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단변형효과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1초

변환각 트러스 모델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전단거동 예측 (Shear Behavior Predic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sing Transformation Angle Truss Model)

  • 김상우;채희대;이정윤;이범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35-4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휨모멘트와 축력의 효과가 고려된 변환각 트러스 모델(TATM)을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전단거동을 예측하였다. TATM의 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단경간비와 축력비를 가지는 총 9개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전단 실험하였다.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곡률, 축변형 및 전단변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둥 옆면 전단위험단면을 중심으로 5개의 변위변환기(LVDT)를 설치하였다. 하중은 최대하중의 $85\%$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가력하였으며, 모든 실험체는 휨 철근의 항복이전에 전단파괴 되었다. 기둥의 전단강도와 강성은 축 하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전단경간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ATM으로부터 얻은 전단응력-전단변형률 관계와 전단응력-전단철근변형률 관계는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기존의 트러스 모델(MCFT, RA-STM, FA-STM)보다 더 우수하였다.

일차전단변형이론을 이용한 복합재료 적층평판의 효율적 열응력 해석 (Efficient Thermal Stress Analysis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using Enhanced First-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 한장우;김준식;조맹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505-51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일차전단변형 평판 이론(FSDT)의 개선을 통한 복합재료 적층평판의 효율적 열응력 해석 기법을 제안한다. 횡방향 응력 성분에 대해서만 변분을 취하는 혼합변분이론(Mixed variational theorem)을 이용하여 횡방향 변형에너지를 개선하였다. 가정된 횡방향 전단응력 성분들은 효율적 고차이론으로부터 구하였으며, 면내 변위 성분들은 일차적층평판 이론의 변위장을 사용하였다. 또한, 열응력 해석에 있어서 횡방향 수직 변형을 효과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 횡방향 수직 변위를 두께방향에 대하여 포물선으로 가정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전단변형 에너지를 본 논문에서는 횡방향 수직 변형이 고려된 개선된 일차전단변형이론(EFSDTM_TN)이라고 명명하였다. 제안된 EFSDTM_TN은 복합재료 적층평판의 열탄성 거동을 해석함에 있어서 횡방향 수직 변형이 고려된 일차전단변형 평판 이론(FSDT_TN)과 비슷한 수준의 계산만을 필요로 하며, 동시에 후처리 과정을 통하여 열변형 및 열응력의 두께방향 분포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계산된 결과는 FSDT_TN, 3차원 탄성해 등의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공내재하시험기를 이용한 미소변형 전단탄성계수 측정 (Measurement of Small-Strain Shear Modulus Using Pressuremeter Test)

  • 김동수;박재영;이원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4호
    • /
    • pp.109-120
    • /
    • 1997
  • 공용하중 상태에서 지반이 경험하는 변형률 크기는 0.1~1% 미만임이 밝혀지고 있다. 변형특성을 보다 엄밀히 평가하기 위하여는 미소변형률 영역에서의 신뢰성 있는 변형측정이 가능한 현장시험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내째하시험기(PMT)를 사용하여 지반의 미소변형률 전단탄성계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공내재하시험에서 시추공 설치에 따른 주위 지반의 교란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초기 하중재하단계가 아닌 역재하-재재하 단계에서 PMT 주위지 반의 응력상태 및 변형률 크기를 고려하여 미소변형률 잔단탄성계수를 결정하였다. 실내 토조에서 성형한 모래시료와 화강풍화토 현장지반에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시험결과로부터 본 연구 에서 사용한 PMT시험은 변형률 크기 10-2%~0.5% 범위에서 신뢰성 있는 전단탄성계수 측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변형률 크기를 고려하여 다른 실내외시험에서 결정된 전단탄성계수와 비교 하면 서로 잘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2개 매개변수를 갖는 탄성지반위에 놓인 복합재료 적층판의 점탄성적 휨, 진동 좌굴해석 (Viscoelastic Bending, Vibration and Buckling Analysis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on Two-parameter Elastic Foundation)

  • 한성천;장석윤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43-455
    • /
    • 2001
  • 전단 층을 갖는 2개 매개변수 탄성지반 위에 놓인 복합재료 적층판에서 휨 진동 및 좌굴해석을 위해 에너지 방법을 사용해 탄성해를 구하였다. 복합재료 적층판의 점탄성 해석은 유사-탄성방법을 사용해 탄성해를 구하였다. 전단에 의한 효과는 3창 전단변형이론을 적용하여 고려하였다. 유도된 식들을 검증하기 위해 LUSAS 프로그램에 의한 탄성지반위에 놓인 이방성 판의 처짐과 비교하였다. 점탄성 휨 진동 및 좌굴해석에 관한 수치해석결과들은 적층순서, 적층 수 재료 비등방성과 전단지반계수 등에 따른 효과를 보여 준다.

