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조절

Search Result 1,41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eismic Performance of Precast Beam-Column Joints with Thru-Connectors (관통형 연결재로 연결된 PC 보-기둥 맞댐 접합의 내진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Soon-Kyu;Kim, Min-Hee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2 no.4
    • /
    • pp.441-450
    • /
    • 2010
  •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cast beam-column joints for dry construction methodology. Precast beam column joints with thru-connectors (BCJ_TC) using high strength bars or PS strands were developed and their seismic performance including strength degradation, stiffness degradation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was experimentally evaluated. Test results showed that compressive failures at the end blocks of PC beam members occurred dominantly while PC columns including panel zones were free from any damage. However, the connections confined with CFRP at the end block showed much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unconfined connections. Connections with neoprene pad fillers between beam and column interfaces were better than the other connections in all the seismic performances except initial stiffness.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s of BCJ_TC,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at the end block need to be increased to compensate for the additional compressive stresses due to unbonded connectors and deformation of connectors should be controlled respectively.

Plant Regeneration from Embryogenic Callus of Miscanthus spp. (억새(Miscanthus spp.)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 Kim, Kwang-Soo;Kwon, Da-Eun;Lee, Ji-Eun;Cha, Young-Lok;Moon, Youn-Ho;Kang, Yong-K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89-89
    • /
    • 2018
  • 우리나라, 중국 및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가 원산이며 바이오매스량이 많은 억새(Miscanthus spp.)는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원료작물로서 가치가 높아,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원료작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독일 등 유럽과 미국에서는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작물로 주로 종간 교잡 이질 3배체인 불임성 억새(M. x giganteous)를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렇게 단일유전형을 갖는 품종의 재배에는 특정 병과 해충에 약하며 자연재해에도 취약성을 나타내므로 억새가 바이오에너지작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전형의 억새 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생 억새 3종을 기내배양하고 탈분화 및 재분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억새 품종 육성 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억새 종자로부터 캘러스의 유도는 MS배지보다 N6배지 에서 좋았으며, 식물생장조절제로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와 6-Benzyl aminopurine (BA)를 조합처리한 처리구보다 2,4-D만을 단독처리하였을 때 캘러스 유도율이 더 높았다. 억새 종에 따른 캘러스 유도율은 물억새가 가장 낮고, 거대억새가 가장 높았으며, 3 ~ 5 mg/L의 2,4-D가 첨가된 N6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embryogenic callus)가 발생하였다. 억새 신초 및 줄기의 절간에서의 캘러스 유도율은 전반적으로 종자에 비하여 낮았으며, 미성숙화기로부터의 캘러스 유도는 억새 종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5mg/L의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 캘러스 유도율이 가장 높게(90 ~ 95%) 나타났다. 형성된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의 재분화는 N6배지에서는 재분화 식물체가 발생하지 않았고, 1 ~ 3mg/L의 BA와 0.1ml/L의 1-Naphthaleneacetic acid (NAA)가 첨가된 MS배지에서만 식물체가 재분화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Hydraulic Cable Connection Systems with Re-tensioning and Wireless Monitoring (재긴장과 무선 모니터링이 가능한 유압식 케이블 접합부시스템의 실험에 대한 연구)

  • Kim, Min-Su;Lee, Ki-Hak;Kim, Seong-Beom;Lee, Sung-Min;Baek, Ki-Youl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1 no.2
    • /
    • pp.71-79
    • /
    • 2011
  • Due to the self-equilibrium status of the cable system, the loss of the tensioning in the cable system results in other cables carrying larger tension forces than those initially calculated by structural engineers. Also, turn-buckle system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to pre-tension and/or re-tension the cables, are limited to use for small cables and to provide a rough estimation for tension forces. In this study, the re-tensioning cable connection systems were developed to overcom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main objective of the proposed system is to re-tension large cables and measure the exact amount of tension forces of the cable systems. This connection system is also combined with the wireless signal monitoring module so that engineers are able to measure the tension forces any place where the internet is available.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re-tensioning cable connection systems and experiment using the real-scale cable systems to verify the fe-tensioning and signal monitoring systems.

Introduction of rolC gene into Petunia hybrida (Petunia hybrida 세포내로의 rolC 유전자의 도입)

  • 정재동;김경민;남윤연;김창길;정원일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6 no.1
    • /
    • pp.21-26
    • /
    • 1999
  • These experiments were attempted to introduce rolC gene in the Petunia hybrida cv. Titan white by Agrobacterium mediated. The maximum frequency of shoot regeneration was obtained by 60% on MS medium containing 1.0 mg/L BA, 0.1 mg/L NAA, 200 mg/L kanamycin, 500 mg/L carbenicillin, 30 g/L sucrose, and 8 g/L agar. Kanamycin-resistant calli were selected from petunia leaf discs by cocultivation with Agrobacterium suspension cultures on MS medium. The addition of AgNO3 and KMnO4 in the medium increased the shoot regeneration by 31.3% from leaf disc as compared with non-treated leaf disc. Among clones exhibiting kanamycin resistance, only 3 clones were confirmed by southern hybridization analysis.

  • PDF

The Development of the Unfading Urethane Polymer Based on Reversible Properties for Ceramics and Restoration with This Urethane Product (가역성을 갖는 도자기 복원용 무황변 우레탄 수지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복원)

  • Han, Won-Sik;Park, Gi-Jung;Lim, Sung-Jin;Lee, Young-Hoon;Hong, Tae-Kee;Wi, Koang-Chul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6 no.2
    • /
    • pp.183-190
    • /
    • 2010
  • We fabricated urethane material based on properties of reversible and unfading for antic-ceramics restoration. This material with low viscosity was made hardness control possible that user want. And it have very strong adhesion and shear strength properties and is shown the best properties for pigment filling, anti-contractibility, coloring as like epoxy system materials. Particularly, the yellowing and ir-reversibility problem in epoxy restoration material were finally solved. So, there is guarantee in the eternity and stabilization of restoration for antic-celamics. And in order to show the reversible state of the restoration, we successfully dissolve this urethane materials in solvent after perfect restoring subsequently.

