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장기

검색결과 2,575건 처리시간 0.031초

자가이식을 이용한 상악 매복 견치의 치료 (AUTOTRANSPLANT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 김수경;백병주;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1-489
    • /
    • 2007
  • 상악 견치의 매복은 임상에서 종종 관찰되며 인접치의 치근을 흡수하거나 낭종을 형성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유발한다. 매복 치아의 치료는 치근단의 완성 정도, 치아 매복의 방향과 위치, 맹출 공간의 존재 여부, 매복치 주변의 과잉치, 치아종, 낭종 등의 존재 여부 등에 따라 발치,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자가이식 등의 술식이 결정된다. 자가이식은 치아의 위치가 교정력을 가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거나 치아 이동이 제한을 받게 되어 통상적인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에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으며, 자가이식의 예후는 치주인대의 보존, 치근의 완성도, 외과적 술식, 환자 연령, 근관치료 시기, 치아고정 기간 및 형태와 구강외 저장 용액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증례들은 영구 치열기 말기에 상악 견치 매복으로 내원하였고 그 매복 위치가 자발적인 맹출 유도나 교정적 견인 및 배열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가이식과 근관치료를 시행하고 주기적인 관찰 중이다.

  • PDF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얼굴검출 및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System Using a RaspberryPi)

  • 김강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59-864
    • /
    • 2017
  • 사물인터넷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새로운 기술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미 많은 기술과 제품들이 발표되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등에서 얼굴 검출 및 얼굴 인식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얼굴 검출 시스템은 하르 직렬 분류기를 사용하며, 얼굴 인식 시스템에는 수행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 파이썬 언어로 구현된 주성분 분석(PCA)이 얼굴 인식을 위한 고유 얼굴(eigenface) 계산에 사용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얼굴과 얼굴 검출 시스템의 결과로부터 얼굴을 인식하기 위하여 SVM 또는 유크리디안 측정이 사용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OpenCV를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 3에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주성분 프로그램의 성능을 구하기 위하여 기존의 주성분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얼굴 인식율과 수행시간을 비교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하여 ORL 얼굴 데이터베이스에서 40명의 얼굴에 대하여 각각 10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학습에 200, 테스트에 200개의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PCA와 유클리디안 측정을 이용한 경우 약 93%, SVM의 경우 약 96% 이상의 얼굴 인식률을 얻었다. 그러나 수행시간은 본 논문에서 구현된 PCA를 사용할 경우 약 0.11초, 기존 PCA의 경우 약 1.1초로 약 1/10로 수행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실시간 결과가 필요한 보안 시스템, 엘리베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강도와 사회참여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Strength and Social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김태준;박윤주;이슬기;이윤희;지시연;전병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
    • /
    • 2016
  • 목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강도와 사회참여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의 사회참여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한다. 연구방법: 강원도 소재의 K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재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SNS 강도는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는 SNS 친구 수와 카카오톡 평균연락횟수로 측정되었다. 사회참여 측정도구는 Godelief 등(2009)에 의해 수정된 Maastricht Social Participation Profile(MSPP)를 사용하였다. MSPP는 공식적 사회참여(약속활동), 비공식적 사회참여(친구 및 지인과의 접촉, 가족과의 접촉) 항목으로 이루어져있다.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SNS 친구 수와 약속활동 항목, 카카오톡 평균연락횟수와 친구 및 지인과의 접촉 항목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대학생들의 SNS 강도와 사회참여는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SNS 강도와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상호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 유지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가족 간의 관계 유지에는 영향을 끼치는 다른 변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maging Plate를 이용한 의료용 광자선의 선량측정 (Application of an imaging plate to relative dosimetry of clinical x-ray beams)

  • 임상욱;여인환;김대용;안용찬;허승재;윤병수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1권2호
    • /
    • pp.117-122
    • /
    • 2000
  • 해상도가 뛰어나며 디지털영상으로 저장하므로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현재 국내 병원에서는 Imaging Plate(IP)가 필름을 대체해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진단용으로 사용되는 If를 이용하여 치료영역에서 선량측정용도로의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하는데 사용되었던 IP는 Fuji사의 ST-V$_{A}$라는 모델이고 가속기는 Varian 2100C의 6 MV 광자선을 사용하였다. 먼저 전리함으로 측정한 심부선량을 기준으로 If로 측정한 값과 비교를 하였다. 조사문 선량(portal dose)을 측정하기 위하여 SSD=100 cm 위치에 두께 14 cm 되는 폴리스틸렌 팬텀을 놓고 그 밑에 전자포탈영상기구(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가 위치한 지점에서 상대적 흡수선량(Off Axis Ratio: OAR)을 측정 그리고 계산하였다. 이때 전리함, 필름(Kodak X-Omat V) 및 IP를 전자포탈영상기구와 같은 위치에 놓고 측정을 하였고 이에 더하여 EGS4 몬테칼로전산모사를 통하여 조사문 선량을 계산하였다. 심부선량(PDD)을 측정한 결과 IP는 BaFBr:Eu$^{2+}$의 인광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보다 전자밀도가 높아 산란선에 매우 민감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진단영역에서 사용되고있는 IP는 심부선량측정계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IP는 반음영외부부분(outside penumbra)을 제외한 조사문 선량측정에 비교적 정확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IP를 치료위치 확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내 수수 종자 분석을 위한 프로테오믹스-기반 바이오마커 개발 (Development of Proteomics-based Biomarkers for 4 Korean Cultivars of Sorghum Seeds (Sorghum bicolor (L.) Moench))

