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거 통제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표목통제를 위한 전거레코드작성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of Authority Record for Heading Control)

  • 정옥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5-163
    • /
    • 2002
  • 이 연구는 표목통제를 위한 전거레코드작성의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ACR2R과 KCR2의 표목부의 체계문제를 파악하여 그 개선점과 GARE에 제시된 표목통제을 위한 전거레코드 작성의 지침을 분석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동명이인과 동명이단체의 구별방안과 주제명일람표의 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전거레코드를 통일적이고 일관성 있게 작성하기 위한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보다는 편목규칙의 표목부에 통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KISTI 학술지 종합 목록의 서명.단체명 전거 파일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KISTI Authority File for Titles and Corporate Names)

  • 고형곤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3_4호
    • /
    • pp.73-95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KISTI 학술지 종합목록을 위한 서명 단체명의 전거 파일 구축의 단계를 소개하고, 보다 양질의 표준화된 전거 레코드의 작성에 필요한 기준과 지침의 작성에 필요한 전거 통제의 이론적 및 실무적 현황을 서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 NACO의 활동 및 전거 레코드 작성의 절차와 표준, (2) OCLC의 전거 파일의 구조와 검색 방법, (3) KISTI 전거파일의 구축 및 전거 레코드 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구체적인 작업의 조건과 절차 (4) MARC21과 KORMARC의 전거 레코드 포맷의 비교 등을 살펴보았다. KISTI 뿐만이 아니라 많은 도서관들이 공유할 수 있는 전거 파일의 구축, 전거 통제의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과 지침 마련의 필요성 등이 지적되었다.

  • PDF

전거통제를 위한 상호협력시스템에 관한 연구 -특히 미국의 NACO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operative System for Authority Control -With a Special Regard to NACO-)

  • 오동근;여지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47
    • /
    • 2000
  • 이 연구는 전거통제를 위한 상호협력시스템으로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미국의 NACO의 역사와 발전과정, PCC와의 관계 등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의 도서관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광범위한 전거데이터의 활용이라는 면에서 NACO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으나, 표목 및 접근점의 선정과 형식에 관한 표준의 문제, 로마자화의 문제, 수록데이터의 유용성, 비용, 정책상의 문제 등도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국내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전거통제를 위한 상호협력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NACO는 하나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국과 일본의 일본인 저자 전거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uthority Records for Japanese Writer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김송이;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49-170
    • /
    • 2014
  • 저자명 전거 통제는 도서관 목록 전문가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도 통일된 접근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미국과 일본의 국가도서관은 일찌감치 저자명에 대한 전거레코드를 구축하고 통제해 오고 있으며, 이를 웹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소설가를 표본으로 해서 양국의 전거레코드 구축 현황과 기술수준 및 항목을 비교하여 기술 공통항목을 추출하고, 차이점을 찾아내어 국내 전거레코드 기술상 고려사항과 전거레코드 구축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국립중앙도서관의 전거 파일 공개,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을 고려한 전거 파일의 다양한 형식 제공, 전거레코드 기술을 위한 개인명표목의 선택과 형식기준 기술방침 작성,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외국인 저자명 작성 및 다른 표기들에 대한 이명 전거, 전거레코드와 도서관목록의 링크를 통한 검색 제공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KORMARC 전거통제용 개정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Plan of KORMARC Format for Authority Data)

  • 이은주;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65-282
    • /
    • 2022
  • 도서관 목록은 자원과 자원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를 표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도서관 목록을 통한 정보 획득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서지적 관계는 궁극적으로 전거레코드 구축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국가표준인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전거통제용」에 대한 개정작업의 중요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ORMARC-전거통제용」 개정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1) 최신 국제 목록동향을 분석하고, (2) 도서관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3) 전거업무에 활용하는 기관 내부지침을 분석하고, (4) MARC21의 최신 버전을 비교분석하여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KORMARC-전거통제용」 개정을 위해 MARC21의 개정 절차를 조사하여 국내 KORMARC 개정 방식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각종 문헌연구, MARC21의 분석, 전문가 자문, 실무진 면담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제 목록 동향을 반영한 『KORMARC-전거통제용』 개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KORMARC-Authority Format by Reflecting the International Trends of Authority Control)

  • 노지현;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84
    • /
    • 2014
  • 정보의 체계적인 조직과 연계를 통해 검색의 정확률과 재현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전거레코드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특히, 저작의 집중과 탐색을 위한 기반으로서 전거레코드는 도서관 뿐 아니라 박물관, 기록관, 미술관 등 그 적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우리 도서관계에서는 지난 1999년에 KORMARC- 전거통제용을 제정한 이래, 국제적인 목록 환경과 국내 도서관계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개정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 도서관계에서 전거레코드를 구축하고 있는 도서관은 손에 꼽을 정도로 소수에 불과하며, 이러한 전거레코드의 부재는 검색의 효율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거제어와 관련한 국제적인 목록 동향과 이러한 동향을 대폭 수용하여 개정한 MARC21을 상세히 분석한 다음, 우리 도서관계에 적용할 KORMARC - 전거통제용의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개정(안)의 도출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국내 도서관 및 VIAF의 전거레코드 분석, 도서관 실무진과의 집단면접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웹에서의 전거통제:디지털 도서관의 지식조직 시스템(KOS)과 전거 통제 (Authority Control on the Web :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and Authority Control for Digital Libraries)

