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도 내성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4초

Classic McEliece 공개키 생성 양자회로 구현 (Implementation of Classic McEliece Public Key Generation Quantum Circuit)

  • 오유진;장경배;임세진;서화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9-182
    • /
    • 2023
  • 양자 알고리즘인 Shor 알고리즘으로 공개키 암호의 보안성이 붕괴됨에 따라 NIST는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진행하였다. 또한 암호시스템의 양자 후 보안을 위해, 양자 컴퓨터상에서 암호 알고리즘들을 미리 구현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NIST 양자내성암호 공모전 Round 4의 후보 알고리즘인 Classic McEliece의 공개키 생성 양자 회로 구현을 제시하고 회로에 필요한 양자 자원을 추정한다.

환자(患者)에서 분리(分離)한 Enterococcus의 약제내성(藥劑耐性)과 R Plasmid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 of Enterococcus Isolated from Patients)

  • 이헌구;하대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6
    • /
    • 1978
  • 환자(患者)로부터 분리(分離)한 103주(株)의 장구균(腸球菌)을 대상(對象)으로 항생제감수성검사(抗生劑感受性檢査)와 더불어 R plasmid에 의(依)한 약제내성전달(藥劑耐性傳達)을 실험(實驗)하였다. 전(全) 균주(菌株)에 대(對)한 MIC는 ampicillin이 $4{\mu}g/ml$로 가장 낮았으며 rifampin이 $16{\mu}g/ml$, amikacin과 chloramphenicol이 공(共)히 $125{\mu}g/ml$, tetracyclin이 $250{\mu}g/ml$이었고 분리균주(分離菌株) 중(中) $2,000{\mu}g/ml$ 고농도(高濃度)의 GM, KM 및 SM에 내성(耐性)을 보인 균주(菌株)는 각각(各各) 19주(株)(18.5.%), 27주(株)(26.2%) 그리고 22주(株)(21.4%)이었다. 가검물별(可檢物別) 분리균주(分離菌株)의 약제내성도(藥劑耐性度)는 뇨(尿)에서 분리(分離)된 균(菌)의 내성도(耐性度)가 가장 높았으며 각(各) 항생제(抗生劑)에 대(對)한 균종(菌種)의 약제내성도(藥劑耐性度)는 S. zymogenes의 내성도(耐性度)가 ampicillin과 rifampin을 제외(除外)한 기타(其他) 약제(藥劑)에 대(對)해 가장 높았다. 다제약제내성(多劑藥劑耐性)을 보인 28주중(株中) 17주(株)(61%)가 내성유형(耐性類型)의 일부(一部) 또는 전부(全部)를 전달(傳達)하였으며 이 중(中) 2주(株)만이 그 유형(類型)의 전부(全部)를 전달(傳達)하였고 내성전달빈도(耐性傳達頻度)는 $2{\times}10^{-4}-2{\times}10^{-6}%$이었다. 이상(以上)의 실험결과(實驗結果) 저자(著者)들은 우리나라에서 분리(分離)된 장구균(腸球菌)이 수종(數種)의 항생제(抗生劑)에 내성(耐性)이며 장구균(腸球菌)에 있어서도 약제내성전달(藥劑耐性傳達)이 R plasmid에 의(依)해 이루어짐을 결론(結論)지을 수 있었다.

  • PDF

양자내성암호를 활용한 경량 보안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a Lightweight Security Protocol Using Post Quantum Cryptography)

