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류용량

Search Result 174,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Estimation of Pump Capacity in Detention Reservoir for Reducing Urban Inundation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저류조 펌프용량 산정)

  • Lee, Yong Sik;Lee, Eui Hoon;Ngo, Thi Thuy;Kim, Jo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4-4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여러 구조적인 시설물 중에서도 빗물저류조의 펌프 적정 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규모로 설치되어 자연 방류를 하는 온라인 빗물저류조와 달리 우수 관망 내 설치된 오프라인 빗물저류조의 경우 도심지에 위치하여 규모에 한계가 있으며 신설이나 증대 등에도 제한이 있다. 따라서 기존 빗물저류조 능력의 최대화가 필요하다. 현재 빗물저류조 펌프 운영시스템은 일정 수위 이상이거나 강우 종료 후 토출을 시작하므로 연속강우에 대한 대처가 취약하다. 연속강우에 대한 빗물저류조 능력의 최대화를 위해서는 기존 배제시간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펌프 적정 용량을 산정함으로써 도시침수 저감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림3 어린이공원 빗물저류조를 대상으로 여러 기왕강우를 적용하여 도시침수를 저감할 수 있는 펌프의 적정 용량을 산정한다.

  • PD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particle behavior in rainwater retention facilities (빗물저류시설에서 수리학적 흐름특성과 입자의 거동)

  • Yoo, Hyoung-Keun;Mun, Jung-Soo;Han, M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1-146
    • /
    • 2008
  • 빗물 유출량 제어를 위한 빗물 저류 시설에서 지금까지는 저류되는 용량이 주된 관심사였다. 많은 물을 순간적으로 저류하여 지체시킴으로서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빗물저류시설은 저류기능 뿐만 아니라 침전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저류된 물을 갈수기에는 화장실 용수나 잡용수로 사용할 수도 있고, 수질 개선을 통하여 하수 오염 부하량의 경감효과까지 노릴 수 있다. 이러한 수질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빗물 저류시설의 수리학적 흐름특성과 입자의 거동파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를 이용하여 빗물저류시설 중 하나인 빗물저장조의 수리학적 흐름특성 및 입자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빗물저장조는 유출입패턴이 불규칙하다. 이를 크게 네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유입만 있고 유출이 없는 경우(Case 1), 유입과 유출이 동시에 있는 경우(Case 2), 유출입이 모두 없는 경우(Case 3), 유출만 있고 유입이 없는 경우(Case 4)로 살펴 볼 수 있다. 기존의 수량 측면에만 한정되었던 빗물 저류 시설에 대한 연구를 수자원 절약과 수질 개선을 통한 하수도 오염 부하량 감소의 측면을 덧붙여 빗물 저류 시설의 목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Amounts for the Detention Pond in Trunk Sewer (간선저류지 설치위치에 따른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

  • Lee, Sung Ho;Lee, Jae Joon;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6-556
    • /
    • 2016
  •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유출량의 증가 및 도달시간의 감소로 인해 도시지역의 침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내수침수피해 방지를 위해 유역내 우수관거 용량향상 및 우수유 출저감시설의 설치 등과 같은 유역전반의 홍수방어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 대도시의 경우 저류시설 설치를 위한 부지 확보 및 우수관거 교체를 위한 예산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화, 산업화, 인구집중으로 동일규모의 강우에서도 우수유출이 증대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 원활한 내수배제를 위해 우수관거를 연계한 간선저류지 개념을 적용하여 우수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선저류지를 유역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단일 저류지와 복수 저류지에 대해 각각 우수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간선저류지 설치로 인한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을 위하여 단일 저류지의 면적은 $1,000m^3$, $2,000m^3$, $3,000m^3$ 등 3가지 크기로 설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일 저류지의 위치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저류지의 위치는 전체 유역면적에 대한 저류지 상류부 면적의 비를 20%, 40%, 60%, 80%로 변화시키면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복수 저류지의 경우 전체 유역면적에 대한 저류지 상류부 면적의 비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여, 단일 저류지 및 복수 저류지 설치 위치에 따른 도시유역의 우수유출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Rainwater Storage Capacity for Supplying Upland Crops (밭 작물 용수 공급을 위한 빗물저류조 용량 결정)

