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용공간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4초

국내 공동주택 화재감지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Fire Detectors System at Domestic Apartment Buildings)

  • 손봉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33-538
    • /
    • 2014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전용 지능형 화재감지시스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기존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 실태 및 성능개선대책에 필요한 기초 연구를 하였다. 공동주택 전용지능형 감지시스템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감지기성능 및 유지관리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외 주거공간에서 발생한 화재통계자료를 분석하였고 피난 및 소방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지기성능 실태를 연구하였다. 특히, 공동주택에 설치된 기존의 화재감지기는 세대별로 경계구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대부분 열감지기로 설치되어 조기에 화재를 감지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세대별 설치된 감지기는 평상시에 정상작동 여부를 주거공간의 외부에서 점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열감지기보다는 초기 감지능력이 있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 연기복합형 감지기, 단독형 연기감지기의 설치 및 공동주택 전용의 감지시스템을 개발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통시장 서제 중심의 디스플레이 연구 및 전용서체 개발 (A Study on the Display and Exclusive Font Development in Traditional Markets)

  • 김초아;장윤정;김용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80-289
    • /
    • 2018
  • 전통시장은 지역주민의 전통문화와 정서가 담긴 곳으로 단순히 상품의 거래의 공간이 아닌 문화공간, 지역 경제, 커뮤니티 등 우리 삶의 중심에 있어 왔다. 그러나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대형마트, 백화점등에 소비자를 지속적으로 빼앗기고 있는 실정이다. 내부 시설을 포함 디스플레이에 대한 인식이 낮아 겉모습에 비해 개발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며 특히 제품명, 가격표, 원산지 등을 표기한 표지판은 시장 내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띔에도 불구하고 개선이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이러한 전통시장 서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통시장 내 사용되는 서체를 조사 분석을 진행해 차후에 더 나아가 전통시장만의 전용 서체를 만들어 시장 서체의 통일성을 갖추고 차별화 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전통시장 전용 서체를 개발하고자 한다.

노인거주 재래농가의 수장공간 (Storage Space of the Elderly Residents in Traditional Farm Houses)

  • 이인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호
    • /
    • pp.39-48
    • /
    • 1998
  • This study has been peformed to investigate storage space types of old-fashioned traditional dwelling units where older couples maintain their traditional farming lives. In this study it is observed that residents of the traditional farm-houses are exposed to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and emotional pressures. However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older residents are generally manifesting a consistent subculture of the old-timers without noticeable complaints. The usage and morphology of storage spaces are as follows: (1) Storage space in the ceiling are under control of old couple and used for seasonally varied farm products and household equipment. (3) All the households use longterm storage space under wooden floor; the hidden ground is used for keeping miscellaneous tools and fermented foods for years. Overall in this stud it is observed that traditional farm houses are well modified for physically and emotionally frail elderly residents.

  • PDF

접근성 변동에 따른 도시토지이용 변화의 시.공간적 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Urban Land Use Change by Accessibility Changes)

  • 원석환;황철수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39
    • /
    • 2010
  • 수도권의 도시화 과정은 서울로의 교통 접근성의 변화에 따라 급속하게 확산되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도시화 과정 속에 인구 교외화, 주택 수의 증가, 도심용지 토지이용 증대, 토지가격의 증가 등의 다양한 공간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도시화의 과정 속에 국토의 난개발이 이루어졌고 자연생태 파괴, 주택부족 및 교통 문제, 토지 투기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고 교통접근성의 변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MAS)을 이용하여 교통접근성과 토지이용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래서 교통접근성의 변화로 인한 주변 토지 이용 변화를 공간적으로 예측하려고 한다.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지적도 자료를 이용하여 미시적인 경관 분석을 실시한 후 교통접근성의 변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자료와 토지이용 자료를 GIS분석 및 통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관성 분석 결과를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전용 플랫폼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다.

  • PDF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 의무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ementary·Middle integrated school - Focusing on the Case of Japanese Integrated Schools -)

  • 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32
    • /
    • 2019
  • 본 연구는 초·중 통합학교의 공간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일본의 초·중 통합학교 형태인 의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 배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중학교 발달단계별 학급교실의 공간 구성과 배치 특성을 도출하였고, 초·중 통합 활용전용 공간과 공동 활용 교과교실을 도출하였다. 또한 초·중학교 급별 학년별 교과교실 연계 특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과교실 배치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내 초·중 통합학교 공간 배치 구성 방향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웹 기반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a Web-Based Presentation System)

  • 공병권;지정규;오해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641-64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웹 상에서의 협동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설계에 관해 기술한다. 기존의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하며, 정적이고 수동적임은 물론 한 참가자에게 단방향으로만 보여지는 형태의 시스템이다. 그러나 참가자들이 서로 뷰(view)와 상호작용을 공유할 수 있는 공동 작업(CSCW)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동적이고 능동적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참가자들 상호간에 실시간으로 양방향 음성통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모든 참가자들이 하나의 가상공간에 함께 존재하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지게 된다. 자바 애플릿으로 시스템을 구현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불필요하고, WWW 서비스가 가능한 곳에서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프리젠테이션에 참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 PDF

DFL(Dyslexia Friendly Library)을 위한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Policies for Dyslexia-Friendly Libraries)

  • 김선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01-221
    • /
    • 2012
  • 본 연구는 도서관의 DFL 서비스 정책을 마련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난독인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면담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서관 이용에 장애가 되는 여러 가지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홍보 및 광고활동의 강화, 2) 도서관 규정의 개선 및 난독인 전문 사서의 배치, 3) 소장 자료 및 전용공간 서비스의 확대 및 맞춤화.

