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류-전압법

Search Result 70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Bias enhanced HFCVD법에 의한 amorphous carbon whisker 증착

  • Kwon, Min-Chul;Kim, Yong;Lee, Jae-Yeol;Park, H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92-92
    • /
    • 2000
  • Ni을 coating 하지 않은 Si 기판에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기존의 아이아몬드 결정입자가 아닌 탄소 튜브와 유사한 whisker 형태의 탄소 막을 Hot filament CVD 법으로 증착하였다. 제작된 시료는 SEM, Raman, 그리고 XRD로 형상과 성분, 그리고 결정구조를 분석하여 전계 방출 소자로 이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계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Raman 스펙트럼에 의한 조사 결과 whisker의 구성성분은 비정질 흑연임을 확인하였다. 증착 시 바이어스 전압이 높아짐에 따라 whisker의 형태가 가늘고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CH4 농도와 기판 온도가 증가할수록 whisker의 지금이 커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방출전류밀도는 가늘고 긴 whisker 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NH3를 첨가한 결과 매우 뾰족한 원뿔의 형태로 증착되었으며 구동전압이 2 V/$\mu$m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whisker를 전계 방출 소자로 사용할 경우 구성성분이 흑연이며 그 형태가 침상 또는 원뿔이므로 구동전압이 낮아지고 방출 전류가 증가하는 등 향상된 전계 방출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Design of Battery Nominal Voltage for Single Phase Line-interactive Inverters considering Voltage Drop and DC Link Voltage Ripple (단상 계통연계 인버터의 전압손실과 직류링크 맥동을 고려한 배터리 공칭전압 설계)

  • Lee, Jinsung;Kim, Hyos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39-24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단상 계통연계 인버터의 전압손실과 직류링크측 맥동 전압을 고려한 배터리 공칭전압 설계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단상 계통연계 인버터는 3kWh 정도의 낮은 에너지용량을 갖는 배터리팩의 수명 관리상 배터리의 공칭전압은 48V정도로 낮게 설계된다. 단상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직류링크전압에는 필연적으로 기본주파수의 2배에 해당하는 맥동성분이 포함된다. 이 맥동성분은 계통연계시 전원측 전류에 저차 고조파를 생성하여 전력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직류링크측 맥동성분 간섭을 제거하기위한 피드포워드 제어방식을 채택한 단상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제어시스템을 수립하고, 인버터의 전압손실과 직류링크측 맥동전압을 고려한 배터리 공칭전압 설계법을 제안하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Electrochemical Analysis of Biosensor using Bio-MEMS Technologies for the Detection of Serotonin (바이오멤스기술을 이용한 세로토닌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 Yun, Dong-Hwa;Song, Min-Jung;Kim, Jong-Hoon;Min, Nam-Ki;Hong, Suk-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c
    • /
    • pp.1932-1934
    • /
    • 2003
  • 본 논문은 신경전달물질 중 우울증, 신부전증의 지표 물질인 세로토닌의 농도를 극미량의 시료를 사용하여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초소형 효소 고정화 전극을 개발하였다. 전극은 실리콘 웨이퍼 상에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Pt 박막 전극을 제작하였고,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pyrrole 단량체를 Pt 전극 상에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하여 산화적으로 전기 중합하였다. 효소의 고정은 일정 전압을 인가한 시간대 전류법으로 고정화하였다. 제작된 전극은 시간대 전류법으로 세로토닌의 농도에 따른 감도를 측정하였다. 세로토닌의 농도 범위 $1.0{\mu}mol/L{\sim}10mmol/L$에서의 감도는 $7.0{\mu}$A/decade를 나타내었으며, 실험결과에 따라 전극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류는 세로토닌의 농도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전극의 표면분석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X) 그리고 Auger Electron Spectroscopy(A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angmuir-Blodgett Monolayer Film for the Changes of Concentration with Polyamic Acid and Sphingomyelin Mixture (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의 농도 변화에 대한 단분자 LB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4
    • /
    • pp.754-760
    • /
    • 2013
  • We investigated an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Langmuir-Blodgett (LB) monolayer films of sphingomyelin(SP) and polyamic acid(PAA) mixture(1:1, 2:1 and 3:1 molar ratio). LB monolayer films of mixture was deposited by the LB method on the indium tin oxide(ITO) glass.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measured by cyclic voltammetry with three-electrode system in 0.1N $KClO_4$ solution. As a result, LB monolayer films of SP and PAA mixture was appeared on irreversible process caused by the reduction current from the cyclic voltammogram. Diffusion coefficient(D) in the SP and PAA mixture was calculated $2.670{\times}10^{-5}$, $3.562{\times}10^{-5}$ and $1.005{\times}10^{-5}cm^2s^{-1}$ at 1:1, 2:1 and 3:1 molar ratio, respectively.

