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극판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4초

LCD-TV용 백라이트 광학시트의 휘도 정량화 (Luminance Normalization of Optical Sheets in a Backlight Unit for LCD-TVs)

  • 정종문;김정현;신명주;이미란;정재윤;정희석;김진선;강준길;홍병희;조광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24-432
    • /
    • 2007
  • 32인치 WXGA급 (해상도 1366$\times$768) LCD-TV용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각 광학 부품들에 대한 휘도 특성을 조사하고, 광학시트들의 빛의 투과율을 계측하였다. 12등식과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대한 휘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휘도 균일도는 12등식 백라이트에서도 85 %의 휘도 균일도를 갖지만, 광학 부품들의 휘도 값과 백라이트의 효율은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비하여 낮다. 외부전극 형광램프 12 등식과 18 등식의 백라이트에 대하여 램프의 휘도를 100 %로 규격화하면, 확산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BEF) 및 편광시트 (DBEF)의 상대 휘도는 램프의 휘도 값과 무관하게 정량화된다. 광학 부품의 상대 휘도 값은 12등식은 18등식보다 낮다. 백라이트의 휘도 100 %에 대한 액정 패널의 투과도는 DBEF와 BEF를 사용한백라이트는 7.14 %, DBEF만을 사용하면 6.12 %, 그리고 BEF만을 사용하면 3.21 %이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광학 부품들의 상대 휘도의 정량화 데이터와 액정의 투과도는 백라이트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이다.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볼타전지에 대한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Voltaic Cell Described in the Scienc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 신동혁;이상권;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63-377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cdot}$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볼타전지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 교과서 중 관련 단원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추출한 문제점을 실험을 통해 해결하였고 이를 바턍으로 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화학전지의 작용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아연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 기전력에 대한 실험연구 결과, 전극용어 사용의 통일, 전류에 대한 설명 등 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전력에 대한 실험연구 결과, 기전력 측정 값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은 각 전극에서의 산화환원 반응에 대한 기전력과 표준 환원 전위, 전기음성도, 일함수, 이온화 에너지 등과 같은 전극의성질을 함께 고려하여 설명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볼타전지의 기전력이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볼타전지의 기전력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용이 하지 않으므로 볼타전지는 화학전지의 도입 부분에서 역사적으로만 간단하게 기술하고 개념 설명은 다니엘 전지를 이용하여 기술하는 방향으로 교과서를 개선 할 것을 제한하였다.

1.5kW급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1.5kW-class Molten Carbonate Fuel Cell Stack)

  • 남석우;황정태;이갑수;임태훈;오인환;하흥용;윤성필;홍성안;임희천
    • 에너지공학
    • /
    • 제8권1호
    • /
    • pp.23-33
    • /
    • 1999
  •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대형화에 관한 기본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전극의 유효면적이 625 $\textrm{cm}^2$인 단위전지를 20단 적층한 내부 분배형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살펴보았다. 연료로 72% H2/18% CO2/10% H2O를 , 산화제로는 70% air/30% CO2의 혼합 기체를 사용하여 운전한 결과 전류밀도가 150 mA/$\textrm{cm}^2$이고 연료 및 산화제의 이용율이 0.4일 때, 스택 전압이 16.62 V로 1.56 kW의 높은 초기출력을 나타내었다. 스택 내 분리판에서의 온도 분포는 가스 흐름 방향으로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스택출력이 높아질수록 가스 배출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였다. 스택 내 각 단위전지간의 성능 분포는 균일하지 않았으며, 가스이용율에 따라 그 편차가 증가하였다. 연속 운전 300시간 후부터 스택의 성능이 감소하였으며, 그 원인을 분석한 겨로가 탄소 석출과 부식 생성물에 의한 전기 단락 때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anode 출구에서의 가스 조성을 분석함으로써 전기 단락에 의한 전압 손실량을 계산하는 기법을 확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통하여 향후 스택의 대형화와 장수명화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DR (Digital Radiography) 적용을 위한 Biology 초음파 특수용매를 이용한 $PbI_2$ 합성법

