 깨끗이 제거하는데 있어서 그 한계를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 공정으로 가스 건식 세정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 번에 50매 이상의 웨이퍼를 처리함으로써 생산성 측면에서 월등한 배치식 설비에서 원거리 플라즈마(remote plasma) 장치에서 2.450Hz의 마이크로웨이브(${\mu}$-wave)에 의해 형성시킨 수소라디칼과 $NF_3$ 가스를 이용하여 실리콘에 결함을 주지 않고 자연산화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AFM을 이용한 표면분석, TEM을 이용한 물성분석, 그리고 ToF-SIMS 및 XPS를 이용한 화학 분석을 습식 및 건식 세정을 비교 평가한 결과, 건식 세정 공정이 실리콘 표면에 결함을 주지 않고 자연산화막을 제거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화막$(SiO_2)$, 질화막$(Si_3N_4)$, 그리고 다결정 실리콘(Poly-Si) 등의 각 막질별 식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NH_3$의 캐리어 가스인 $N_2$의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수소라디칼 형성 효율의 개선이 가능하였으며, 이로부터 게이트와 소스/드레인 사이를 절연하기 위해 이용되는 질화막의 식각 선택비를 2배 정도 개선할 수 있었다. nano급 소자에 실장하여 평가한 결과에서 불산(HF)에 의한 습식 세정 방식에 비하여 약 $20{\sim}50%$ 정도의 contact 저항 감소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두 소자 모두 $40mA/cm^2$ 에서 이상적인 화이트 발란스와 같은(0.33,0.33)의 색좌표를 보였다.epsilon}_0=1345$의 빼어난 압전 및 유전특성과 $330^{\circ}C$의 높은 $T_c$를 보였고 그 조성의 vibration velocity는 약4.5 m/s로 나타났다.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고 자장 영상에서의 rf field 에 의한 SAR 증가는 중요한 제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나선주사영상은 SAR 문제가 근원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EPI에 비하여 하드웨어 요구 조건이 낮아 고 자장에서의 고속영상방법으로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 shimming 을 통하여 불균일도를 개선하고, single shot 과 interleaving 을 적용한 multi-shot 나선주사영상 기법으로 $100{\times}100$에서 $256{\times}256$의 고해상도 영상을 얻어 고 자장에서 초고속영상기법으로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에서 연구된 $[^{18}F]F_2$가스는 친핵성 치환반응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도입하기 어려운 다양한 방사성의 약품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었으나 움직임 보정 후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한 경우, 결합능 변화가 선조체 영역에서 국한되어 나타나며 그 유의성이 움직임 보정 전에 비하여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뇌활성화 과제 수행시에 동반되는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에 의하여 도파민 유리가 과대평가되었으며 이는 이 연구에서 제안한 영상정합을 이용한 움직임 보정기법에 의해서 개선되었다.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

  • PDF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ANTICARIOGENICITY OF GLASS IONOMER CEMENT FOR BRACKET BONDING (브라켓 접착용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의 접착강도 및 항우식 효과에 관한 연구)

  • Kang, Yong-Joo;Kim, Yong-Ke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6 no.3
    • /
    • pp.538-55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anticariogenicity of glass ionomer cement with conventional bonding resin and fluoride releasing resin. After the shear bond strength te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fracture patterns in each group. Under the polarizing light microscope, artificially induced carious lesions were evaluated and the lesion depth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using image analyzing program(Image-Pro $PLUS^{TM}$, USA). 50 sound maxillary premolars were used for the bond strength test and another 30 for the anticariogenic test.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Oneway-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lass ionomer groups(G-III, IV, V) generally showed the lower bond strength values than resin groups(G-I, II). 2. Among the two resin groups, G-I showed the higher bond strength than G-II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p>.05). 3. Within glass ionomer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G-III and G-V with the superior bond strength in G-V (p<.05). 4. Under the SEM, adhesive failure was the predominant fracture pattern in G-I and II, whereas cohesive failures were mainly observed in G-III. In G-IV and V, mixed type of pattern where the both fracture patterns coexisted within samples could be seen. 5. In evaluation of the depth of artificially developed carious lesion, glass ionomer group showed shallower depth than resin group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III and G-I, II(p<.05). Among resin groups, fluoride releasing resin(G-II) showed the shallower depth than conventional resin(G-I)(p<.05).