  • Hwang, Ju Ha;Mae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3-53
    • /
    • 2019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 이변의 이유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 홍수 및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게릴라성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저지대 및 많은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연평균 총 강우량은 매년 비슷하나 게릴라성 호우와 같은 폭우의 빈도가 증가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과거에 비해 가뭄의 발생기간도 길어지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게릴라성 호우와 같은 폭우는 잦아졌지만 강수량 자체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는 홍수와 가뭄의 위험이 더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지역의 전체 물 이용 및 관리의 효율화가 필수적이며, 물 이용량의 약 50%를 차지하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개기에 필요한 물이 얼마나 사용이 되는지에 대한 작물의 생육시기별 필요수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필요수량의 갈수빈도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갈수빈도분석을 통해 재현기간에 따른 작물의 순별 필요수량 따라 저류조에 유입되는 빗물의 양으로 얼마만큼 해결이 되는지 확인하여 빗물의 사용량을 산정하여 저류조의 적정 용량을 검토하고자 한다. 작물계수를 이용하여 작물별 필요수량은 HOMWR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하며, 작물별 생육시기에 따른 필요수량에 대한 갈수빈도분석은 수문 통계 분석과 적합도 검정을 통하여 GUM, PT3, GEV, GLO, GPA 및 GNO분포를 대상으로 적정 분포를 선정한다. 선정된 분포형을 통해 재배작물별 생육시기에 따른 필요수량 계열의 설계 필요수량을 산정한다. 이에 따른 필요수량과 갈수빈도분석 결과를 통해 재배작물의 순별 수요량을 추정한다. 재배작물의 순별 물 수요와 잠재적인 저류조의 높이를 통해 빗물을 얼마만큼 재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수용 비율(sufficiency ratio)을 산정하고. 순별 수요량에 따른 밭 작물의 적정 빗물 저류조 용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Washland Constructions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Flood Control using MD-FDA (다차원법을 이용한 천변저류지의 홍수조절 효과분석)

  • Kwak, Jae Won;Kim, Duck Gil;Yin, Shan Hua;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3
    • /
    • pp.69-78
    • /
    • 2008
  • In recent, we have a growing interest in the washland construction for the satisfaction of flood mitigation and ecological function in the river. This study performed the flood mitigation analysis for washland construction plan in Topyoung-cheon basin in Changyeong-gun, Gyeongnam. Several cases were considered for the washland construction on Topyoung-cheon basin, and we analyzed flood stage, inundation and flood damage mitigation for each case. From the result of flood mitigation analysis, we found some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each washland case and form. Therefore, to maximize flood mitigation effect by flood mitigation analysis is more desirable than guarantee the maximum storage area in washland construction.

  • PDF

A Development of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for the Reduction of Runoff (우수유출저감용 저류지의 간편설계기법 개발)

  • Lee, Jae-Joon;Kwak, Chang-J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7
    • /
    • pp.693-700
    • /
    • 2008
  • Detention pond has an important role in peak flow reduction to mitigate flood damage. Design of detention pond is accomplished through the preliminary stage, and design stage in general. New development projects produce increased peak flow and flow amount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easily and simply. A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is suggested in this study. Used design variables are peak flow ratio(${\alpha}$) and storage ratio($S_r$). ${\alpha}$ is the peak flow ratio of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of the basin. $S_r$ is a ratio of storage volume to total runoff volum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also proved. The simple procedure of detention pond design is proposed in this study.

A Case of Analysis of Constructed Wet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를 활용한 천변저류지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 Ha, Sung Ryong;Lee, Jae Yi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1
    • /
    • pp.107-112
    • /
    • 2006
  • This study aim is to establish the suitability analysis of a constructed wet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constructed wetland is a flood control reservoir that is able to control flows and conserve a preserving integrity of nature maximum. It has been did that DB construction of flood area, socioeconomic analysis, and space analysis using GIS. Achieved reiteration arithmetic function from results of several elements, it has been did analysis for possibility space of constructed wetland. Through the analysis of flood area and a constructed wetland capacity, it has been established the estimation where is possible to build wetland. This study is applied suitability analysis method where has been choose the basin of To-Phyeong river in Kyongsang-namdo with methodology presentation about suitability analysis.

