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원공급시스템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41초

척추 건강관리기용 100W급 가변형 전원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ble power supplies of 100W class for spine health management device)

  • 신덕식;이상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04
    • /
    • 2015
  • 본 논문은 척추 건강관리기의 구동을 위한 가변형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논문이다. 본 시스템은 의료용 및 척추 마사지를 위한 장비로서 인체에 접촉하는 경우가 많고 높은 안전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필요한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서 100W의 전원이 필요하여 비교적 간단하고 절연타입의 Forward Type의 토폴로지를 적용하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회로를 설계 하였으며, 이를 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한국형발사체 발사대시스템 지상장비전원공급계 개발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Equipment Power Supply System in KSLV-II Launch Complex)

  • 문경록;안재철;정일형;홍일희;강선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6-40
    • /
    • 2017
  • 우주발사체 발사운용은 발사체와 발사대시스템인 발사관제설비, 추진제공급설비 및 지상기계설비간의 유기적 작동을 통해 진행된다. 이때 발사대시스템 계기 구동을 위한 주요전원은 발사관제설비 구성요소인 지상장비전원공급계를 통해 공급된다. 따라서 지상장비전원공급계는 발사운용에 필요한 소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발사체 발사대시스템 구동을 위한 지상장비전원공급계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 PDF

항로표지용 전원공급시스템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power supply systems for Aids to Navigation)

  • 정재훈;김종국;김종욱;이희준;김훈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40
    • /
    • 2005
  • 항로표지용 광파표지에는 등대, 등표, 도등, 조사등, 지향등, 등주, 교량등, 등부표, 등선 등이 있으며, 이 표지들은 사용용도, 형태 및 장소에 따라 제각기 다른 전원공급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내부 전원공급시스템은 태양전지, 충방전조절기 및 축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나,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문제점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설문대상의 63%가 축전지의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답하였으며, 다음으로 충방전조절기가 31%의 답변을 얻었다. 이와 더불어 현재 효율적인 표지의 관리를 위하여 집약관리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추가적인 전원공급의 문제, 축전지 및 기타 장치들의 설치의 문제 및 유지 보수의 문제 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 PDF

직류전원공급 이중화용 블로킹 다이오드 감시 장치 (Blocking Diode Monitoring System of Redundancy DC Power Supply)

  • 임익헌;송성일;이주현;류호선;신만수;강성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016-1017
    • /
    • 2006
  • 프로세스 제어기에서 전원장치의 건전성과 신뢰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본 논문은 전원장치의 고장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류 전원공급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이중화 전원 구성용 블로킹다이오드의 고장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화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2개의 공급전원 중 어느 한쪽의 공급전원이 상실되더라도 나머지 한쪽의 공급전원이 건전하면 정상적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게 하기 위하여 블로킹다이오드를 사용한다. 그러나 블로킹다이오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원공급장치 자체는 정상이더라도 이중화 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블로킹다이오드의 정상 여부를 상시 감시하여 이상이 발생시 경보처리 한다면 예기치 않은 전원공급 중단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블로킹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와 다이오드의 양단 전압을 상시 감시/계측하여 정상운전특성곡선과 비교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이를 경보하여 전원중단을 예방할 수 있는 이중화 전원용 블로킹다이오드의 고장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 PDF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단일 모듈 형태의 전원공급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power supply system of single module type using solar energy)

  • 안인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8-661
    • /
    • 2010
  • 태양에너지의 활용은 새로운 산업의 창출과 함께 다양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단일 모듈 형태의 전원공급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공간적 지배를 받지 않고 전기 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도 전기를 효율적으로 충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선된 성능의 전원공급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엔진 발전기 추가 적용을 통한 군(軍) 지휘·지원차량의 광대역 전자파 방사 노이즈 개선 (Improvement of Broadband Radiated Emission Noise in Military Tactical Vehicle by Using Additional Alternator in Engine)