  • 김진영;이수지;하태정;박기도;이병원;김상곤;김용철;최인수;김선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8-54
    • /
    • 2013
  • 수수 종자의 품종 간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을 동정하여 기능성 유전자를 확보하고 이들 유전자를 이용하여 수수의 기능성 강화 및 품종 판별 기술 개발을 위한 유용 유전자를 확보하고자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수수 종자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후, colloidal CBB 염색을 통해 품종 별로 발현에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총 652 개의 spot들 중에 8개의 단백질 spot들이 발현 정도에 변화를 보였으며, 이들 단백질을 MALDI-TOF/TOF MS와 MASCOT database를 통해 동정한 결과, RNA metabolism (spot 1, spot 4) HSP (spot 2), 저장 단백질 (spot 3, spot 5, spot 6), 산화-환원 (spot 8) 관련 단백질 등이 동정되었다. 특히 동정된 단백질은 주로 흰찰수수 (WCS)에서 발현 정도가 높게 나오는 경향을 보였으며, 흰찰수수 (WCS)에서 유일하게 발현 되는 단백질로 Cupin family protein, Gloubulin 등이 동정되었다. DEAD-box helicase는 흰찰수수 (WCS)를 제외한 나머지 세 품종에서 발현되었다. Ribonuclease T2와 Aldo-Keto reductase는 대풍수수 (DPS)를 제외한 나머지 세 품종에서 발현되었다. HSPs는 토종수수 (TJS)에서만 발현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동정된 단백질들은 수수의 품종 별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오미자의 Schizandrin과 기름성분 및 추출수율 변화 (Schizandrin, Oil Compounds, and Their Extraction Yield in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관수;박춘근;류수노;방진기;이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58-162
    • /
    • 2000
  • 오미자 인제수집종의 과실부위별 schizandrin과 기름함량은 종자에서 가장 높았는데 각각 1.01%와 27.6%로 나타났다. 국내 수집종 오미자 55계통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과실에 함유된 schizandrin의 함량은 평균 0.84%이었고, 종자에 함유된 기름함량은 평균 27.9%이었으며 지방산조성은 palmitic acid 3.6%, stearic acid 0.6%, oleic acid 19.7%, linoleic acid 73.1%, linolenic acid 3.0%로 불포화지방산조성이 95.8%로 높게 나타났다. 인제수집종 종자에서 용매추출한 기름은 4.29%의 schizandrin을 함유하여 오미자의 schizandrin은 종자기름에 대부분 함유되었다. 분쇄하지 않은 종자와 과실을 끓는 물로 추출하였을 경우 schizandrin수율은 각각 23.8%와 17.3%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4개월 동안 물에 침지된 종자내 schizandrin과 기름성분은 상온 저장된 종자와 비슷한 함량인 1.18%와 25.2%를 나타내, 오미자 음료제조 후 부산물인 종자는 기름이나 지용성 약리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원료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었다.

  • PDF

그래핀 옥사이드(GO)의 환원정도가 PC-GO 화학반응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gree of GO Reduction on PC-GO Chemical Reac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 박주영;신진환;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26권1호
    • /
    • pp.53-58
    • /
    • 2015
  • 3 phr의 그래핀 옥사이드(GO)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PC)/GO를 클로로포름에서 용액 혼합하여 응고물 침전한 후 240, 260, $280^{\circ}C$의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PC/GO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DSC와 TGA 측정결과 PC/GO 복합체의 유리전이 온도($T_g$)의 변화는 거의 없었고, 분해거동을 통해 확인한 열안정성의 경우 $260^{\circ}C$ 압출시편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동적기계적분석(DMA)을 이용한 저장탄성률 측정결과 PC 대비 PC/GO 복합체의 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압출온도별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환원시간에 따른 PC/RGO 복합체의 압출온도를 $260^{\circ}C$로 고정하였다. GO의 환원시간에 따른 PC/RGO 복합체의 화학반응 정도는 $3000cm^{-1}$ 부근에서 나타나는 C-H 신축진동피크를 통해 확인하였고, 환원시간이 1 h일 때의 GO와 유사한 화학반응 정도를 나타내었다. GO의 환원시간에 따른 PC/GO 복합체의 복소점도(complex viscosity)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PC-GO 사이의 화학반응에 의한 분산성에 기인한 것으로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확인하였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야콘 잿빛곰팡이병의 발생 (Occurrence of Gray Mold on Yacon Caused by Botrytis cinerea)