  • PDF

Optimal Size and Location of Washland (천변저류지의 최적규모 및 위치선정을 위한 예비검토)

  • Kim, Hwan-Seok;Park, Min-Kyu;Park, Gi-Jung;Yoo, Chul-Sang;Yoon,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9-83
    • /
    • 2009
  • 천변저류지는 침수시 피해가 큰 도시지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시구간의 상류 특정구간을 저류공간으로 이용하여 홍수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천변저류지는 하도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어진 규모 대비 첨두홍수량 조절효과가 다른 홍수방어대책에 비해 크다고 알려져 있어 유역종합치수계획이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에서 상당히 자주 주요 검토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GIS를 이용한 천변저류지의 가용입지를 조사하는 방법론 등은 상당한 진보를 이루었으나 이렇게 조사된 다양한 입지들 중에서 특정 보호대상 도시를 기준으로 가장 홍수조절 효과가 크고 경제성이 높은 입지를 판단하는 것은 다양한 수문조건과 이에 대한 정밀한 모의가 필요하므로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된다. 이때 천변저류지의 입지가 보여주는 위치와 규모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홍수조절 효과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면 상위계획단계에서 우선순위 등을 검토할 경우의 개략적인 해석수단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MM 모형을 이용해 홍수유출 및 하천수리 해석을 연계하여 수행하는 방법론을 통해 천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모형화하였다. 이때, 다양한 조건에서의 천변저류지의 위치 및 용량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모의함으로써 주어진 입지에 따른 최적 홍수방어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준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Planning Models for the Design of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도시유역의 저류지 설계를 위한 계획모형 비교분석)

  • Lee, Jae-Joon;Kwak, Chang-Jae;Lee, S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3
    • /
    • pp.105-115
    • /
    • 2008
  • Urbanization results in increased runoff volume and peak flowrate and shortening in time of concentration, which may cause frequent flooding downstream. There are various types of flow retardation methods including detention ponds, retention ponds, and infiltration ponds. In general, hydrologic models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are classified into planning model and design model. This study is comparing and analyzing of planning model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Detention ponds data of Disaster Impact Assessment Report on 22 sit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proper planning models in this study. From this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1) In case of on-line detention pond, Lee model(1991) is the best planning model and similar to real storage volume. 2) In case of off-line detention pond, Abt and Grigg model is much more proper model compared to other models.

Analysis of Effect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Considering Volume of Storage Facilities and LID techniques (LID기법과 저류조 용량을 고려한 수질개선 효과 분석)

  • Kwon, Sang Hyun;Park, Young Ki;Kim, Se Min;Gwak, Gyu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44-344
    • /
    • 2016
  • 최근 도시화에 따른 투수면적의 감소인한 우수 유출량의 증가로 비점오염 및 도시 침수피해에 대한 문제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유역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불투수면적의 특성으로 인한 도시 비점오염의 축적량 증가와 함께 적은 강우에도 유출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세척효과에 의해 고농도의 비점오염원을 하천으로 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우수 유출 및 비점오염원 관리방안으로 저영향개발(LID;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에 의한 우수유출량의 저감과 수질개선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 송천동 지역을 대상으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SWMM모형을 구축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LID기법 중 하나인 Bioretention과 저류조용량(900, 1050, 1200, $1350m^3$)을 고려한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송천동 지역에 대한 저류조 및 Bioretention 적용에 따른 수질 개선효과를 비교한 결과 SS는 무시설의 경우 평균 100.08mg/L에서 1) 저류조의 경우 83.40mg/L(17% 감소), 2) 식생저류지의 경우 86.27mg/L(14% 감소), 3) 저류조와 식생저류지 연계 적용의 경우 79.43mg/L(21% 감소)로 평가되었다. BOD는 무시설의 경우 평균 15.24mg/L에서 1) 저류조의 경우 13.37mg/L(12% 감소), 2) 식생 저류지의 경우 12.29mg/L(19% 감소), 3) 저류조와 식생저류지 연계 적용의 경우 11.81mg/L(22% 감소)로 나타났다. T - P는 무시설의 경우 평균 1.09mg/L에서 1) 저류조의 경우 0.96mg/L(12% 감소), 2) 식생저류지의 경우 0.84mg/L(22% 감소), 3) 저류조와 식생저류지 연계 적용의 경우 0.78mg/L(28% 감소)로 수질이 개선되었다. 저류조와 식생저류지 적용에 따른 SS의 경우, 식생저류지를 적용했을 경우보다 저류조를 적용했을 경우 수질농도가 더 많이 저감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BOD와 T - P의 경우 저류조를 적용했을 경우보다 식생저류지를 적용했을 경우 수질농도가 저감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류조와 식생저류지를 연계 적용했을 경우 각각 적용했을 경우보다 수질농도가 더 많이 저감되는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유역 내 LID기법과 저류조 위치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