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작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Interface for in-situ Author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on a Mobile Devic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 증강현실 콘텐츠 현장 저작 인터페이스)

  • Lee, Jeong-Gyu;Lee, Jong-W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7
    • /
    • pp.1-9
    • /
    • 2010
  • This paper introduces a difference between mobile Augmented Reality (AR) authoring and desktop AR authoring, and suggests an interface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in-situ authoring of AR contents on a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s have enabled users to use the AR system anytime and anywhere. It is now necessary to create user's individualized context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s on the spot. To author AR contents easily with mobile devices, we need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mobile systems, which have yet limitation. To do so, this paper suggests new interaction approaches that manage augmented contents using visual cues and other simple attribute settings. In addition, to solve the problem that users have to hold their mobile devices to track markers while authoring contents, this system enables users to author contents in environment based on captured images. This interface system also can make cooperation environment for more than one users to author contents. This paper verifie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interface by user tests. The results of an analyzing users' comments show that the proposed interface is suitable for in-situ mobile authoring system.

A Study about UCC Video Authoring Tool Enhancement Methods for Revitalization of Learning Contents (러닝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UCC동영상 저작도구 개선방안 연구)

  • Lee, Ju-Ho;Kim, Kyung-A;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91-39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러닝 콘텐츠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초보자도 쉽게 사용 할 수 있는 UCC동영상 저작도구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분석 방법으로 첫째, 초보자들이 사용하는 UCC동영상 저작도구와 고급동영상 저작 도구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 기능적 측면으로 분석 요소를 한정하여 분석하고, 러닝콘텐츠의 특성인 학습활동을 목적으로 한 학습 관련자원의 활용 정도를 UCC동영상 저작도구와 러닝저작도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이 두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인터페이스 측면, 기능적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다.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복합타임라인을 통해 타임라인, 스토리보드, 블록기능을 하나의 메뉴로 구성하여 러닝콘텐츠 제작 시 혼동을 줄여 주며 기능적 측면에서는 자동 스토리보드 블록, 기능 편집, 클릭제작 3가지의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초보자도 쉽게 러닝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UCC동영상 저작도구의 사용성 개선을 바탕으로 향후 UCC동영상 중심의 러닝콘텐츠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Pen-type Haptic User Interface and Haptic Effect Design for Digilog Book Authoring (디지로그 북 저작을 위한 펜형 햅틱 사용자인터페이스의 개발)

  • Lee, Jun-Hun;Ha, Tae-Jin;Ryu, Je-Ha;Woo, Woon-Ta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402-405
    • /
    • 2009
  • Digilog Book, the next generation publication material, supplies digitalized contents on an analog book by integrating digital contents into existing analog books. There are some studies related to authoring tools which are to authorize, and publish some books which provide digital contents by using VR or AR techniques. In this paper, a pen-type haptic user interface for Digilog Book authoring tool has been introduced. This haptic user interface is developed for more realistic and more effective authoring tasks. This haptic interface provides haptic effects for authoring tasks which are including translation, rotation, scaling, and menu selection.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a body, control circuits, vibration haptic patterns for haptic user interface, and a protocol for between haptic user interface and Digilog Book main control system. Also a simple user study has been done with a developed haptic user interface.

  • PDF

Icon-based Synchronization Representation for SMIL Authoring Tool (SMIL 저작도구를 위한 아이콘 기반의 동기화 표현 기법)

  • 노승진;장진희;성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403-405
    • /
    • 2001
  • 이 연구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객체들을 동기적으로 통합하여 표현하기 위한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표준을 지원하는 GUI 기반 저작도구의 구현에 대한 것이다. 현재까지 멀티미디어 저작을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의 논리적인 프리젠테이션 과정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미디어객체들 간의 시간관계를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편집할 수 있는 아이콘 기반의 인터페이스와, 미디어간의 세부적인 편집을 지원하는 시간기반의 인터페이스, 미디어 객체들의 공간적 재생 위치를 지정하는 배치(layout) 인터페이스 등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합하여 위지위그(WYSIWYG) 방식으로 SMIL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 PDF

A System Providing Real-Time User Interface considering User context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 적응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 Moon, JaeWon;Lim, Tae-Beom;Kum, Seung Woo;Shin, D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116-11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고려하여 재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저작 도구에 관한 기술을 소개한다. 차별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고 있는 시점에서의 컨텍스트를 해석하고 이를 반영한 유기적이고 적응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반응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저작하는 도구에 대한 연구는 웹 기술의 발전과 함께 오랜 기간에 걸쳐 연구되었지만 단순 서비스 조합이나 물리적 GUI 생성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표준화된 컨텍스트와의 유기적 연결성을 고려한 연구는 사례 연구 정도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을 기반하여 세부 기술에 대한 이해 없이 컨텍스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서비스 할 수 있는 시스템과 저작 도구에 대해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 PDF

