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극 교환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Present and the Prospects for Batteries (전지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 이주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9.10a
    • /
    • pp.1-2
    • /
    • 1999
  • 시간과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는 양질의 음성, 화상, 문자정보의 교환을 위한 노력으로 디지털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음성과 문자정보의 교환분야에 커다란 진보를 이룩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휴대폰이 음성정보에 문자정보교환이 추가된 상황이기 때문에, 아직도 관련 정보교환기술 및 기기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의 기능을 통합하고 화상정보까지 결합된 휴대용 정보기기를 위해서는 전자회로의 집적화 및 통신속도 증대가 필수적이다. 또한 이들 휴대용 정보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도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현재 전원으로 사용되는 2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더욱 증패된 전지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내연기관의 배기에 의해 발생되는 환정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중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전기자동차에 2차전지를 장착하기 위해서 경제성이 있고, 고속충전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높은 고에너지 밀도의 2차 전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2차전지는 음극재료나 양극재료에 따라 낚축전지, 니켈/카드륨(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라륨 2 차전지등이 있으며, 전극재료의 고유특성에 의해 전위와 애너지 밀도가 결정된다. 특히 리튬 2차전지는 리튬의 낮은 산화환원전위와 분자량으로 인해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동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튬 2차전지는 음극 재료가 금속리튬인 경우는 리튬금속으로, 탄소재료인 경우는 리튬이온이라 하며, 한편으로 전해질이 고체 고분자이거나 혹은 역체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고분자와 혼성시킨 겔(gel)인 경우는 고분자로, 전해짙이 리튬염이 전리되어 있는 유동성 액체일 경우는 고분자를 생략하여 구분하고 있다. 즉 리튬금속 2 차전지(LB), 리튬이온 2 차전지(LIB), 리튬금속 고분자 2차전지(LPB), 리튬 이온 고분자 2차전지(LIPB)로 크게 구분된다. 금속리듐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전해질로는 리튬염이 전리되어 있는 액체유기용매 를 사용한 리튬금속 2차전지는, 금속리튬전극이 충방전 과정을 반복하면서, 전리된 리튬이 균일하게 산화환원되지 못하고 표변에서 양극방향으로 성장하는 수지상 (dendrite) 현상으로 인해 안전성 확보에 문게가 있었다. 리튬과 알루미늄 합금형태로 음극에 사용한 동전형 전지는 상용화 되었지만,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리튬이온이 금속으로 석활되는 환원반응전위보다 높은 전위에서 전극재료가 충전되면서 리튬이온이 저장되고, 방전되면서 배출되는 탄소를 음극재료로, 그리고 리튬이온이 충방 전시 가역적으로 삼입 탈리되는 층상의 리튬금속산화물을 양극으로 구성하고, 엑체 전해질과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사용한 것이 LIB이다. LIB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이 가능한 액체전해질의 가능을 고분자 전해질이 대신함으로서 보다 높은 안정성을 확보 한 전지가 LIPB 이다. 또한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금속리튬상에서의 수지상 성장이 저하되는 현상이 관찰됨으로서, 이론용량이 3,860mAh/g 에 달하는 리튬금속 혹은 합금을 고분자 전지에서 음극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2 차전지가 LPB 이다. 리튬 2차전지는 비록 1989년 액체전해질을 사용한 금속리튬 2차전지의 실패전력을 안고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론적으로 최대의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는 LPB를 지 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까운 장래에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향후의 라튬 2차전지의 전개방향은 현재의 LIB를 고분자 전해질을 채용하는 LIPB로 진행시커면서 저가의 전극재료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리튬 2차전지는 소형전지에 국한되고 있지만 전기자동차나 전력저장용으로 이를 대형화시커기 위해서는 열적특성이 우수하고 저가인 전극재료개발이 선행되야하기 때문에, 저가의 탄소재료와 코발트산화물을 대신할 수 있는 철, 망칸 또는 니켈산 화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rous Carbon Electrode as a Function of Internal Electrolyte Concentration (전극 내부의 전해질 농도 변화에 따른 다공성 탄소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 Park, Byeong-Hee;Choi, Jae-Hwa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0 no.6
    • /
    • pp.700-704
    • /
    • 2009
  •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rous carbon electrodes as a function of their internal electrolyte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Cyclic voltammetry, chronoamperometry, and impedance spectroscopic analysis were conducted for carbon electrodes equilibrated with 0.01, 0.05, 0.1, and 0.5 M KCl solution and covered with a cation-exchange membrane. The specific capacitance of the electrodes increased as the internal electrolyte concentration increased, due to a decrease in charging resistanc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salt removal efficiency of the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could be enhanced by increasing the internal electrolyte concentration, even for an influent with a low salt concentration.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Cesium Cations by Using Electrochemical Ion Exchanger of KNiFe(CN)6 (KNiFe(CN)6 전기화학적 이온교환체를 이용한 세슘 양이온의 분리에 관한 연구)