  • 장경배;심민주;서화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9권8호
    • /
    • pp.165-170
    • /
    • 2020
  • IoT (Internet of Things) 시대가 활성화되면서 개인정보를 포함한 많은 정보들이 IoT 디바이스들을 통해 전달되고 있다. 정보보호를 위해 디바이스끼리 상호 암호화하여 통신하는 것이 중요하며 IoT 디바이스 특성상, 성능의 제한으로 인해 경량 보안 프로토콜 사용이 요구된다. 현재 보안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암호 기법들은 대부분 RSA, ECC (Elliptic Curve Cryptography)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고사양의 양자 컴퓨터가 개발되고 쇼어 알고리즘을 활용한다면 앞선 RSA와 ECC가 근거하는 안정성의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양자 컴퓨터의 계산능력에 내성을 가지는 보안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미국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진행중인 코드기반암호 ROLLO를 사용하였으며, IoT 디바이스끼리의 상호 통신을 위해 연산 소모가 적은 해시, XOR연산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프로토콜과 기존 프로토콜의 비교 분석 및 안전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SIKE에서의 최신 마스킹 대응기법에 대한 딥러닝 기반 부채널 전력 분석 (Deep Learning Based Side-Channel Analysis for Recent Masking Countermeasure on SIKE)

  • 임우상;장재영;김현일;서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151-164
    • /
    • 2023
  • 최근 양자 컴퓨터의 개발은 현재 사용 중인 이산대수 문제나 인수분해 문제 기반의 공개키 암호에 큰 위협이 되므로, 이에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는 현재 컴퓨팅 환경 및 도래하는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모두 구현이 가능한 양자내성암호를 위해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NIST 양자내성암호 공모전 4라운드에 진출한 SIKE(Supersingular Isogeny Key Encapsulation)는 유일한 Isogeny 기반의 암호로써, 동일한 안전성을 갖는 다른 양자내성암호에 비해 짧은 공개키를 갖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암호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 SIKE를 포함한 모든 양자내성암호는 현존하는 암호분석에 반드시 안전해야만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IKE에 대한 전력 분석 기반 암호분석 기술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웨이블릿 변환 및 딥러닝 기반 클러스터링 전력 분석을 통해 SIKE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존하는 클러스터링 전력 분석 기법의 정확도를 50% 내외로 방어하는 마스킹 대응기법이 적용된 SIKE에 대해 100%에 가까운 분석 성공률을 보였으며, 이는 현존하는 SIKE 기법에 대한 가장 강력한 공격임을 확인하였다.

대장균(大腸菌)의 항균제내성(抗菌劑耐性) 및 전달성(傳達性) Plasmid (Antimicrobial Drug Resistance and Transferable Resistance Plasmid in Escherichia coli)

