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감성능

검색결과 1,556건 처리시간 0.034초

스팀 사이렌서의 소음저감성능 평가 (Evaluation on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Steam Silencer)

  • 정정호;김정욱;고용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63-665
    • /
    • 2007
  • 생산시설에서의 소음원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증기 방출시 발생되는 소음은 대기 중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증기 방출시 소음저감을 위한 사이렌서의 설치가 필요하다. 스팀 사이렌서는 습기와 고온에 항상 노출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흡음 및 차음재료의 사용에 제한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틸 울과 스틸 타공판으로 구성된 사이렌서와 사이렌서를 둘러싸는 외부 용기로 구성된 스팀 사이렌서를 대상으로 소음저감성능을 평가하였다. 스팀 방출시 소음 저감 성능을 평가하여야 하지만 사이렌서 내부에서 스팀이 방출되는 조건에서의 실험에 어려움이 있어 스팀사이렌서의 내부에 라우드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스팀사이렌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압레벨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음이 표면에서 1m 이격된 지점에서의 소음레벨을 측정하여 소음저감성능을 평가하였다. 소음 저감성능 평가 결과 500 Hz 이상 주파수 범위에서 약 40 dB이상의 소음저감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유.무기 복합재료를 이용한 접지저감제의 성능 비교 (Comparison of efficiency the grounding resistance enhancement materials used organic.inorganic composite)

  • 조대훈;이기식;김장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66-72
    • /
    • 2004
  • 본 연구는 접지저감제의 성분으로 수용성 고분자의 유기물과 층상형 점토의 무기재료를 주재료하여 새롭게 개발한 새로운 형태의 접지저감제의 성능비교에 관한 것이다. 신개발의 접지저감제는 수분을 흡습하여 수분에 용해된 수용성고분자가 수분과 함께 층상형점토의 층으로 삽입되어 접지저감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본 연구의 유 무기 복합재료형 접지저감제는 함수율과 팽창률이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300wt%의 수분을 공급 후 측정한 전기전도도도 매우 뛰어나다. 또한 환경친화적인 천연재료들이므로 인체나 환경에 매우 안전하며, 접지전극의 부식과 전식을 방지하는 기능이 매우 뛰어나 염해나 화학적으로 부식성이 높은 토양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신개발의 접지저감제와 기존의 여러 접지저감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의 대지저항율을 측정 분석하여 각각의 접지저감제의 접지설계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와 현장에서 실제 시공한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실증 적용을 통한 외부 전동블라인드의 성능 평가 및 개선 방안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xternal electric blinds through field application)

  • 강민우;이희동;오양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81-188
    • /
    • 2023
  • 일반적인 거주 공간에서 창호는 외부소음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외부소음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은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바로 소음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태양 빛 차단을 위한 외부 블라인드는 다양하게 제품화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앞선 연구에서는 차광용으로 제작된 외부 전동블라인드의 차음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공인 실험실에서 실험하였다. 그 결과 일반창호 저감 성능 대비 6 dBA의 추가 차음성능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외부 전동블라인드의 차음성능을 실제 거주 공간 창호에 실증 적용하여 저감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효과적인 소음저감 성능 추가확보를 위해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외부 전동블라인드 자체의 저감 성능은 기본 창호 대비 1 dBA ~ 3 dBA 수준으로 미미했다. 하지만 블라인드 슬릿 사이의 틈새 충진을 통해 2 dBA 수준의 추가 저감성능을 확인하였다.

에어포일 표면 거칠기 민감도가 풍력 블레이드 공력 설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Airfoil surface roughness sensitivity to aerodynamic design of wind turbine blade)

  • 신형기;방형준;김수현;장문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4.1-34.1
    • /
    • 2011
  •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에어포일의 선택 혹은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는 표면 거칠기 변화에 따른 에어포일 성능의 민감도이다. 블레이드 표면은 대기 중의 먼지, 곤충 시체 등에 따라 계속적으로 오염되며 이는 에어포일의 설계 당시의 성능을 계속적으로 저감시킨다. 이러한 표면 거칠기의 증가는 에어포일의 종류에 따라 성능을 50% 이상 저감시키며 이는 블레이드의 설계 성능을 저감시키므로 블레이드 설계를 위한 에어포일 선정 단계에서 표면거칠기 민감도가 가능한 낮은 에어포일을 선정하여 블레이드의 공력 설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거칠기 변화로 인한 에어포일의 성능 저감이 실제 블레이드의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 보았다. 에어포일은 표면이 깨끗한 상태와 ZZ 테입을 부착하여 표면이 심각하게 오염된 상황을 모사하여 두 경우 모두를 풍동 시험한 DU 에어포일 시리즈를 선정하였다. 3MW 급의 블레이드에 대하여 두께비 40%~18%의 에어포일을 적용하여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두께비 30%~18%에어포일에 대하여 표면이 깨끗한 경우와 오염된 경우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블레이드 성능 변화 및 다른 성능 변수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블레이드 성능에 대하여는 BEMT를 적용하여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에어포일의 성능 저하는 블레이드 공력 효율에 있어서 8%의 저감을 나타내며 7%의 극한하중 저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압전 지능패널의 소음저감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Noise Reduction of Piezoelectric Smart Panel)