  • 서석호;구기범;김지훈;오대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97-404
    • /
    • 2020
  •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군 지휘·지원차량은 상용차량의 일부를 개조하여 제작되었으며, 군에서 필요한 통신장비 운용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신실 내부에 별도의 컨버터를 장착하는 전원공급시스템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전원공급시스템은 전자파 방사 노이즈를 발생시켜 차량에서 무전교신 시 잦은 잡음과 통신감도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엔진에 발전기를 추가 장착하여 통신장비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도록 전원공급시스템을 변경하였다. 추가 장착된 발전기는 통신장비가 운용되는 통신실과 완전히 분리된 엔진 룸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전원공급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방사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켜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개선된 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 차량과 신규 전원공급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 대하여 광대역 방사시험을 각각 수행하였고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신규 전원공급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광대역 방사 노이즈는 국내 자동차 안전기준에 모두 만족하였으며, 기존 차량 대비 일부 주파수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에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차량 우측면의 수직편파 170~225 MHz 구간에서 최대 10.751 dB𝜇V/m 감소하였다.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한 SNMP기반 UPS 원격 관리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SNMP-based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UPS using Micro-Controller)

  • 심우혁;김병진;정을기;전희종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61-26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제어와 LAN 환경에서의 원격관리를 위한 통신·제어보드의 개발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개발된 통신·제어보드는 범용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이더넷 컨트롤러로 구성되었고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과 원격의 관리자와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다. 원격관리 방식은 TCP/IP 환경의 표준 네트워크 관리프로토콜인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사용하였다. 또한 원격에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SNMP 관리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의 원격관리 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이며 안정한 동작을 한다. 본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 PDF

Stocker 시스템에 적용한 비접촉 전원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for Stokcer System)

  • 황계호;김동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48-156
    • /
    • 2007
  • 본 논문은 원거리 및 직선구간에 동작되어지는 Stocker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파티클 발생을 줄이기 위해 Stocker의 전원은 비접촉 전원장치를 사용한다. 기존 비접촉 전원장치보다 회로구성과 토폴로지를 간략화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제품을 제작하여 상용화에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비접촉 전원장치 전체 제어 시스템의 구조는 1차측 전원공급장치와 2차측 전원공급장치간 상호 정보를 광모뎀 통신과 TMS320F243을 사용한 구조이며, 비접촉 전원장치와 출력제어를 위해 주파수 제어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광모뎀 통신을 사용함으로써 크레인의 이동부(2차측 전원공급장치)와 고정부(1차측 전원공급장치)간 1:1통신으로 제어되는 상용화 Stocker 시스템에 적용하였으며, 향후, Stocker 시스템의 멀티 Crane의 동작을 위해 비접촉 전원장치의 고정부와 이동부간 1:다수가 제어 가능하게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압위상을 이용한 무접점 전원공급 시스템에 관한 연구 (Contactless Power Transfer System using Voltage Phase)

  • 유주희;김춘삼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9-226
    • /
    • 2011
  • 기존의 무접점 전원공급 시스템은 비접촉 변압기의 1, 2차측 간 RFID/ID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접점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물질을 감지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ID 신호를 발생시켜주는 회로가 추가 되어야 하고, 2차측에서 발생한 ID 신호의 인식과 제어는 1차측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회로의 복잡성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압위상을 이용한 무접점 전원공급 시스템을 제안하고,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3[W]급 무접점 전원공급 장치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정 및 빌딩용 직류 배전 시스템 연구 (Research of DC distribution system for home and building)

  • 류명효;백주원;김종현;정지훈;김호성;김태진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2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5-37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수용가의 직류 배전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가정 및 빌딩용 직류 배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교류 및 직류 전원 공급에 따른 효용성을 비교/검증하였다. 직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5대 가전기기(냉장고, TV, 세탁기, 에어컨, 노트북, 컴퓨터)를 직류 전원 인가가 가능하도록 전원 시스템을 변경하였으며, 직류 전원 공급을 위한 양방향 교류/직류 컨버터를 제작하였으며, 직류 전원 인가에 따른 아크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직류 콘센트를 설계/제작하여 직류 배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LED, 데이터 센터 등 직류 전원이 요구되어지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고효율 직류-직류 컨버터를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에너지 저장장치, 신재생 에너지원과 결합된 직류 배전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