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송 지연

Search Result 2,38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초고속 위성망을 위한 ATM 전송기술의 동향

  • 최형진;김병균;김신재;김동규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3 no.8
    • /
    • pp.103-122
    • /
    • 1996
  • 초고속정보통신망의 구축이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성/지상망을 통합한 혼합망 구조로 개발됨에 따라 지상 광파이버를 기반으로 개발된 ATM 전송프로토콜을 위성망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고에서는 위성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전송에 따른 문제점 분석, 개선방안 및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혼합망 구성에 따른 위성망의 구조를 접속된 지상노드의 유형 및 위성시스템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위성 ATM 전송에 따른 기술적인 문제점을 채널 BER과 위성지연 측면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위성채널 BER 성능개선을 위한 2가지 방안(인터리빙, HEC 보강)을 제시하였으며 위성지연분석은 고정지연(Fixed delay)과 셀지연변이(CDV : Cell Delay Variation) 측면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Fractional Delay Element for High Speed Digital Data (고속 디지털 데이터를 위한 FDE의 구현)

  • 심재욱;김종훈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366-369
    • /
    • 2003
  •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는 여러방법이 있으나 한정되어 있는 대역폭을 사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속 전송을 사용한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을 하다 보면 여러가기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에 대한 보정이 어려워 지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중에 한가지가 바로 FDE(Fractional Delay Element)이다. FDE 는 1Clock 이하의 지연을 주는 소자로써 클럭 단위의 보정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시스템 클럭을 고속으로 동작시키기에는 소자의 문제점이 있으나 FDE를 사용하면 시스템 클럭을 변화 없이 지연 보정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VHDL 코딩과 FPGA 를 사용하여 FDE 를 구현 하였다. FDE 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FDF(Fractional Delay Filter)를 VHDL로 코딩을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ceive buffer control schemes for bobile multimedia services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수신버퍼 제어에 관한 연구)

  • 이태훈;김용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3 no.4
    • /
    • pp.940-949
    • /
    • 1998
  • The paper proposes an effective mechanism hiring the adaptive buffer control schemes on the mobile seceiver's side that can resolve the problems of delay spikes caused by the handover process onthe cell boundaries when they transmit real-time moving images through the high speed wireless channel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s, we have mode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ndom errors on the wireless channels, the burst errors and that of the transmission delay by the handover. We also compared the rate of the delay-adaptation of the receive buffers caused by the delay and delay spikes. the comparison was done by testing the suggested schemes against the existing schemes by applying tehm to the packet delay model. We also could identify the noticable reduction of the casesof buffer delay and overflow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chemes, by applying the suggested algorithm to the video image compressed by H.263.

  • PDF

A Real-Time Data Transfer Mechanism Considering Link Error Rat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링크 에러율을 고려한 실시간 데이터 전달 기법)

  • Choi, Jae-Won;Lee, Kwang-Hu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4 no.1
    • /
    • pp.146-154
    • /
    • 2007
  • In this paper, we have presented a real-time transfer mechanism for the delay-sensitive data in WSNs (Wireless Sensor Networks). The existing methods for real-time data transfer select a path whose latency is shortest or the number of hops is least. Although the approaches of these methods are acceptable, they do not always work as efficiently as they can because they had no consideration for the link error rates. In the case of transmission failures on links, they can not guarantee the end-to-end real-time transfer due to retransmissions. Therefore, we have proposed an algorithm to select a real-time transfer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link error rates. Our mechanism estimates the 1-hop delay based on the link error rate between two neighboring nodes, which in turn enables the calculation of the expected end-to-end delay. A source node comes to choose a path with the shortest end-to-end delay as a real-time route, and sends data along the path chosen. We performed various experiments changing the link error rates and discovered that this proposed mechanism improves the speed of event-to-sink data transfer and reduces delay jitter. We also found that this mechanism prevents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and prolongs network lifetime, resulting from the elative reduction of transmission failures and retransmissions.

Multicast Routing Algorithm for Multimedia Transmission in an ATM Network (ATM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다중점 경로설정 알고리즘)

  • 김경석;이상선;오창환;김순자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1 no.1
    • /
    • pp.91-102
    • /
    • 1996
  • The multicast routing algorithm is necessary to transmit multimedia traffic efficiently in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ulticast routing algorithm which is based on VP/VC characteristic.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VP tree concept and using cost function which is based on VP/VC switching. The cost funication is composed of link cost, delay and weighting factor on delay and the weighting factor is calculated by delay sensitivity of the traffic. The proposed algorithm can choose delay bounded path which satisfies delay constraint, moreover it can choose optimal path among VPs which has the same link cost and satisfying delay constraint. With controlling weighting factor, proposed algorithm can set-up efficient path. When the weighting factor sets to be between 0.8 and 1,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ance of proposed scheme is approximated to that of cost optimal algorithm and strongly delay optimized algorithm.