  • 임병수;김재환;이중근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2호
    • /
    • pp.393-39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흡음 재료와 압전 재료를 부착시켜 넓은 대역에서 소음 저감을 향상 시키는 압전 지능패널(piezoelectric smart panel)을 구성한 후 이를 통하여 구조물로부터 복사되는 소음의 저감 성능을 실험적으로 고찰 하였다. 우선, 단빌 평판과 흡음 재료가 부학된 편판을 구성하여 소음 저감 성능을 즉정 하였다. 그리고 두 방법을 합성하여 광 대역에서의 소음을 저감 시키기 위해 흡음 재료와 압전 재료를 부착한 압전 지능패널을 이용하여 감지기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적절한 부 이득(negative gain)을 거쳐 작동기에 되먹임 하였을 때의 소음 저감 성능을 측정 하고 앞의 두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수동적 방법과 능동적 방법을 복합적으로 구성한 압전 지능패널이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을 저감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목감천 유역 내 투수성포장과 빗물저류조의 유출량 저감 성능 분석 및 설치 우선 순위 결정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performance of permeable pavement and rain barrel in Mokgam stream basin and determination of installation priorities)

  • 채승택;정은성;박인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905-91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목감천 유역에서 투수성포장(PP)과 빗물저류조(RB)의 설치에 의한 유출량 저감 성능 분석 및 유역 내 설치 우선순위를 결정했다. PP와 RB의 설치를 통한 최대 유출 저감 성능 도출을 위해 최적 설계인자를 결정했고, 최적 설계인자를 반영한 PP와 RB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을 비교했다. 유출량의 시계열 변화로부터 첨두유출량 발생 전에는 PP가, 첨두유출량 발생 후에는 RB가 유출량 저감에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PP와 RB의 설치에 따른 소유역 별 총 유출량, 첨두유출량 저감 성능을 비교한 결과, PP의 경우 유역면적이 큰 소유역에서 RB보다 더 높은 우수 유출저감 성능을 나타냈고 RB는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더 높은 성능을 나타냈다. PP와 RB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 평가 결과를 통해 목감천유역 내 두 시설의 설치 우선 순위를 결정했다. 그 결과, PP와 RB 모두 유역면적, 불투수면적 비율이 높은 소유역에서 높은 우선 순위가 나타났다. 또한 우수 유출 저감 성능 평가 순위와 유역특성 간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상위 25%의 우수 유출 저감 성능을 나타낸 소유역에서는 불투수면적외에도 유역의 형상 인자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기존 도심 지역에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 우선 순위 결정 시 불투수면적 비율과 함께 유역의 형상 인자를 함께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바닥 상부 마감재의 충격음 저감성능에 대한 평가방법 개선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of floor coverings)

  • 정진연;송한솔;송국곤;윤용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1-167
    • /
    • 2023
  • 최근 바닥충격음 사후 성능검사 제도의 시행에 따라 공동주택 바닥 슬래브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 마감재에 대한 바닥충격음 성능 개선의 요구사항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KS F ISO 717-2 및 KS F 2863에서의 바닥 마감재 성능 평가방법은 완충층이 설치되지 않은 조건에서 저감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준공 전 성능측정 의무화로 인해 본인이 거주하는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성능의 확인이 가능한 상황에서 입주민이 거주하는 공동주택의 특성을 반영하는 온돌층이 설치된 구조에서의 성능평가는 마감재의 바닥충격음 성능에서 더 필요한 부분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닥슬래브 상부 마감구조의 저감량 평가를 위해서 완충층 조건을 포함한 저감성능 평가를 제안하고, 완충층 성능에 따른 저감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감재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바닥충격음 성능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광촉매를 코팅한 모르타르의 미세먼지 저감 성능 연구 (A Study on The Air Pollution Reduction Performance of Mortar Coated with Photocatalyst)

  • 이승진;전민기;정승태;양인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94-10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광촉매를 비표면적이 큰 구조물에 적용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광촉매 용액을 모르타르 표면에 코팅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성능을 분석하였다. 코팅 용액의 광촉매 농도는 1.5 %와 3.0 %로 설정하였으며, 바인더의 종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를 실험변수로 고려하였다. 전체 모르타르가 공통적으로 광촉매 농도가 증가할수록 NOx 농도 저감률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광촉매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세먼지 저감 성능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미세먼지 저감 성능 결과 NOx 농도 저감률이 UHPC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고로슬래그로 치환할수록 미세먼지 저감 성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바인더의 입자의 차이로 인해 내부조직의 치밀함에 따라 표면에 남아있는 TiO2 성분량 차이로 인해 미세먼지 저감 성능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for reduction facilit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 이종석;김치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3호
    • /
    • pp.207-217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 산업지역의 넓은 불투수 지역뿐만 아니라 좁은 지역의 도로 교량이 통과되는 하천유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을 초기우수로부터 저감시킴으로써 하천수질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저감장치를 개발하여 실용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취득한 자료를 기반으로 현장 성능시험용 저감장치를 개발하여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와 부유물질(SS)의 저감효율에 대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성능분석 결과는 시간구간별 시험항목의 분석에서 그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는 국립환경 과학원에서 제안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요구 저감효율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실무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중규모 교량형 인도교량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Field Analysis for Devic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in Midium Size with Bridge-Footbridge)

  • 김치곤;김연지;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5-276
    • /
    • 2018
  • 교량형 인도교량에서 강우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초기에 감소시켜 하천에 방류시킴으로써 하천 수질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해 중규모 저감장치의 성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오염요소별로 분석하여 저감장치의 성능을 향상시켜 실무 현장에 활용하고자 한다. 실험 분석항목은 BOD, COD, T-N 등을 대상으로 일정 시간 간격동안의 비점오염원 저감 효과로 분석하였으며, 그 효율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