  • Hwang, Young Gi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15 no.4
    • /
    • pp.256-263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eparation of cesium cations by using an electrochemical ion exchanger of nickel hexacyanoferrate($KNiFe(CN)_6$) film electrode. Potential, current, and charge passing through the cyclic voltammograms were measured in singular and binary solutions of 1.0M $NaNO_3$ and 1.0M $CsNO_3$. Before and after each experiment, the structural morphology and atomic composition of $KNiFe(CN)_6$ were analyzed by SEM and EDS, respectively. The ion selectivity of $KNiFe(CN)_6$ was also observed by the voltammograms and atomic compositions measured in the solution alternated between sodium and cesium.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lectrically switched $KNiFe(CN)_6$ ion exchanger had the significant advantage of 40 times or longer durability than conventional organic or inorganic ion exchanger. It was also shown that the $KNiFe(CN)_6$ ion exchanger had high selectivity for cesium over sodium.

Nitrate Ion-Selective Membrane Electrode Based on Complex of (Bakelite-A)-(2,2'-Bipyridine)-Ni(Ⅱ) Nitrate ((Bakelite-A)-(2,2'-Bipyridine)-Ni(Ⅱ) 착물의 질산이온 선택성 막전극)

  • Doo-Soon Shin;Chung Ki-Wo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6 no.3
    • /
    • pp.383-392
    • /
    • 1992
  • (Bakelite-A)-(2,2'-Bipyridine)-Ni(Ⅱ) Nitrate complexes were tested as ion exchanger for nitrate ion-selective electrode. The experimentally observed selectivity and electrode characteristics were relatively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changer lipophilicity in the membrane phase.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mechanisms for exchange with nitrate ion and internal electrical conduction were postulated. Analytical application to the determination of nitrate were studied.

  • PDF

Applicability Evaluation of Electrodes Exchange and Mixed Solution for Enhanced Electrokinetic Process (Electrokinetic Process의 효율 향상을 위한 전극교환 방식과 혼합용매 적용 가능성 평가)

  • Lee, Noh-Sup;Park, Sung-Soo;NamKoong, Wa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8 no.4
    • /
    • pp.391-395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enhanced electrokinetic (EK) 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approximately 20000 Pb-mg/kg. Enhanced EK remediation was evaluated by using mixed solution (0.3 M acetic acid and 0.03 M EDTA, EK-M) and by exchanging electrodes for preventing precipitation of metal hydrate. For the EK-M, the lead removal efficiency was only 2% lower than the case where 0.03 M EDTA was solely used (EK-Blank, EK-B). Considering the costly expense of EDTA, the application of EK-M would be economically viable. The efficiency of of EK-E was higher by 2% than the EK-B method. More impertantly, the pH values of entire soil packed column presented to be neutral (7~8) in the EK-E process. Unlike to EK-B and EK-M, the deposition of heavy metals to any specific area was avoided in the EK-E process.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optical oxygen gas sensor formed on the planar optical waveguide prepared by ion exchang method (이온 교환법으로 제조된 평판형 광도파로의 산소광센서의 제작 및 특성평가)

  • 정채환;김재성;김원효;이병택;문종하;김진혁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78-179
    • /
    • 2002
  • 최근에 화학, 임상병리, 환경 감시 등의 분야에서 산소센서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산소 센서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산화물 전극을 사용하는 amperometric 방법이지만 이 방법들은 장기간에 걸쳐 볼 때 산화물 전극의 오염, 외부 자기장의 간섭 등의 제점 때문에 산소를 측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1) 따라서 최근에는 빛과 유기염료를 통하여 산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기가 quenching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산소센서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중략)

