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for the Reduction of Runoff

우수유출저감용 저류지의 간편설계기법 개발

  • Lee, Jae-Joo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Kwak, Chang-Jae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이재준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곽창재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Detention pond has an important role in peak flow reduction to mitigate flood damage. Design of detention pond is accomplished through the preliminary stage, and design stage in general. New development projects produce increased peak flow and flow amount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easily and simply. A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is suggested in this study. Used design variables are peak flow ratio(${\alpha}$) and storage ratio($S_r$). ${\alpha}$ is the peak flow ratio of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of the basin. $S_r$ is a ratio of storage volume to total runoff volum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also proved. The simple procedure of detention pond design is proposed in this study.

저류지를 설계함에 있어서 주어진 저류지 제원과 방류시설 제원하에서 저류지 설계모의모형을 이용하여 저류추적 을 실시하는 방법을 대치하고자 저류지의 예비설계 단계에서 저류지 최적계획모형에 의해 산정된 저류용량을 초기 가정치로 사용하거나 개발전후의 첨두유량비인 ${\alpha}$를 사용하여 저류지를 간편설계하기 위한 관련변수 해석을 실시하 였다. 관련변수 해석을 통해 저류지의 유입첨두유량에 대한 저류지 첨두방류량의 비인 첨두유량비 ${\alpha}$와 저류지의 저류비 $S_r$, 저류지의 방류구조 크기 D와 저류지의 최대허용수심 $H_{max}$, 저류지의 구형바닥면적 A'과 저류지의 제형바닥면적 A 및 $A_c$의 관계를 이용하여 저류지를 간편하게 설계하는 간편설계기법의 절차를 제시하였다. 저류지의 간편 설계기법은 도시화로 인한 유출총량 및 첨두유량 증대에 대처하는 방안으로 도시유역에서 유출저감시설로서 신설되는 저류지를 설계함에 있어서 기존의 많은 제반사항과 저류지 추적을 시행하지 않고 간편한 설계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소방방재청, 한국방재협회 (2005). 재해영향평가 실무지침서 개정
  2. 신응배, 이두진, 곽수동, 선상운, 이동훈 (2003). “하수관거모델을 이용한 CSO 저류시설의 최적용량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09-312
  3. 안태진, 박종윤, 류희정, 김중훈 (2003). “소유역에서 홍수조절용 펌프 및 유수지 규모의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3호, pp. 385~398
  4. 윤여진, 이재철 (2001). “계획강우의 지속기간에 따른 저류지용량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5호, pp. 415-426
  5. 이정식, 이재준, 김규호, 오석호 (1995). “도시유역에 서 지체저류시설의 수문학적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8권, 제2호, pp. 159-173
  6. 이종태, 윤세의, 이재준, 윤용남 (1991). “도시화영향을 고려한 유수지 계획모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4권, 제4호, pp. 73-83
  7. 이재준, 김호년, 곽창재 (2006)a. “도시화에 따른 저류지의 유역 및 수문특성인자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141-1144
  8. 이재준, 김호년, 곽창재 (2006)b. “도시유역에서 저류지설계를 위한 특성인자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Vol. 6, No. 4, pp.37-47
  9. 이재준, 곽창재, 김호년 (2006). “도시유역에서 저류지 계획모형의 비교 및 저류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053-1056
  10. 행정자치부(소방방재청)(2000-2006). 각종 개발사업재해영향평가서
  11. 환경부 (2005). 하수도 설계기준
  12. Abt, S.R. and N.S. Grigg (1978). "An Approximate Method for Sizing Detention Reservoir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14, No. 4, pp. 956-965 https://doi.org/10.1111/j.1752-1688.1978.tb05591.x
  13. Akan, A.O. (1993). Urban Stormwater Hydrology : A Guide to Engineering Calculations, Technomic Publishing, Lancaster, PA
  14. Brater, E.F., King, H.W., Lindell, J.E., Wei, C.Y. (1996). "Handbook of Hydraulics, 7th ed." McGraw-hill
  15. Guo, Y. and B.J. Adams (1999). "An Analytical Probabilistic Approach to Sizing Flood Control Detention Faciliti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No. 8, pp. 2457-2468 https://doi.org/10.1029/1999WR900125
  16. Guo, Y. and B.J. Adams (1999). "Analysis of Detention Ponds for Storm Water Quality Contro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5, No. 8, pp. 2447-2456 https://doi.org/10.1029/1999WR900124
  17. Guo, Y. (2001). "Hydrologic Design of Urban Flood Control Detention Pond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6, No. 6, pp. 472-479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1)6:6(472)
  18. Paine, A. (1998). "The BASINOPT Program, ver.2.7."
  19. Wycoff, R.L. and V.P. Singh (1976). "Preliminary Hydrologic Design of Small Flood Detention Reservoir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12, No. 2, pp. 337-349 https://doi.org/10.1111/j.1752-1688.1976.tb02683.x

Cited by

  1. Development of Simplified Computer Program for the Design of Size and Culvert Outlet in Detention Pond vol.47, pp.7,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7.587
  2. A Simplified Design Method of Culvert Outlet for Detention Pond vol.44, pp.4, 2011, https://doi.org/10.3741/JKWRA.2011.44.4.263
  3. Reduction of Rainfall Runoff by Constructing Underground Storage Tank vol.33, pp.3,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3.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