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 자동차 배터리

Search Result 34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the Impedance Spectroscopy Instrument to Evaluate the Residual Useful Life of a Used Battery Module (폐배터리 모듈의 잔존수명 평가를 위한 임피던스 스펙트럼 측정 장치 개발)

  • Lee, Seungjune;Farooq, Farhan;Khan, Asad;Choi, Woo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195-197
    • /
    • 2019
  • 자동차용 배터리는 초기 용량의 80% 이하가 되면 교체하게 되며, 근간 폐배터리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폐배터리의 폐기로 인한 환경 파괴를 방지하고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서 자동차에서 나오는 폐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재사용 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폐배터리를 ESS로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폐배터리 모듈의 그레이딩을 통해 비슷한 성능의 모듈끼리 모아서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배터리 모듈 간의 불균형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따라서 비슷한 성능과 잔존 수명을 가진 모듈을 골라내는 일은 폐배터리의 재사용에 있어서 첫 번째 선결 과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배터리의 상태 및 잔존수명평가를 위해 배터리 모듈의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였다. 폐배터리 모듈에 AC 섭동을 인가하고 이를 측정하여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계산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 장비는 60V이하의 폐배터리 모듈의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0.1Hz에서 1kHz까지 측정 가능하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커브 피팅을 통해 등가회로의 파라미터도 계산할 수 있다. SM3에서 얻어진 폐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한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상용장비인 BIM2로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고, Reduced Chi-Square를 이용한 분석결과 두 데이터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ower Flow Control and Optimal Fuel Efficiency Control for a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 (직렬형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최적 연비 제어 및 전력제어)

  • Yoo, Hyun-Jae;Sul, Seung-Ki;Kim, Sang-Min;Park, Yo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11a
    • /
    • pp.75-7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엔진, 발전기, 견인 전동기, 배터리, 전력 변환기로 구성된 직렬형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최적 효율 운전 및 통합 전력제어에 관해 논의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엔진은 최적 효율 운전을 위해 부하에 따라 가변속(Variable Speed) 운전되며, 속도를 가변하여도 필요한 전력을 순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가 요구하는 다양하고 순시적인 전력의 변동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엔진의 연료 효율 및 배터리의 수명을 고려하여 엔진과 배터리의 전력을 적절히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 통합 전력제어 방법에 관해서도 논의한다. 제안된 통합 전력제어 알고리즘의 유용성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controller for lithium-ion battery of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제어를 위한 제어기 개발)

  • Cho, Sebong;Hong, Hyunju;Jeon, Ywun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96.2-96.2
    • /
    • 2010
  • EV(Electric Vehicle) 차량에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은 모터에 공급되는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VCU(Vehicle Control Unit)에 전송하게 된다. VCU에서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모터 구동 전략을 수립하여 각 제어기에 전송하게 된다. 위와 같이 EV에서 배터리 충전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한다면, 모터 구동을 위한 전략 수립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정확한 배터리 충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각 셀의 전압/전류/온도 등을 측정하여 연산에 의해 결정된다. 그 중 셀 전압 측정 방식은 Photomos relay를 이용한 방식으로 하드웨어적인 오차에 ${\pm}$수십mV보다 더둑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셀 전압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신규로 개발된 battery monitoring IC를 이용한 BMS의 H/W 개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또한, Monitoring IC를 이용한 BMS의 셀 전압 측정 정밀도를 얼마나 개선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LLC resonant converter in Distributed Parallel-cell Charging-discharging System for Retired Battery. (폐배터리를 위한 병렬형 분산형 충방전기의 LLC 공진형 컨버터)

  • Kim, Kyoung-tak;Park, Joung-h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108-109
    • /
    • 2017
  •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로 인해 2018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폐배터리가 다량으로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어 폐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간 규격이나 수명, 상태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셀밸런싱 시스템이 필수로 요구된다. 기존에는 이러한 시스템으로 직렬형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지만 모듈화나 신뢰성 등 시스템이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스템과 차별화 된 분산 충 방전 병렬 시스템을 제안하고 그에 사용되는 전력조절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Heat transfer analysis in the battery tray for electirc vehicle (전기자동차 배터리 트레이 내에서의 열전달 해석)