  • PDF

THE OCCURRENCE OF GIANT BETA ISLETS IN THE PANCREAS OF THE CALF (자우췌장(仔牛膵臟)의 거대(巨大) beta 도서(島嶼)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Sang Nam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2 no.1
    • /
    • pp.1-13
    • /
    • 1962
  • 10두(頭)의 홀스타인 자우(仔牛)에 glucagon, insulin 등 홀몬과 reserpine 및 nicotine을 투여(投與)하여 그들이 췌장(膵臟)의 Langerhans 도서(島嶼)에 미치는 세포학적(細胞學的) 영향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해서 연구하는 도중 거대(巨大)한 크기의 도서(島嶼)를 관찰하였다. 이 거대도서(巨大島嶼)들은 상기(上記)한 약품투여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거의 beta 세포(細胞)들로만 되어 있으므로 보통 크기의 도서(島嶼)들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서는 그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세포학적(細胞學的) 및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징(特徵)을 구명(究明)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본연구(本硏究)에 착수하였든 것이며 아울러 췌장(膵臟) 각부분(各部分)에 함유되는 Langerhans 도서수(島嶼數)의 평균치(平均値)를 산출(算出)하였다. Langerhans 도서(島嶼)는 편의상 그 크기에 따라서 직경(直徑) $200{\mu}$이하(以下)의 것을 "Regular islets" $200{\sim}500{\mu}$까지의 것을 "Intermediate islets" 그리고 $500{\mu}$ 이상(以上)의 것을 "Giant islets"라 이름지어서 구별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최대(最大)의 도서(島嶼)는 개에서 관찰된 $333{\mu}$의 도서(島嶼)이었는데 필자는 본연구(本硏究)에서 직경 $1.395{\mu}$에 달하는 것과 기리 $2,700{\mu}$에 달하는 거대(巨大)한 도서(島嶼)들을 관찰하였다. 본연구(本硏究)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우췌장(仔牛膵腸) 50평방(平方)mm 면적(面積)내에 함유되는 Langerhans 도서(島嶼)의 수(數)는 평균(平均) 191개로서 다른 연구자에 의해서 보고된 수치(數値)보다 훨씬 많은 것이었다. 2. 거대도서(巨大島嶼)의 크기는 직경(直徑) $200{\sim}1,400{\mu}$이며 그 분포상태(分布狀態)는 보통 크기의 도서(島嶼)와 마찬가지로 췌장(膵臟)의 십이지장부(十二指腸部) 중간부(中間部) 및 췌장부(膵臟部)의 순서(順序)로 많이 함유되고 있다. 즉 십이지장부(十二指腸部)에는 2% 중간부(中間部) 1.8% 췌장부(膵臟部)에는 0.8%의 거대도서(巨大島嶼)가 함유되어 있으며 직경(直徑) $200{\mu}$이상(以上)의 도서평균치(島嶼平均値)는 1.53%이었다. 3. 중간대(中間大)의 도서(島嶼)와 거대도서(巨大島嶼)들은 거의 beta 세포(細胞)들로서만 되어있음으로 "중간대(中間大) beta 도서(島嶼)" 및 "거대(巨大) beta 도서(島嶼)"라고 각 각 명명하였으며 alpha세포(細胞)들이 있는 경우에는 작은 세포집합체(細胞集合體)를 이루고 도서전반(島嶼全般)에 걸쳐서 산재(散在)한다. 4. 췌장(膵臟)에 함유되고 있는 거대(巨大) beta 도서(島嶼)의 수(數)는 적지마는 보통 크기의 도서(島嶼)와 비교할때 그 용량(容量)은 막대한 것이며 따라서 insulin 분비량(分泌量)도 많을것이므로 우췌장(牛膵臟)의 insulin 분비(分泌)를 연구할 때에는 반듯이 이 사실(事實)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5. 불규칙한 색상(索狀)의 실질세포(實質細胞)들로된 거대(巨大) beta 도서(島嶼)에는 간질결합조직(間質結合組織)이 풍부하며 그 간질(間質) 속에는 비교적 큰 혈관(血管)과 개재관양(介在管樣) 구조물(構造物)이 들어있다. 거대(巨大) beta 도서(島嶼)는 출생(出生)후 도서내외(島嶼內外)에 산재(散在)하고 있는 외분비도관세포(外分泌導管細胞)들의 증식(增殖)에 의해서 발생(發生)하며 그 크기도 증대(增大)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6. 거대(巨大) beta 도서(島嶼)의 beta 세포(細胞)들은 현저한 Golgi 장치(裝置)와 비대(肥大)한 핵소체(核小體) 및 포상핵(胞狀核)등의 세포학적(細胞學的) 특징을 가지며 이것은 거대(巨大) beta 도서(島嶼)가 보통 크기의 Langerhans 도서(島嶼)에 비하여 더 활발하게 insulin을 분비(分泌)한다는 것을 시사(示唆)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