재조합 인간 GM-CSF의 정제 및 특성조사

  • 김규돈;윤세웅;이상미;권선훈;김범수;강환구;송지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188-188
    • /
    • 1994
  • GM-CSF는 생체내에서 백혈구의 형성을 조절하는 인자이기 때문에 골수이식을 한 환자 및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은 암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백혈구의 감소현상을 완화시키는 역활을 한다. 항암 보조 치료제로서 의학적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간주되는 인체의 GM-CSF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효모에서 발현, 정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역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효모로부터 rhGM-CSF의 발현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초 분비 돌연변이 균주를 선별하였고 발효 배지 조성의 차이에 따른 발현율도 비교 측정하였다. 정제된 rhGM-CSF(LBD-005)는 여러 물리화학적 특성조사를 통해 구조나 역가면에서 상대치와 거의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LBD-005는 당화된 GM-CSF와 당화되지 않은 형태의 혼합물이므로 Con-A column등을 사용하여 분리하고자 하였다. 당화된 GM-CSF와 혼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각각 조사하였으나 유사하였고 당화에 따른 역가의 차이도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Poinsettia (Euphorbia pulcherrima L.) Stem Explants (포인세티아 줄기조직배양에 의한 재분화체 제조.)

  • Hee-Sung Par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8 no.6
    • /
    • pp.623-626
    • /
    • 1998
  • Conditions for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tem tissues of Euphorbia pulcherrima were esta-blished. Explants from leaf, petiole, stem were examined for their embryogenesis on MS solid medium supplemented with plant growth hormones in combination at various concentrations. From leaf or petiole explants, callus was indu-ced well but never proceeded to the embryonic stage in our expermental conditions. From stem explants, however, multiple shoots following callus induction emerged in about 6 to 8 weeks on MS agar medium supplemented with 1.5 mg/L of benzyladenine. Upon transfer, roots were developed on hormone-free MS solid medium.

  • PDF

Research trends on the automobile crush (자동차 충돌특성 연구동향)

  • 김천욱;한병기;원종진;임채홍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4
    • /
    • pp.1-17
    • /
    • 1996
  • 자동차의 안전에 대한 연구는 객실의 변형제한과 승객의 감속도 축소를 위한 여러가지 구조부재의 에너지 흡수능력 및 흡수 메카니즘을 연구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 이유는 충돌사고시에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차제변형에 의한 물리적 접촉의 회피 뿐 아니라 충돌에너지를 적절히 흡수조절하여 충돌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조부재를 설계함으로써 충돌안전성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충돌에너지 흡수 특성은 구조부재의 단면 형상과 재질에 따라 달라지며 압괴모드도 구분되어진다. 즉, 복합재료의 압축붕괴특성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과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복합재는 재질의 파손으로 에너지가 흡수되지만 금속재는 소성변형으로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때의 붕괴양상은 작용하중에 따라 축방향 붕괴, 굽힘붕괴, 측면붕괴의 경우는 정규압괴모드(compact mode) 및 불규칙압괴모드(noncompact mode)로 나뉘고, 원통쉘의 경우는 축대칭모드 및 다이아몬드형 모드 등으로 나뉠수 있다. 원형 및 사각 튜브는 광범위한 형상비와 후폭비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쓰이므로 충돌특성 연구의 대상으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충돌특성의 해석을 위한 이론적 모델이 제시되었으며 계속적인 보완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 PDF

MILD Combustion Characteristics with Inlet Air Velocity in a Conical Combustor (원추형 연소로에서 공기 유속에 따른 MILD 연소특성)

  • Kim, Tae-Kwon;Ha, Ji-Soo;Jo, A-Ro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6 no.6
    • /
    • pp.774-779
    • /
    • 2012
  • MILD (Moderate and Intense Low Oxygen Dilution) combustion is a technology that uses the recirculation of combustion gas to increase thermal efficiency not only by keeping down the concentration of Nitric Oxides and temperature but also by uniformiz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furnace. This study is a trial to obtain MILD combustion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the equivalence ratio with the air flow rate in the conical combustor while keeping the fuel flow rate and measuring the exhaust gas of the combustion furnace.

STS304 절삭시 Chip Breaker를 이용한 Chip제어에 관한 연구

  • 염동운;김재구;유기현;정진용;서남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17-21
    • /
    • 1992
  • 최근 들어 공작기계 자동화의 보편화로 절삭가공작업은 고속화, 정밀화되고 있어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산성의 증가는 단위시간당 chip생산량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이면서 바람직한 chip처리가 생산성 향상과 연관되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착장애형 chip breaker를 설치한 insert 공구를 이용, 피삭재로서 내식성, 내마모성을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근래 산업의 여러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난삭재 STS304를 절삭하였다. 난삭재 STS304연질금속으로서, 자유표면이 다소 매끄러운 일반재료와 달리 chip의 단면이 어느 정도 규칙적인 톱니형 chip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부착장애형 chip breaker의 각 및 거리, 기타 각 조건을 이용하여 STS304를 절삭특성 및 chip 조절상태를 관찰하고, 기존의 실험에서 자주 이용되었던 연강과 STS304의 비교절삭을 행하여 chip형태등을 비교하여 보는 것도 난삭재의 절삭가공기술 진전에 일조하리라 생각한다.