  • PDF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on Catalyst Layers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전극층에서의 분자동역학 연구)

  • Kang, Haisu;Kwon, Sung Hyun;Lee, Seung Geol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3
    • /
    • pp.14-27
    • /
    • 2021
  • 수소 에너지는 환경 문제를 최소화하고 고갈되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이러한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소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그 부산물로 물을 만드는 대표적인 친환경 전기화학 장치이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수소이온교환 특성을 갖는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로 막전극집합체의 전극층은 촉매가 포함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주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소재개발 측면에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전극층 핵심 소재의 물성 발현 원리 등을 이해하고 최적화된 소재 설계를 위해서는 원자레벨에서의 소재 설계 접근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실험적인 연구가 어려운 부분과 원자단위에서의 물질 현상에 대한 이해 그리고 연구 개발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전산재료과학(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기술이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에서의 전극층 소재에 대한 분자동역학 기반의 전산모사 활용과 연구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Electrochemical Generation of Chlorine Dioxide Using Polymer Ion Exchange Resin (고분자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의료.식품용 멸균제 이산화염소의 전기화학분해 발생)

  • Rho, Seung Baik;Kim, Sang Seob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3 no.1
    • /
    • pp.86-92
    • /
    • 2012
  • A characteristic study of chlorine dioxide generation by the electrolysis system was performed after chlorite ($ClO_2^-$) is adsorbed from sodium chlorite by a polymer ion exchange resin. A strongly basic anion exchange resin was used and a Ti plate coated with Ru and Ir was used as an electrode. Various parameters such as reaction stirring velocity, reaction temperature, chlorine dioxide product concentration, ion exchange resin content and product maker type for the adsorption quantity in the chlorite adsorption of ion exchange resin were investigated and found the ion exchange resin with the maximum adsorption quantity. A generation trend of chlorine dioxide was observed by the electrolysis system and optimum conditions on the desired value were found using response surface design of DOE (Design of Experiments). The strongly basic anion exchange resin with the maximum adsorption quantity was SAR-20 (TRILITE Gel type II) and the adsorption quantity was around 110 mg/IER (g). Observed generation optimum conditions of chlorine dioxide were constant-current (electrode area base; $A/dm^2$) and flow rate of $N_2$ gas (4.7 L/min) at the desired value of sterilization (900~1000 ppm, 1 h).

Optimization of micro structure of solid oxide fuel cell electrode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변수 조사 및 전극미세구조 최적화)

  • Jo, Dong Hyun;Chun, Jeong Hwan;Park, Ki Tae;Hwang, Ji Won;Kim, Sung 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71.2-71.2
    • /
    • 2010
  • 고체산화물연료전지는 청정에너지원으로써 기존의 발전방식을 대신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고온에서 작동하는 특성상 실험을 통하여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연구는 전기화학식을 이용한 전산모사를 통해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동조건에 따른 성능 평가 및 전극의 미세구조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전극 내 전달현상을 무시하고 오직 전기화학반응만을 고려한 전산모사는 단전지의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에 따른 전지성능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조건에서 얻은 전지 성능 데이터를 통해 전극미세구조를 최적화하였다. 개회로전압, 활성화분극, 저항분극, 물질수송손실을 표현하기 위하여 Nernst 식, Butler-Voler 식, 옴의 법칙, dusty-gas 모델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전극미세구조 및 구동조건의 변화는 물질확산계수 및 교환전류밀도를 통하여 그 영향이 전지성능에 반영된다. 온도, 압력, 주입 연료의 조성에 대한 성능평가가 수행되었으며, 1023K, 1 bar의 조건하에서 최적의 단전지 성능을 위한 기공도와 기공크기를 조사하였다. 더 향상된 단전지 성능 확보를 위해서 실험에서 쓰이는 기능층(functional layer)과 유사하게 넓은 반응 면적과 원활한 반응물 및 생성물의 이동을 보장하도록 기공도 및 기공크기를 그레이딩한 전극구조(graded-electrode)를 디자인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전지구조 대신에 그레이딩된 전극을 사용할 경우 50%이상 향상된 전지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