  • 김성헌;윤민석;오경민;김영빈;이상훈;조규석;박혜진;남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6-146
    • /
    • 2009
  • 최근에 광도전체와 형광체를 기반으로 평판형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의 상업적 발전가능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직접변환방식에 널리 사용되었던 비정질 셀레늄 (amorphous selenium) 기반의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보다 높은 전기적신호 및 동작특성을 가지는 물질층을 제작하기 위해 High Purity (99.99%)의 상용화된 $PbI_2$를 특수용매에 담가두었다가 약 1시간동안 Biology 초음파 처리한 후 농축기를 사용하여 건조된 $PbI_2$를 3Roll-milling을 사용하여 미세크기의 Powder를 얻어내었다. 합성된 $PbI_2$ Powder를 PIB(Particle-in-Binder)법을 이용하여 전도성을 가진 ITO(Indium-tin-oxide)코팅된 유리판에 제작된 필름의 상부에 Magnetron sputtering system 을 사용하여 전극을 $1cm{\times}1cm$의 크기로 증착하였다. I-V 테스트를 통하여 X선 조사시 $PbI_2$필름의 Sensitivity, Dark current, SNR(signal-to-noise ratio)을 측정하여 필름의 전기적 검출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고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하여 입자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 PDF

평행판 전극과 전기장 센서를 이용한 교류 고전압 발생원의 측정범위 확장기술 개발 (Development for Measurement Range Extension Technique of AC High Voltage Source using Parallel Plates Electrode and Electric Field Sensor)

  • 강전홍;류제천;이상화;김규태;김명수;한상옥;정재갑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5권9호
    • /
    • pp.446-451
    • /
    • 2006
  • The output voltage value of AC high voltage source has been usually measured by employing the high voltage divider of inductive or capacitive type. In the study, we have developed a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output voltage up to 60kV using parallel plates electrode and electric field sensor, which are constructed by home-made. Unlikely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a high voltage divider, this developed method makes it possible to extend the range of output voltage from known low voltage measurement to high voltage measurement. From the linearity measured between electric field and applied voltage in the output voltage range of 1kV-30kV, the output voltage value up to 60kV can be obtained by the electric field measurement using the electric field sensor. The output voltage value obtained using the method is consistent with that obtained using high voltage divider within corresponding uncertainties.

전기정착법(電氣定着法)에 의한 우라늄의 회수효과(回收效果) (Effectiveness of Uranium Recovery by the Electrodeposition Method)

  • 이병기;홍종숙;정래익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36-40
    • /
    • 1983
  • 알파방출핵종(放出核種)인 우라늄을 혼합(混合) Oxalate-Chloride 용액(溶液)으로 부터 저렴(低廉)한 가격(價格)의 stainless steel 음극판(陰極板)에 전기정착(電氣定着)시켰다. 전기정착(電氣定着) 최적조건(最適條件)은 정착시간(定着時間), 초기전류(初期電流), 전극간(電極間)의 거리, 전해액(電解液)의 pH, 음극(陰極)의 정착면적(定着面積) 및 전해액중(電解液中)의 우라늄시료농도(試料濃度)에 따라 결정(決定)되였다. 표준(標準)우라늄 순수용액(純粹溶液)(NBS 960 질산화물(窒酸化物)을 사용하여 3회(回) 반복(反復)된 실험(實驗)으로 정착시간(定着時間) 60분(分)만에 90% 신뢰도(信賴度)에서 계측기(計測器)의 오차(誤差)가 4%일 때 평균(平均) 99% 이상(以上)의 회수율(回收率)을 얻었다.

