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인간호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 학생의 전인간호 태도에 대한 이해 :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for Understanding Nursing Students' Holistic Nursing Attitudes)

  • 이영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61-370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전인간호 태도와 문화역량을 확인하여 전인간호 태도 향상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결과 전인간호 태도는 전공만족도, 학과 성적 등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비과학적 중재라도 대상자가 원하면 제공하겠다고 응답한 경우와 학부교육과정에서 보완대체요법을 배우는 것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경우 전인간호 태도 점수가 높았다. 전인간호 태도와 문화역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문화역량은 전인간호 태도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간호학생의 전인간호 태도에 대한 확인은 중요하며 그 수준에 따라 맞추어진 교육이 제공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olistic Health Program on spiritu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 강은실;김영희;이경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172-2179
    • /
    • 2011
  • 본 연구는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군 전 후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참여를 희망하는 간호 대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을 13주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주간의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전 후 영적 변화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13주간의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전 후 간호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의 변화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 및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그러므로 이 프로그램을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여 간호실무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Self 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for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 최성은;강은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209-219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 사후 원시실험설계 연구로서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무지개 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경북포항시 소재 선린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만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연구참여에 서면 동의한 27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후 2주간, 총 10회(회당 120분)로 구성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제공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정을 위해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성인용으로 수정보완된 Self Esteem Questionnaire (SEQ), 영적안녕 측정도구로는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1.554, P<0.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387, P<0.000). 결론: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므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말기환자를 위해 임상 실무에서 적용 가능하며, 호스피스 전문직의 다학제적 팀 접근 모델로 연구, 교육 측면에서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 PDF

전인적 지지간호중재가 두경부암 수술환자의 절망감, 자아존중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Hopelessness, Self-Esteem, Self-Concept of Operative Patient with Head and Neck Cancer)

  • 석정희;강은실;최화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2호
    • /
    • pp.189-199
    • /
    • 2004
  • 목적: 본 연구는 전인적 지지간호중재가 수술한 두경부암 환자의 절망감, 자아존중감,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시차 유사실험 설계연구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K 대학교 부속 병원에서 두경부암으로 진단 후 수술을 받은 입원환자로써 대조군 20명, 실험군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대조군이 1999년 12월 1일부터 2000년 2월 19일까지였고, 실험군은 2000년 2월 17일부터 4월 1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실험도구로서 전인적 지지간호중재 protocol은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제작한 것으로 신체적, 정서적, 정보적, 영적중재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도구는 절망감을 측정하기 위해 Beck(1974)의 절망감 측정도구를[15]이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에 대한 측정도구는 [29]가 개발하고 [41]가 번역한 도구를, 자아개념에 대한 측정도구는 [20] 등이 사용한 것을 [21]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 표준편차, $x^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제 1가설 '전인적 지지간호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절망감 정도가 낮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t=4.550, P=.000). 2. 제 2가설 '전인적 지지간호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t=-6.442, P=.000). 3. 제 3가설 '전인적 지지간호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개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065, P=.000) 결론: 전인적 지지간호중재는 두경부암 수술환자의 절망감 감소와 자아존중감, 자아개념의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을 위해 임상실무에 전인적 지지간호중재 프로토콜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입원한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ain and Anxiety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 최성은;강은실;최화숙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8권1호
    • /
    • pp.55-67
    • /
    • 2008
  • 목적: 말기환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전인적인 고통을 겪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통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의 다학제(multi- discipline) 전문가들과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 팀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설계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P시 소재 S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제공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전인적, 다학제적, 개별 및 집단적인 중재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호협동적인 다학제 전문가팀(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무용치료사, 미술치료사, 자원봉사자)이 호스피스 대상자 병실이나 병동에서 매회 120분씩, 총 10회(총1,200분)에 걸쳐 실시한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통증 척도는 윤영호(1998) 등이 한국형 간이통증 조사지(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로 개발한 도구 중 일부를 윤매옥(2000)이 사용한 도구, 상태불안 척도로는 Spielberger (1975)의 상태불안 측정도구(State-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대값, 최소값,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입원 호스피스 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통증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10.585, P= .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8.234, P= .000).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 및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고 향상시켜 신체 및 정서적 차원에서 그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호스피스 임상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을 조절하고 불안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높일 수 있는 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PDF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간호사 인식도 비교 (Comparison of Expectation-Perception between Patient and Nurse on Nursing Care Servi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 윤호순;임지영;강민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07-522
    • /
    • 2017
  • 본 연구는 Parashuraman, Zeithmal과 Berry가 개발한 SERVQUAL 모델을 이용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이용한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보다 환자중심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간호간병서비스에 대한 환자 만족도 및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192명과 환자 321명을 대상으로 간호서비스에 대한 기대-인식 차이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제공된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기대 정도와 간호사의 수행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가 환자 중심의 전인간호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간호서비스 수행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간호사가 환자의 기대를 잘 인식하고 있어도 이에 부응하는 간호서비스를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차이에 대하여는 추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보건복지부와 병원 당국 그리고 간호부서간의 조정과 협력을 통하여 발전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인 PZB의 SERVQUAL 모델을 적용하여 환자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기대 수준과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면서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를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을 제안한다.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Education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ursing Students)

  • 임현정;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61-2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2017년 2월 27일부터 5월 19일까지 J시 소재 간호대학생 83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실험군 42명과 대조군 41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영성교육은 자기 인식과 영성 및 간호의 영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1회에 120분씩, 5주 동안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확인하였고 가설 검증은 χ2-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수의 변화는 실험군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영성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자아정체감, 영적 안녕과 삶의 만족도 및 영적간호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성교육을 시행하고 5주 후에도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에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은 전인간호를 위한 영적 간호교육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양생 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 분석 (A Trend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related with Yangseng)

  • 김윤영;박혜주;장은수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10-16
    • /
    • 2016
  • Purpose: We aimed to analyze the existing nursing studies related to Yangsaeng for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and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Methods: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year, journal, study design, variable, and measure of th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nursing journals from 1990 to 2014 was performed. Results: First study of Yangsaeng was published in 1997. The numbers of studies related to Yangsaeng was continuously increasing until 2010 and reducing afterwards. Most nursing studies related to Yangsaeng were published at the Jounr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targeting older adults. The most commonly used measure to assess the concept of Yangsaeng was the scale developed by Ae-Jung Kim in 2004. Most studies were quantitative and correlational studies and none of them was experimental research. Conclusion: It would be useful to incorporate the concept of Yangsaeng into nursing research because from a perspective of holistic nursing, the concept of Yangsaeng is similar with the view of health promotion. This may enable to expand the scope of nursing study from a diverse perspective.

청년 생체 간이식 기증자의 경험 (Young Adult Donor's Experiences of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 방미선;신해윤;류민;권수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5-11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young adult donors' experiences of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Method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two women and six m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rom November 25th, 2019 to June 10th, 2020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Five theme clusters extracted from the young adult donors' experiences were painful decision of a liver donation, the agony of both mind and body that overpowers youth, the bitter and bare face of reality that a young donor encounters, feeling the power of love that fills up the space of the organ removed, and liver donation becoming priming water for matur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young adult donors who have experienced unexpected difficulties as well as self growth from the don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of use for developing and applying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s for management before and after liver donation among young adult don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