  • Lim Jongsoo;shin Dongshi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2.08a
    • /
    • pp.651-654
    • /
    • 2002
  • Study of electric vehicle is popular with automobile company. However, battery cooling problem has delayed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 Lifetime of electric vehicle's battery depends on the cooling effect for the battery tray. One model was simulated by 3-D, steady state, incompressible, k-e turbulent model simulation. It is found that flow inlet, outlet and inlet position are very important design parameter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A for a Power Supply of Electrical Vehicle (전기자동차의 전력공급을 위한 PRA 설계 및 구현)

  • Chai, Yong-Y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7
    • /
    • pp.653-658
    • /
    • 2016
  • As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relay and its driving control method, it explains about the relay which connects or interrupts the DC high voltage battery's power to drive the electric car's inverter. The paper suggests a sub-relay which prevents strong sparks from relay's contact point when the relay connects to the DC high voltage battery and also compensates for the increasing internal resistance value that is caused by deterioration at contact point. The relay's rated power is approximately 10KW and the relay's electric property has been verified through electrical instantaneous power short test, etc.

Computational Design of Battery System for Automotive Applications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전산설계기술)

  • Jung, Seunghun
    • Journal of Institute of Convergence Technology
    • /
    • v.10 no.1
    • /
    • pp.37-40
    • /
    • 2020
  • Automotive battery system consists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battery cells, mechanical structures, cooling system, and control system. Recently, various computational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develop an automotive battery system. Physics-based cell modeling is used for designing a new battery cell by conducting optimization of material selection and composition in electrodes. Structural analy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signing a protective system of battery system from mechanical shock and vibration. Thermal modeling is used in development of thermal management system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battery cells in safe range. Finally, vehicle simul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electric vehicle with the developed battery system.

PMSM Voltage Control of Electric Vehicles for High Energy Recovery (높은 에너지 회수를 위한 전기자동차용 PMSM 전압제어)

  • Jung, sung-chul;Lee, ik-sun;Ko,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152-15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회수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PMSM(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으로부터 발생된 전압을 제어하는 방법을 다룰 것이다. 이 방법은 PMSM의 제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회생하기 위해 L-C 공진회로를 구성하고 배터리에 많이 충전할 수 있도록 전압을 제어한다. 일반적인 전기자동차의 경우 회생된 큰 전압이 배터리에 들어가 망가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회로를 끊어주어서 그 큰 전압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러한 회생된 큰 전압으로 제어하여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회수율이 증가하고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L-C 공진회로에서 FET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기의 구동 펄스에 따른 전압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압은 듀티에 따라 변해 PI 제어기를 통한 듀티 제어를 하는 전압제어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Matlab Simulink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Modeling of the charge and discharge behavior of the 2S2P(2 series-2 parallel) AGM battery system for commercial vehicles (상용자동차용 직·병렬 AGM 배터리 시스템의 충·방전 거동 모델링)

  • Lee, Jeongbin;Kim, Ui Seong;Yi, Jae-Shin;Shin, Chee Burm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1 no.4
    • /
    • pp.346-355
    • /
    • 2012
  • Recent in the world environmental issues and energy depletion problems have been received attention. 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use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Therefore, the interest in HEV technology is higher than ever before. Viable candidates for the energy-storage systems in HEV applications may be absorbent glass mat (AGM) lead-acid, nickel-metal-hydride (Ni-MH)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The AGM battery has advantages in terms of relatively low cost, high charge efficiency, low self-discharge, low maintenance requirements and safety as compared to the other batteries. In order to implement HEV system in required more electric power commercial vehicles AGM batteries was connected to 2 series-2 parallels (2S2P). In this study, a one-dimensional modeling is carried-out to predict the behaviors of 2S2P AGM batteries system during charge and discharge. The model accounts for electrochemical reaction rates, charge conservation and mass transport. In order to validate the model, modeling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ly measured data in various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