  • PD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한 Zn 나노 구조 제어 (Structure Control of Zinc Film Using Magnetron Sputtering)

  • 이원지;윤성호;김안나;박진성;김현종;이호년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1-85.1
    • /
    • 2018
  • 고표면적 다공성 금속 박막 형성 기술은 타겟에서 방출된 금속 원자들이 타겟 주변에서 서로 충돌하여 나노입자를 형성한 후 기판으로 입자를 이송시켜 나노 구조를 지니는 박막을 성장시키는 기술이다. 고표면적 다공성 금속 박막 형성 기술로 제작한 다공성 박막은 열린 기공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외부 기체의 확산이 용이하고 비표면적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금속 공기 이차전지 등의 배터리의 경우 전극의 비표면적이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금속판을 사용하는 경우 대비 비표면적이 높은 나노구조를 사용할 경우 용량 증대에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 압력, 공정 파워, 타겟과 기판과의 거리, 칠러 온도 등 증착 공정 변수를 제어하여 표면적이 높은 아연 나노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SEM을 이용하여 미세구조 및 두께를 관찰하였으며, 박막 증착 전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공률을 계산하였다. 또한 XRD 분석을 통하여 결정성 및 결정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고표면적 다공성 Zn 금속박막을 응용하여 아연 전지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 PDF

고전장하에서 제조된 PVA/Gelatin 블렌드막의 구조와 팽윤거동 (Morphology and Swelling Behaviors of PVA/Gelatin Blend Membranes Prepared Under High Electric Field)

  • 허양일;윤형구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63-567
    • /
    • 2006
  •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gelatin(GEL)과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poly(vinyl alcohol)(PVA)로 이루어진 블렌드막을 $3{\sim}10kV$의 고전장하에서 용액 캐스팅 법에 의해 제조하였고, 막중에 형성되는 미세한 domain 구조의 배향에 미치는 전장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5 kV이상의 높은 전장하에서 제조된 막의 경우 SEM 사진으로부터 막중의 GEL domain이 전장인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는 제막 중 상분리된 두 상의 계면장력 감소에 기인한 Maxwell의 정전 분산 효과에 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고전장 인가시 전극 판에서 발생하는 열과 GEL domain의 연신 배향 효과에 의해 PVA/GEL 블렌드막의 결정화도가 증가하는 것을 WAXD와 팽윤거동 관찰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Ti$O_{2-x}$ 박막의 광-전기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i$O_{2-x}$ Thin Films)

  • 최규원;최주현;조기형;최용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82-591
    • /
    • 1985
  • 티타늄 금속판을 수증기 산화하여 만든 Ti$O_{2-x}$ 박막과 Ti$O_2$ 단결정을 알곤기체속에서 환원한 시료를 사용하여 이들의 광전기화학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1M NaOH전해질 용액에서 Ti$O_{2-x}$ 전극에 200~800nm 사이의 광을 조사하였을 때 자외부 영역에서는 320nm에서, 가시부 영역에서는 520nm, 620nm 그리고 740nm에서 전류의 peak가 나타났다. 이미 보고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가시부 영역의 이들 peak는 grating monochromator의 2차선의 영향에 의하여 나타난 것임이 밝혀졌다.

  • PDF

국내 연료전지 분야 연구동향 분석: 전극, 전해질, 분리판, 스택, 시스템, BOP, 진단분석 분야 (Review of Research Trend in Fuel Cell: Analysis on Fuel-Cell-Related Technologies in Electrode, Electrolyte, Separator Plate, Stack, System, Balance of Plant, and Diagnosis Areas)

  • 이영덕;김재엽;유동진;주현철;김한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530-545
    • /
    • 2020
  • This paper reviews and summarizes the fuel-cell-related studies those have been recently published in major Korean Citation Index journals, aiming at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in fuel cell technologies. Six major journals are selected for the literature survey; 57 papers are chosen for the detailed analysis through a screening examination on the total 1,040 papers published during between 2018 and 2020. Papers are classified into six technical categories, such as i) electrode, ii) electrolyte, iii) bipolar plate and stack, iv) fuel cell system, v) balance of plant, and vi) diagnosis-related studies, and summarized by the experts in the relevant area. Through this paper, we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recent trends and progress in fuel-cell-related research work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