  • 조동택;전도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1-34
    • /
    • 1982
  • 각종질환(各種疾患)으로 입원(入院)하여 항균제투여(抗菌劑投與)를 받은 환자(患者)와 최근(最近) 1개월간(個月間) 항균제(抗菌劑)를 투여(投與)받지 않은 학생(學生) 각(各) 60명(名)의 대변(大便)을 배양(培養)하여 각각(各各) 121주(株), 합계(合計) 242주(株)의 대장균(大腸菌)을 얻어 12종(種)의 항균제(抗菌제劑)에 대한 내성양상(耐性樣相)을 조사(調査)하였다. 내성빈도(耐性頻度)를 보면 tetracycline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이 68.2%로 가장 많았고 streptomycin(Sm) 61.2%, sulfisomidine(Su) 50%, chtoramphenicol(Cm) 40.9%, ampicillin(Ap) 40.1%, carbenicillin(Cb), 39.3%의 순(順)으로 내성균(耐性菌)의 비율(比率)이 낮아졌고 kanafnycin(Km) cephaleridine(Cr) 및 trimethoprim(Tp)에 내성(耐性)인 균(菌)은 약(約) 1/4이었고 nalidixicacid, gentamicin 및 amikacin에는 4주(株)씩 만이 내성(耐性)이고 rifampicin에 내성(耐性)인 균(菌)은 없었다. 환자유래균(患者由來菌)과 학생유래균(學生由來菌)을 비교(比較)하여 보면 Cm, Ap, Km, Cr 또는 Cb 내성(耐性)은 환자유래균(患者由來菌)에서 학생유래균(學生由來菌)보다 월등(越等)히 많았으며 Sm, Su 또는 Tp 내성균(耐性菌)도 다소(多少) 많았으나 기타(其他) 항균제(抗菌劑)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에서는 차이(差異)를 볼 수 없었다. 내성균(耐性菌)과 감수성균(感受性菌)에 대(對)한 각(各) 항균제(抗菌劑)의 최소(最少) 발육저지농도(發育阻止濃度)에는 큰 차이(差異)가 있어서 이들 내성(耐性)이 주(主)로 R plasmid에 유래(由來)함을 시사(示唆)하였다. 공시균(供試菌)의 76%가 $1{\sim}10$제(劑)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이었는데 4제(劑) 이상(以上)의 항균제(抗菌劑)에 내성(耐性)인 균(菌)은 환자유래균(患者由來菌)에서 학생유래균(學生由來菌)에서 보다 많았으며 다약제내성(多藥劑耐性)일수록 환자유래균(患者由來菌)에서 많았다. 2제(劑) 이상(以上)의 항균제(抗菌劑)에 내성(耐性)인 균(菌)에 접합(接合)에 의한 내성전달(耐性傳達)을 145주중(株中) 98주(株)(67.5%)가 내성(耐性)을 전달(傳達)하였으며 7제(劑) 이상(以上)에 내성(耐性)인 균(菌)은 1주(株)를 제외(除外)한 전부(全部)(73주(株))가 그 내성(耐性)을 피전달균(被博達菌)에 전달(傳達)시켰고 다약제내성(多藥劑耐性)의 약제수(藥劑數)가 적을수록 전달성내성(傳達性耐性)을 가진 균(菌)이 적었다. 전달(傳達)되는 내성양상(耐性樣相)은 내성균주(耐性菌株)에 따라 다르며 피전달균(被博達菌)에 따라서도 달랐다. 임의(任意)로 선택(選擇)한 P13균주(菌株)의 R plasmid의 비적합성군(非適合性群)을 보았던바, 이 plasmid는 F II군(群)에 속(屬)함이 판명(判明)되었다. Gel electrophoresis에 의하여 대장균(大腸菌) R plasmid DNA의 형광대(螢光帶)를 증명(證明)할 수 있었다.

  • PDF

열, 살균소독제, 항생제에 의한 분리 Cronobacter spp. (Enterobacter sakazakii) 제어 (Biocontrol of Isolated Cronobacter spp. (Enterobacter sakazakii) by Heat, Sanitizer, and Antibiotic)

  • 이은진;박종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9-486
    • /
    • 2010
  • 국내의 건조분말 식품에서 분리한 Cronobacter spp.의 건조내성에 따른 열, 살균소독제, 항생제에 대한 내성특성 분석하여 Cronobacter spp.을 제어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분리된 37개의 건조저항 균주, 7개의 건조민감 균주, 그리고 68개의 중간그룹의 균주 총 112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건조내성을 가지고 있는 Cronobacter spp.는 열에 대해서도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제분유등의 건조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살아남은 Cronobacter spp.는 열 스트레스에서도 높은 내성을 보일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살균소독제를 이용한 Cronobacter spp.의 제어효능은 sodium hypochlorite는 15-25 ppm와 benzalkonium chloride는 5-15 ppm 농도에서 5 log CFU/mL 살균 효과가 있었다. Albumin으로 3%(w/v)오염시킨 부유세균의 살균력은 건조내성 균주와 건조민감 균주 모두에서 오염전과 비슷하여 유기물 오염상태에서도 살균소독제 효능에는 큰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항생제 내성은 $\beta$-lactam 계열의 ampicillin에 대하여 약 90% 분리주가 64-128 ppm의 농도에서 최소저해 농도를 보여 주었다. Aminoglycoside 계열의 kanamycin과 Gram(-) spectrum의 nalidixic acid에서 4 ppm의 가장 낮은 내성을 보였다. 건조민감 균주과 건조내성 균주의 최소저해농도 경우 전반적으로 모든 항생제에 대해서 건조 내성이 높은 균주가 더 큰 항생제 내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리 Cronobacter spp.의 건조내성이 열과 항생제의 저항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조제분유와 같은 분말식품과 그 원료의 오염 Cronobacter spp.의 살균제어에 더 강력한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xyfluorfen 내성 수도품종의 Ethylene 발생 및 세포막삼투성 차이 (Differential Response in Ethylene Evolution and Membrane Permeability Between Rice Cultivars as Affected by Oxyfluorfen)