A Study on the Stability of Ultra-Thin Film Mixed with Stearic Acid and Phospholipid (스테아르산과 인지질 혼합물의 농도변화에 대한 유기초박막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 Park,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2 no.4
    • /
    • pp.789-794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ability with respect to the Langmuir-Blodgett(LB) monolayer films of stearic acid and phospholipid(L-${\alpha}$-dimyristoylphosphatidyl choline, DMPC) mixture. LB films of stearic acid and DMPC monolayer were deposited by the LB method on the indium tin oxide(ITO) glass.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measured by cyclic voltammetry with three-electrode system in $0.05N\;NaClO_4$ solution, -0.3 V initial, 1650 mV switching potential and -1350 mV final potential. As a result, monolayer LB films of stearic acid and phospholipid mixture was appeared on irreversible process caused by the oxidation current from the cyclic voltammogram. Diffusion coefficient (D) of stearic acid and DMPC mixture(molar ratio 1:1, 1:2, 1:3) was calculated $1.4{\times}10^{-3}$, $1.7{\times}10^{-3}$ and $1.6{\times}10^{-3}(cm^2/s)$ in $0.05N\;NaClO_4$ solution, respectively.

A Study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angmuir-Blodgett Monolayer Film Mixed with Polyamic Acid and Sphingomyelin (인지질(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의 단분자 LB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1
    • /
    • pp.64-70
    • /
    • 2013
  • We investigated an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Langmuir-Blodgett (LB) monolayer films of sphingomyelin and polyamic acid(1:1 molar ratio) mixture. LB monolayer films of mixture was deposited by the LB method on the indium tin oxide(ITO) glass.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measured by cyclic voltammetry with three-electrode system in $KClO_4$ solution. The current of reduction and oxidation range was measured from 1650 mV to -1350 mV, continuously. The scan rates were 50, 100, 150, 200 and 250 mV/s, respectively. As a result, LB monolayer films of sphingomyelin and polyamic acid mixture was appeared on irreversible process caused by the reduction current from the cyclic voltammogram. Diffusion coefficient (D) in the sphingomyelin and polyamic acid mixture was calculated $2.67cm^2s^{-1}{\times}10^5$, $5.23cm^2s^{-1}{\times}10^6$ at 0.1 N and 0.2 N $KClO_4$ solutions, respectively.

Filter Design for Utility Interactive Inverters using Single-Phase Half-Bridge Topology (단상하프브릿지 구조를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필터인덕터 설계)

  • Kim, Hyo-S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2 no.5
    • /
    • pp.364-371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filter design for utility-interactive voltage-sourced PWM inverters built by single-phase half-bridge topology.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utility voltage and the ac output voltage of single-phase half-bridge inverters, the instantaneous voltage applied on the filter inductor is deduc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Moreover, switching ripple current through the filter inductor is calculated from the filter inductor voltage.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analysis, filter design method is proposed by evaluating the percentage of the switching ripple current against the rated fundamental current. Proposed filter design method is verifi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

Filter Design for Utility Interactive Inverters using Single-phase Full-bridge Topology (단상풀브릿지 구조를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필터인덕터 설계)

  • Kim, Hyo-S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2 no.4
    • /
    • pp.346-353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filter design for utility-interactive voltage-sourced PWM inverters built by single-phase full-bridge topology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utility voltage and the ac output voltage of single-phase half-bridge inverters, the instantaneous voltage applied on the filter inductor is deduc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Moreover, switching ripple current through the filter inductor is calculated from the filter inductor voltage.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analysis, filter design method is proposed by evaluating the percentage of the switching ripple current against the rated fundamental current. Proposed filter design method is verifi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

Analysis of the PN diode circuit under the transient condition with 2-dimensional mixed mode device-circuit simulator (2차원 혼합모드 소자-회로 시뮬레이터에 의한 PN 다이오드 회로의 과도상태 해석)

  • 이원호;이은구;김태한;김철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06a
    • /
    • pp.359-362
    • /
    • 1998
  • 2차원 혼합 모드 소자-회로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과도상태 해석의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1변수 muller 및 regular falsi법을 회로의 절점 전압과 분기(branch) 전류를 계산하는데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정확도와 유호성을 검증하기 위해 PN 다이오드의 양극(anode)에 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의 모의실험을 수행한 결과, MEDICI의 모의실험 결과에 비해 과도상태에서 전류 및 전압 특성은 각각 0.06%, 0.2% 오차 범위 한도 내에서 일치함을 보였다.

  • PDF

Power Control of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s for Wind Power Generation under Unbalanced Grid Voltage (불평형 계통전압시 풍력발전용 이중여자 유도발전기의 전력제어)

  • Jang Jeong-Ik;Lee Dong-C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274-276
    • /
    • 2006
  • 본 논문은 계통전압 불평형시 풍력발전용 DFIG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맥동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한다. 발전기 토크식을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정상분과 역상분의 전류로 표현하고 토크 맥동을 제거하기 위한 회전자 역상분의 지령전류를 유도한다. PSCAD/EMDTC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