  • PDF

Relation between jittering from compensation for latency and VR sickness (가상현실 렌더링 지연시간 보상에 따른 떨림 현상과 멀미 간 관련성 연구)

  • Yoon, Wonbae;Han, J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3 no.1
    • /
    • pp.1-8
    • /
    • 2017
  • For popularization of virtual reality hardwares, VR sickness come from latency is huge problem. To reduce latency, most of the HMDs use cable for video transmission. However, cable causes spatial limitation that disturb user experience. For maximize user's immersion, wireless video transmission system is necessary. Unfortunately, wireless video transmission's latency is much longer than cable's latency. Prediction algorithms may reduce latency but cause jittering effect as a side effect. This paper experiment how jittering effect affects VR sickness.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s jittering effect make vr sickness worse. Future research about prediction algorithm should consider both prediction error and jittering effect.

Performance Improving scheme Using Non-Sequencing Retransmissions over Wireless Links (무선링크에서 비순서적 재전송을 이용한 성능향상 방안)

  • 김낙현;강대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44-648
    • /
    • 2002
  •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프레임 에러율(FER: Frame Error Rates)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라디오링크 프로토콜(RLP: radio link protocol) 계층에서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기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에서 이동 호스트로 전송되는 국부적인 재전송 프레임(Frame)의 순서가 연속된 에러로 인하여 순서가 뒤바뀌고, 이로 인하여 기지국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잦은 재전송으로 발생되는 높은 상호지연을 줄이기 위해 개선된 비순서적 재전송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재전송방법 중 선택적 거절(selective-reject) ARQ의 비순서적 재전송에 수정한 빠른 재전승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지국과 이동호스트 사이에서 데이터그램(Datagram)의 단편화(fragment)로 인한 링크계층의 Re-Sequencing을 하지 않기 때문에, 종단간 지연된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 PDF

Trend of Integrated Backhaul and Fronthaul Transport Network Technologies for 5G Networks (5G를 위한 백홀 및 프로트홀 통합 전달망 기술동향)

  • Bae, J.S.;Choi, Y.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5
    • /
    • pp.59-69
    • /
    • 2016
  • 4G 대비 50배 이상의 최대 전송률, 1Gbps 이상의 사용자 체감 전송율, $10TB/s/km^2$의 단위 면적당 트래픽 용량, 1ms 이내의 전송 지연, $10^7/km^2$ 고연결 밀도 등의 핵심 성능 지표를 목표로 5G 기술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5G 성능 지표의 달성을 위해 스펙트럼 효율을 증가시키는 무선 전송 기술, 유연성 있는 스펙트럼 사용 기술, 초고주파 대역 활용 전송 기술, 밀집 소형셀 기술 등의 신기술이 무선 액세스망에 적용되고 있으나, 백홀, 미드홀 그리고 프론트홀 등의 전달망 구간에도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매우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할 새로운 해결책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링크 전송 기술과 SDN/NFV를 수용하면서 패킷 스위칭 통합 망을 향해 연구되고 있는 5G 전달망 기술동향을 기술한다.

  • PDF

A Priority Based AP Channel Allocation Scheme for Emergency Data Transmission in Wi-Fi Networks (Wi-Fi 환경에서의 응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 AP 채널 할당 기법)

  • Jo, In-Hee;Lee, Hyeop-Geon;Lee, Sang-Ji;Shi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651-654
    • /
    • 2011
  • Wi-Fi 는 스마트 네트워크 환경 구현을 위한 기반 분야로 다양한 분야 및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Wi-Fi 는 AP (Access Point)를 통해 보다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며, 여러 무선 단말기와 통신을 한다. 또한 Wi-Fi 는 DCF(Distributed Coordinate Functio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P 를 포함한 모든 무선 단말기에게 공평하게 채널을 할당한다. 그러나 AP 는 채널을 요청하는 하위 단말기에 대해 도착한 순서에 따라 채널을 할당하는 FIFS(First In First Service) 스케줄링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전송 지연이 발생하여 응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응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 AP 채널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전송하려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응급 데이터의 채널 요청 처리율을 높이고 채널 할당 지연시간을 감소시켜 응급 데이터 전송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A Study of limitation of Service Area by transmission delay in LMDS System (LMDS 시스템에서 전파지연시간이 서비스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두일;김동현최광주오성환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10a
    • /
    • pp.347-35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으로 각광받고 있는 LMDS(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ervice)시스템에서 Head-End 의 AIU(Air Interface Unit)와 HUB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전송지연 시간과 HUB 와 가입자 장치(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내의 NIU(Network Interface Unit)간의 전송 지연 시간에 의하여 서비스 반경이 제한되어 지는 것에 관하여 살펴보고 적절한 서비스 반경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