  • 김점순;이영규;김수정;홍성기;최효원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16-319
    • /
    • 2010
  • 2010년 3월 강릉의 저장고에 보관중인 야콘의 덩이뿌리에서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전형적으로 덩이뿌리 표면에서 암갈색 병반으로 나타났고, 감염된 부위의 절단면은 수침상 갈색 병반이 형성되었다. Botrytis 속의 5균주가 병든 부위에서 분리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풍부하게 형성된 분생포자는 단세포, 무색 혹은 옅은 갈색, 타원형~난형이고, 크기는 $8.2{\sim}14.8{\times}6.5{\sim}9.9\;{\mu}m$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둥글거나 불규칙한 검은색의 균핵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장과 균핵형성을 위한 최적생육온도는 $20^{\circ}C$이었다. 형태적, 배양적 특성을 기초로 분리된 모든 균은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로 동정되었다. 기주에 대한 병원성 검정 결과, 병원균은 야콘의 덩이뿌리뿐만 아니라 잎과 엽병에도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국내에서 Botrytis cinerea가 야콘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킨다는 최초 보고이다.

복숭아 유전체 및 전사체 최근 연구 동향 (Current status of peach genomics and transcriptomics research)

  • 조강희;권정현;김세희;전지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12-32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장미과 과수의 유전체 연구의 모델작물인 복숭아 유전체 연구에 대한 동향을 파악해서 국내 복숭아 유전체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분자육종을 위한 기반 연구인 유전자지도는 다양한 교배집단에서 작성되었고, 현재 차세대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얻은 대량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를 이용하여 고밀도화시키고 있다. 과실형질, 개화기, 병 저항성 등 질적형질과 양적형질에 관한 분자마커와 양적형질유전자좌가 동정되었고, 이중 과육의 용질성과 핵의 점리 형질에 대한 분자마커를 이용한 조기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의 활용성은 매우 높다. 애기장대, 포플라, 사과, 딸기 등 다른 작물과의 비교유전체, 복숭아의 성숙 및 발달, 플라보노이드 합성, 수확 후 저장기간에 발현하는 유전자 등에 대한 전사체, 과실 성숙기간에 발현되는 병 저항성 단백질 등에 대한 단백질체 연구도 보고되었다. 현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대량 분자마커의 개발, 핵심 유전자원의 구축, 집단의 유전형 분석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업적으로 유용한 형질에 대해 더 정확한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과 유용유전자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고, 효율적인 분자육종의 기초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부자(香附子) 주산지(主産地)의 생산실태(生産實態)와 경제성(經濟性) 분석(分析) (Production Status and Economic Analysis in Chief Producing Area of Cyperus rotundus)

  • 김봉구;김재철;류정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43-248
    • /
    • 1997
  • 향부자 주산단지의 생산실태와 경영경제적 현황 파악을 위하여 경북 고령군 다산면 2개마을 137농가와 관련기관, 단지임원, 가공업자 등을 대상으로 주산단지의 발전과정과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향부자 주산지인 고령지역의 향부자 재배면적은 185ha로 전국의 88%를 차지 하였고, 재배농가의 규모는 호당평균 0.6ha로 약초재배에 있어서는 비교적 규모가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재배, 가공, 출하 등이 통합되어 단지가 조성되어 있었다. 2. 재배농가의 대부분이 낙동강변의 하천부지에 여름철 강우시 침수되는 유휴지를 활용하여 재배 과정에서 노동조방적인 영농형태를 취하여 경지활용도가 낮은 지대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었다. 3. 종묘는 저장한 종근을 이용하였고, ha당 복합비료 (17-21-17)를 1,000kg 사용하였으며, 포장 관리에 있어 제초작업은 농가와 포장여건에 따라 약제처리 및 인력을 적절히 이용하였다. 4. 수확은 자체 개발한 트렉터 부착기를 이용하여 생력화하였고, 각 농가에서 1차가공한 것을 가공공장에 넘겨, 선별${\Longrightarrow}$거모${\Longrightarrow}$세척${\Longrightarrow}$절단${\Longrightarrow}$건조과정 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였다. 5. 재배농가의 ha당 평균수량은 6,280kg이었고, 소득은 3,880천원이었는데, 최근에 향부자 근당가격이 1,500원으로 낮게 거래되어 재배면적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