English Word Learning System with Smartphon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스마트폰 환경의 혼합현실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영어단어 학습 게임 시스템)

  • Kim, Jinguk;Lee, Jong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24-2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의 혼합현실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영어단어 학습 게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영어단어 학습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와,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저작된 학습 콘텐츠를 실행하는 카드 매칭 게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시스템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3D애니메이션 형식의 단어 카드를 제공하여 단순 이미지 형식을 사용한 방법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단어를 묘사할 수 있다. 그리고 부모가 원활히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혼합현실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혼합현실 기반 인터페이스는 개인화된 정보를 부모에게 제공하여 부모가 사전 지식 없이 영어 단어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보급이 저조한 PDA와 UMPC대신, 최근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에 혼합현실을 구현하여 인터페이스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A Study about the software interface factors for multi content creation (멀티 콘텐츠 저작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 요소 연구)

  • Oh, Jung-Min;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479-480
    • /
    • 2011
  •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면서 콘텐츠 저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이슈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저작 소프트웨어의 핵심적 인터페이스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최근에 개발된 저작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레이아웃과 인터랙션 요소를 도출하였다. 인터랙션 요소는 사용자와 시스템, 시스템과 콘텐츠, 콘텐츠와 소비자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다. 기존과는 달리 사용자와 소비자가 각기 다르게 인터랙션 하는 부분을 고려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MPEG-4 Content Authoring Framework for Digital Broadcasting (디지털 방송용 MPEG-4 컨텐트 저작 프레임웍)

  • 이동훈;김희선;차경애;김상욱;김경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203-205
    • /
    • 2000
  • 디지털 방송용 멀티미디어 컨텐트는 객체 기반의 사용자 상호작용 지원 및 실시간스트리밍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 기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디지털 방송용 MPEG-4 컨텐트 생성을 위한 저작 모델과 제안된 모델을 적용한 저작 도구를 소개한다. 특히 컨텐트의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특정 파일 포맷에 독립적인 저작 인터페이스와 컨텐트 컴포지션 트리를 제안한다. 정의된 트리는 멀티미디어 디스크립션의 한 표준인 MPEG-4 표준안에서 제안한 장면 디스트립션 형식인 BIFS를 포함하여 다양한 포맷의 컨텐트 생성을 지원하고 기능에 대한 확장이 용이하다. 그리고 이를 응용한 저작 도구에서는 객체 기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방송용 컨텐트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효과나 템플릿 등 고급-수준의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ARtalet for Digilog Book Authoring Tool - Authoring 3D Objects Properties (디지로그 북 저작도구 ARtalet - 3 차원 객체 속성 저작)

  • Ha, Tae-Jin;Lee, Youg-Ho;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314-318
    • /
    • 2008
  • This paper is about an authoring interface for augmented/mixed reality based book, specifically authoring 3D objects properties of Digilog book. We pursue even normal users with non-professional knowledge for programming can make the Digilog book easily. An authoring interface 3D object properties includes a manipulator as an input device and 3D contents authoring parts. As an interface design metaphor, existing GUI interface, already familiar to computer users, are referenced. The manipulator generates continuous/discrete input signal are necessary for authoring interface. Contents authoring part performs selection, positioning, scaling, coloring, copy of virtual objects using the input signal of the manipulator. Also users can exploit already existing GUI interface metaphor including pointing, click, drag and drop, and copy techniques with the manipulator. Therefore we think our AR authoring system can support rapid and intuitive modification of properties of virtual objects.

  • PDF

Authoring Tool for Augmented Reality based Product Design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을 위한 저작도구)

  • Ha, Tae-Jin;Billinghurst, Mark;Woo, Woon-Tack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3 no.2
    • /
    • pp.23-29
    • /
    • 2007
  • We are suggesting an authoring tool can be used for prototyping in the augmented reality based product design environment. This tool is for authors without an engineering background to use. Our authoring tool can adjust the properties of visual, sound, and haptic feedback at the same time for more practical prototyping. Also the proposed modulated architecture can be applied flexibly to changes of platforms or hardware. Also user interfaces can be dynamically updated by changing just description files. finally, the suggested authoring methods exploit the advantages of both graphical and tangible user interfaces. Authors can intuitively make adjustments to many parameters using the TUI, and then they can do the same thing precisely using the GVI. The proposed authoring methods can be used for exhibition and entertainment contents using multi-sensory feedback in AR environment. As a future work,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sability test will be conduc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