  • PDF

적층고무베어링과 납-고무베어링의 내진 성능에 관한 실험적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 and Lead-Rubber Bearing)

  • 김대곤;이상훈;김대영;박칠림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53-62
    • /
    • 1998
  • 구조물의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해 현재 종종 사용되어지고 있는 기초분리장치인 적층고베어링과 납-고무 베어링의 내진성능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였다 베어링의 전단 변형률 또는 가해진 수직 하중이 클수록 베어링의 전단 강성은 감소하며 가력 속도에 대한 영향을 무시할 만하다. 베어링은 순수압축력에는 강하며 인장력에는 그 반대이다.

  • PDF

고차전단변형을 고려한 적층복합판 및 쉘의 열-습윤 휨해석 (Hygrothermal Bending Analysis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and Shells Considering a Higher-order Shear Deformation)

  • 한성천;윤석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7-44
    • /
    • 1999
  • 비등방성으로 적층된 복합판 및 쉘구조물에서 온도와 습도의 급격한 변화는 구조물의 강도와 성능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더욱이 하중에 의한 역학적 변위와 조합될 때에는 좌굴, 대변형 혹은 고응력 상태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 퓨리에급수를 이용하여 3차의 전단변형함수로 가정된 평형방정석을 전개하고 폭-두께비, 형상비의 변화 그리고 재료의 성질에 따른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비국소 탄성 이론을 이용한 나노 판의 휨 및 자유진동해석 (Nonlocal elasticity theory for bending and free vibration analysis of nano plates)

  • 이원홍;한성천;박원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207-321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차 전단변형이론이 고려된 비국소 탄성 이론을 이용한 나노 판의 휨 및 진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국소 탄성 이론은 미소 규모 효과를 고려할 수 있고 3차원 전단변형이론은 나노 판의 두께방향으로의 전단 변형률과 전단응력의 곡선변화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이론을 이용하여 나노 판의 처짐과 고유진동수에 미치는 비국소 이론의 효과를 제시하였다. 국소 탄성이론과의 관계를 수치해석 결과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i) 비국소 계수, (ii) 나노 판의 적층형태, (iii) 나노 판의 보강 방향 그리고 (iv) 나노 판의 적층 수 등이 나노 판의 무차원 처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참고문헌의 결과들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해석결과는 참고문헌의 결과들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국소 이론에 의한 나노 판의 처짐에 관한 연구는 향후 관련연구에 비교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강섬유 보강 기둥의 강도 및 변형 특성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lumns)

  • 장극관;이현호;양승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49-57
    • /
    • 2002
  • 합성재료중 강섬유(Steel fiber)로 보강된 콘크리트는 보강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하여 전단, 휨, 피로강도 증진 및 균열제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전단에 대한 강섬유 보강효과는 취성적인 전단파괴에서의 안정적인 휨 파괴로의 파괴 양상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결과 및 총 10개의 실험체를 대상으로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강섬유의 전단보강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강섬유 혼입율 1.5 %에서 전단강도 증진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연성능력의 증진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강도 및 연성능력 증진에 비하여 강성 및 에너지 소산 능력에 대한 강섬유 보강효과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탄성지반위에 놓인 S형상 점진기능재료(FGM)판의 동적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ynamic Instability for Sigmoid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Plates on Elastic Foundation)

  • 이원홍;한성천;박원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85-92
    • /
    • 2015
  • 탄성지반위에 놓인 S형상 점진기능재료 고차전단변형 판의 동적 불안정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고차전단변형이론은 점진기능재료 판의 두께방향으로의 전단변형률과 전단응력의 곡선변화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 Mathieu-Hill 방정식의 형태로 유도된 지배방정식에서 Bolotin 방법을 이용하여 동적 불안정 영역을 결정하였다. 동적 불안정 영역의 경계는 동적 하중과 여기진동수와의 관계로 나타내었다. 고차전단변형이론과 탄성지반 효과가 S형상 점진기능재료 판의 동적 불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하였다. Winkler와 Pasternak탄성지반 매개변수의 관계를 수치해석 결과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정적 하중계수, 거듭제곱 지수 그리고 폭-두께비 등의 동적 불안정 영역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참고문헌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발전과 수치결과들은 S형상 점진기능재료 구조물의 동적 불안정 해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복합재 구조물의 초기파손후의 거동묘사를 위한 모델과 해석방법 (Model and Method for Post-Failure Analysis of Composite Structure)

  • 김용완;황창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06-51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 구조물에 대하여 유한요소해석법에 현상학적 모델인 전 단지연해석을 도입하여 강성저하와 모재파손을 예측하고 변형률을 매개변수로 한 Wei- bull 함수를 섬유파손해석에 도입하여 초기파손후의 거동을 묘사하고자 한다. 그리 고 면내전단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전단지연해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모델링을 확장했다. 모재균열의 존재로 인한 단층의 강성변화는 실험으로 측정이 불가능하므 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이 모델로부터 전단강성의 저하를 평가하 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모재파손의 밀도 예측도 평균변형률 개념으로 전단효과를 고 려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그리고 초기파손후의 거동을 점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비선형 유한요소프그램을 작성하고, 상기의 모델을 도입하여 초기파손후의 거동을 보 다 정확히 묘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예로서 평시편에 대해 해석하고 실험치 및 타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