AZVS(Active Zero Voltage Switching) 기능을 갖는 CFL용 안정기 제어 IC (The Ballast IC with AZVS(Active Zero Voltage Switching) for CFL)

  • 조계현;이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037-1038
    • /
    • 2006
  • CFL(Compact Fluorescent Lamp)는 기존에 사용되던 백열 램프를 바로 대치할 수 있고, 백열 전구에 비하여 광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인해서 사용처가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등기구가 가지는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서 EMI 필터와 PFC 회로를 내장할 수 없으며, 램프에서 발생한 열이 직접적으로 안정기 회로에 영향을 주어 안정기 내부 온도가 매우 높게 상승한다는 점으로 인해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전용 ballast control IC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toroidal core를 이용한 자려식(self-excited) 동작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왔다. 이러한 자려식 발진 방법은 설계하기가 까다롭기 때문에 램프 점등 전에 램프 필라멘트를 예열한 이후에 점등을 하는 rapid start 방법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본 논문은 fairchild 반도체에서 만든 CFL 전용 ballast IC가 가지는 특성에 대해서 다루었다. IC 내부에 안정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분과 두 개의 MOSFET를 내장하고 있어 안정기 구성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하 상태를 검출하여 항상 Active ZVS 동작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서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Micro Step기술을 이용한 계기용 소형 스텝모터 및 구동 IC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 small step motor and driving IC for an instrument using micro step driving method.)

  • 이종배;임태빈;성하경;정중기;류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29-13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계기판 지시계 구동용 액츄에이터 연구의 일환으로써 소형 2상 스텝모터에 대하여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이용한 설계, 해석 및 One Chip을 이용한 유량, 온도, RPM 및 속도 지시계 동시제어용 전용 구동 IC를 설계하였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계기판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지시계의 구동원으로 코일형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동작구간내의 선형성 및 속응성 저하와 구조상 큰 체적으로 인한 공간확대의 문제가 야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 에너지 밀도를 갖는 소형의 영구자석과 저 손실 특성을 갖는 정밀 기어부 설계를 통하여 경량. 박형의 PM형 스텝모터를 설계하였으며. 또한 다수 모델 제어용 전용 드라이버 IC 설계 및 제작을 하였다. 실제로 제작한 모델을 대상으로 특성평가를 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높은 선형성 및 고정밀도와 저소음 특성을 갖는 자동차 계기판 지시계용 구동원 및 드라이버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공간사용 규제가 택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간가중회귀분석 - 장유 신도시지역을 대상으로-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Effect of Regulation of Space Use on the Residential Land Price - Evidence from Jangyu New Town -)

  • 강순덕;박세운;정태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27-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의존성을 반영한 공간가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용도지역과 같은 공간사용규제가 택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도로접면, 토지의 형상, 면적 및 경과연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신도시지역인 경남 김해시 장유지역의 토지거래 실거래가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통적인 회귀분석의 결과와 공간가중회귀분석의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공간가중회귀모형의 분석 잔차의 Moran's Index가 OLS모형의 잔차보다 26% 감소하여 잔차의 자기상관이 상당히 개선되었고 설명력도 약간 높아졌다. 전통적 회귀분석 및 공간가중회귀분석에서 점포 겸용 택지 더미변수는 음의 부호를 나타내 기준변수인 주거전용지역 택지보다 택지가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점포 겸용 택지는 용적률과 건폐율이 높아서 토지의 공간적 활용성은 높지만 평지에 위치해 있어 택지로서의 메리트가 크지 못한 반면에, 전용주거지역은 산자락의 완만한 언덕에 위치하여 좋은 경관과 깨끗한 공기를 누릴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결과로 볼 때 단순히 용적률과 건폐율을 높이는 것보다는 녹지와 공원을 확충시키는 것이 택지의 가치 상승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지방자치단체와 건설회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근린생활시설용지 더미변수는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를 나타내, 다른 용도지역에 비하여 택지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근린생활시설용지가 용적률이 점포 겸용 택지와 전용주거지역보다 훨씬 높고 5층까지 건축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예상과 같이 택지 구매자는 중로에 접한 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로한면은 소음 및 매연으로 인해 주거환경이 좋지 않고 차량출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좁은 도로는 소음 및 매연이 적고 사생활이 보호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도로 양쪽에 차량이 주차되면, 통행에 많은 장애가 발행하여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경과연수는 음의 부호를 보여 시간에 따라 택지가격이 하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장유지역의 택지가격이 김해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하락했기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