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ANTICARIOGENICITY OF GLASS IONOMER CEMENT FOR BRACKET BONDING

브라켓 접착용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의 접착강도 및 항우식 효과에 관한 연구

  • Kang, Yong-J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Yong-K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강용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용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anticariogenicity of glass ionomer cement with conventional bonding resin and fluoride releasing resin. After the shear bond strength te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was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the fracture patterns in each group. Under the polarizing light microscope, artificially induced carious lesions were evaluated and the lesion depth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using image analyzing program(Image-Pro $PLUS^{TM}$, USA). 50 sound maxillary premolars were used for the bond strength test and another 30 for the anticariogenic test.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Oneway-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lass ionomer groups(G-III, IV, V) generally showed the lower bond strength values than resin groups(G-I, II). 2. Among the two resin groups, G-I showed the higher bond strength than G-II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p>.05). 3. Within glass ionomer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G-III and G-V with the superior bond strength in G-V (p<.05). 4. Under the SEM, adhesive failure was the predominant fracture pattern in G-I and II, whereas cohesive failures were mainly observed in G-III. In G-IV and V, mixed type of pattern where the both fracture patterns coexisted within samples could be seen. 5. In evaluation of the depth of artificially developed carious lesion, glass ionomer group showed shallower depth than resin group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III and G-I, II(p<.05). Among resin groups, fluoride releasing resin(G-II) showed the shallower depth than conventional resin(G-I)(p<.05).

고정성 교정장치에 의한 법랑질 탈회현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교정용 불소 유리 복합 레진과 교정용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여 각 재료의 법랑질과의 결합 강도와 항우식효과를 측정하여 교정용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와 교정용 불소 유리 복합 레진, 일반 교정용 복합 레진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목적으로 발거한 80개의 상악 소구치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중 전단강도 측정을 위하여 각 군당 10개씩 5군으로, 항우식 실험을 위하여 각 군당 10개씩 3군으로 무작위로 분배하였다. 전단강도 실험을 위하여 I군은 일반 교정용 레진을, II군은 불소 유리 레진을 사용하여 브라켓을 각 치아의 협면에 부착하였으며, III군은 치면 처리를 시행하지 않았고, IV군과 V군은 각각 폴리아크릴릭산과 35% 인산으로 치면처리를 시행한 후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를 사용하여 부착하고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 강도를 측정한 후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파절면을 관찰하였다. 항우식 효과 실험을 위하여 전단 강도 실험에서 I, II, III군과 동일한 재료와 방법으로 브라켓을 부착하고 인공 우식을 유발시켜 얻어진 연마 표본을 편광현미경으로 우식 유발 부위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화상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병소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접착강도 실험에서는 글라스 아이어노머 군(III, IV, V)과 레진 군(I, II) 사이에선 글라스 아이어노머 군이 레진 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고, II군과 V군간을 제외하고는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레진 접착 군간의 비교에서는 I군이 다소 높은 접착강도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5). 글라스 아이어노머 접착 군간의 비교에선 V군이 가장 높고 그 다음 IV군, III군의 순으로 낮아졌으며, III군과 V군간에서만 유의차를 보였다(p<.05). 파절 양상의 관찰 시 I, II군에서는 주로 응집성 파절 양상이, III군에서는 대부분 부착성 파절 양상이 특징적이었으며, IV군과 V군에서는 이상의 파절 양상이 혼합되어 관찰되었다. 평균 우식 병소의 깊이에선 글라스 아이어노머 접착군인 III군이 레진 접착군인 I군, II군에 비해 얕았으며(p<.05), 레진간에서도 역시 불소 유리 레진 접착군인 II군이 I군에 비해 얕았다(p<.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