  • 윤정옥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4호
    • /
    • pp.85-105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도서관에서 지식조직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전거 파일의 역할을 확대하여 활용하는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다. 지식조직 시스템은 정보를 조직하고 지식경영을 조장하는 모든 유형의 체계로서 디지털 도서관의 핵심적 요소 중의 하나이다. 다양한 지식조직 시스템은 웹에서 목록과 디지털 자원 사이의 링크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자원 사이의 다리 역할을 수행하면서 디지털 콜렉션으로부터 상관된 아이템의 검색을 지원하도록 콘텐츠를 조직한다. 지식조직 시스템이 코드를 전문으로, 객체를 기술 레코드로, 그리고 물리적 객체를 소재와 실물정보로 링크시키기 위하여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서술하였다.

디지털 정보시대의 전거통제 (II): 국내 목록 데이터 베이스의 일본 학술지명과 단체명 연구 (Authority Control in the Digital Age: A Study of japanese Journal Titles and Corporate Names in the OPACs in Korea)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61-175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주요한 목록 데이터베이스들에서 일본 학술지명 및 발행 기관ㆍ단체명의 다양한 표기와 접근 방법을 살펴보고 전거통제를 통한 표목의 표준화와 이용자 지원이 수행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회전자도서관 연세대학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연속간행물 목록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정보학과 과학 기술분야의 학술지명 및 관련 단체명의 표목의 형태, 다양한 독음과 표기방식을 갖는 비표준형과의 링크를 검토하였고 일본의 국립정보학연구소의 '학술지종합목록'과 비교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국내 목록에서 (1) 편목규칙 적용의 일관성 결여, (2) 단체명 표목처리를 위한 적절한 전거통제의 결여, 및 (3) 학술지명 및 단체명들과 다양한 이름 형태들 사이의 참조나 링크의 결여를 포함하였다. 이 연구는 소규모로 수행되었으나, 학술지 목록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편목 실무의 전면적인 개선 및 표준형 표목과 다양한 형태들의 링크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거통제의 적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난다.

  • PDF

디지털 정보시대의 전거통제 : 국내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단체명 표목 연구 (Authority Control in the Digital Age : A Study of Corporate Names in the OPACs in Korea)

  • 윤정옥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1호
    • /
    • pp.23-49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목록 데이터베이스들에서 단체명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전거통제가 수행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기관 혹은 단체는 종종 서로 다른 이름들과 이름의 다른 형태들을 갖고 있어, 목록에서 적절히 연결되어야만 한다. 목록에서 적당한 참조나 내부적 링크의 도움 없이는 이용자들은 알맞은 결과를 얻지 못하기가 쉽다. 이 연구에서는 국회도서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세대학교,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다섯 개 기관의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1) 편목규칙 적용의 일관성 결여, (2) 단체명들 처리를 위한 적절한 전거통제의 결여 및 (3) 이름들과 다양한 이름형태들 사이의 창조나 링크의 결여를 포함하였다. 이 연구가 소규모로 제한되었으므로, 보다 포괄적이고 철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에 의거할 때, 편목 실무의 전면적인 개선 및 전거통제의 적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전거레코드 구축 및 공유에 관한 연구 SNAC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and Sharing of Authority Record-focusing on the Case of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Project)

  • 이은영
    • 기록학연구
    • /
    • 제71호
    • /
    • pp.49-89
    • /
    • 2022
  • 본 연구는 전거레코드 구축 및 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 'Social Networks and Archival Context'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문화유산기관 간에 분산 소장된 역사적 정보원에 대한 통합적 접근과 기록에 대한 보다 풍부한 검색과 이해를 촉진하는 국가적 전거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과 국내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SNAC 프로젝트는 NARA 주도의 국제적 협력체 조직으로 전환되면서 지속가능한 운영체계를 확보하고 협력적 전거통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SNAC 전거레코드는 도서관에 비해 풍부한 생애와 역사에 관한 맥락 정보와 사회적·지적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사례분석을 통해 첫째, SNAC 처럼, 국가기록원이 주도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이 공동 오너쉽을 갖는 협력체가 개발을 주도하고 참여기관의 범위를 넓혀나가야 한다. 둘째, 협력의 방식에서 특장점을 가진 분야별로 분담하는 구조를 취하되, 두 기관이 참여하는 운영 주체가 주요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한다. 셋째, 전거데이터 구축 시 다양한 포맷의 기술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확장가능한 오픈소스소프트웨어 개발, 기록관리 전거레코드의 구조와 요소로 설계, 전거레코드의 품질을 통제할 수 있는 기능 설계, 이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구축 및 콘텐츠적 요소가 반영된 플랫폼 설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