  • 구자옥;이영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5-379
    • /
    • 1988
  • Oxyfluorfen에 내성차이가 있는 것으로 기히 선발된 수도 두 품종(내성 : Chokoto, 감수성 : Weld Pally)을 공시하여 약해반응차이의 근거를 찾을 목적으로 ethylene 발생과 엽록소 함량변화 및 전해질 누출에 의한 세포막 삼투성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Oxyfluorfen $10^{-5}$M 처리의 경우, 감수성 품종은 내성보다 신속하고 않은 ethylene 방출현상을 보였구 $10^{-4}$ M 처리에서는 두 품종간의 ethylene 방출량에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Oxyfluorfen $10^{-6}$ M에서는 두 품종 모두 chorophyll함량차이가 없었으나 $10^{-5}$~$10^{-4}$ M에서는 감수성품종이 내성품종에 비하여 반감하였고, $10^{-3}$ M에서는 품종 차이없이 chlorophyll의 완전분해가 일어나는 양상이었다. 3.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전도도 증가 반응 및 품종간 차이는 $10^{-4}$ ~$10^{-3}$ M에서 일어났으며 , 감수성 품종이 내성품종보다 무처리대비하여 약 10% 정도 전해질 누출이 높은 경향이었다.

  • PDF

Ciprofloxacin 내성 대장균에서 Sequence Type과 Fluoroquinolone 내성의 분석 (Analysis of Sequence Type and Fluoroquinolone Resistance in Ciprofloxacin-Resistant Escherichia coli)

  • 조혜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7-224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fluoroquinolone (FQ) 내성 그람음성균이 출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에서 FQ 내성 E. coli의 증가 추세는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8년 6월부터 12월까지 대전지역의 3차 병원에서 분리된 ciprofloxacin 내성 E. coli 56균주를 대상으로, 역학관계와 FQ 내성 결정인자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역학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을 실시하였다. PCR과 염기서열 분석은 gyrA, gyrB, parC, parE 유전자의 QRDR에서 염색체상의 돌연변이와 aac(6)-Ib-cr, qepA, qnrA, qnrB, qnrC, qnrD 및 qnrS와 같은 PMQR 유전자의 빈도를 확인하였다. MLST 분석 결과, 12개의 ST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가장 우세한 ST는 ST131 (31/56, 55.4%)이었고, 순차적으로 ST1193 (13/56, 23.2%), ST405 (3/56, 5.4%)의 결과를 보였다. ciprofloxacin 내성 E. coli 56균주 중 gyrA 유전자에서 83번째 아미노산인 serine (S)이 leucine (L)으로, 87번째 아미노산인 aspartic acid (D)가 asparagine (N)으로 치환되고, parC 유전자에서 80번째 아미노산인 serine (S)이 isoleucine (I)으로, 84번째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 (E)가 valine (V)으로 치환된 결과(29/56, 51.8%)가 가장 빈번하게 확인되었고, aac(6)-Ib-cr (19/56, 33.9%)은 가장 흔한 PMQR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FQ 내성 결정인자의 결과는 다른 클론과 비교하여 ST131에서 더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ciprofloxacin 내성 E. coli 균주에 대한 역학적 특성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FQ 내성 결정인자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